• 제목/요약/키워드: 색면추상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마크 로드코의 색면추상에 표현된 색의 확장성 연구 (A Study on the Color Extendability in Mark Rothko's Color-Field Abstract)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39-246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lor extendibility of color-field abstract through Mark Rothko's paintings. Color extendibility is a structure applied by Mark Rothko. He simplifies it and by pursuing autonomy and immediacy of the color itself, including surface color and the front of color-field, Rothko creates value through motions in his square paintings of non-fixed shapes. Chapter 2 revisits the meaning of color in abstract expressionism and explains the principle of color-field by applying the concept of ergon and parergon. In chapter 3, the principle, processes, methods, techniques of expression were studied as a basis to understand color extendibility and color-field abstract. In chapter 4, the works of Mark Rothko were analyzed based on his multiform paintings(1946-1948), number and untitled(1949-1957), and black paintings(1958-1970) in order to identify, in the final chapter, the features of color extendibility in Rothko's works.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the thesis successfully concludes that the artist's reconstruction of reality and readjustment of transcendent reality are reproduced via color extendibility, the movement of color-field.

색면추상 기법을 통한 AI 스피커의 상태 시각화 디자인 연구 (State Visualization Design of AI Speakers using Color Field Painting)

  • 홍승윤;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72-580
    • /
    • 2020
  • 최근 출시된 AI스피커들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있어 주로 음성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상태 표시LED를 통해 단순하고 정형화된 시각 피드백을 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는 스피커라는 제품 특성상 인터랙션의 제약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시각적 피드백마저 제품마다 통일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에게 일관된 경험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LED 표시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각 요소를 극대화하여 색과 추상적 움직임을 통해 음성 피드백을 보조한다면 사용자에게 기능성의 충족을 넘어 감성적 만족까지 포함하는 확장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AI스피커들의 인터랙션 방식 분석 후, 시각 피드백 효과 확장을 위해 색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색채만으로 감성적 경험을 극대화한 미술 장르인 색면추상의 의미와 표현 기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LED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상태를 피드백하는 방식을 디자인함으로써 AI스피커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능성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21세기 패션에 수용된 추상표현주의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bstract Expressionist Techniques in 21st Century Fashion)

  • 김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0-1440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abstract expressionist techniques among the art activities variousl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Its significance lies in making fashion artistic through the combination of fashion and art i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fashion culture. In terms of method, documents are used to characterize the concept of abstract expressionism,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and the panting techniques in relation to modem art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Fashion-related anthology,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were used to analyze the abstract expressionism applied to modern fashion since 2000.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abstract expressionism applied to modern fashion showed artistic expressions with the abstract beauty by chance, using only the images or techniques similar to those in abstract expressionism. Expressionist works had abstract and dynamic images, as they were given a third dimension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worn on the human body. Second, details or decorative factors were excluded to ensure the maximum space for expression, modem images were displayed using the simple forms such as silhouettes (spacious or dense) and the beauty of harmony was shown that had beauty emphasized by the expression effects of textile design, the division of space, and the composition of colors. Third, the action painting techniques in modern fashion were used for textile designs printed on the surface of clothes, and the dynamic character of the design was shown by the duplication and juxtaposition of stains created by chance. The color field abstract techniques were shown through printing, texture, and dying, in addition the intense and pure abstract images were displayed by treating clothes like large screens.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Rhizomatic Escape by Deleuze and Guattari - Song Hayoung With a focus on paintings and objet works -)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25-330
    • /
    • 2021
  •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