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도차

Search Result 6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dge Property based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에지 특성에 기반한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

  • Chang, Joon-Young;Kang, Moon-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15-4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컬러번짐 현상을 TV 수신단이나 MPEG 디코더에서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은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색도 신호의 천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색도 신호의 일정 윈도우 영역에 존재하는 주변 화소들의 국부 최대값 및 국부 최소값을 바탕으로 얻어낸 계단 신호를 사용한다.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서 이웃에 존재하는 화소들간의 색도 차를 계산하여 에지 특성을 분석하고 계산된 색도 차를 바탕으로 입력 신호와 계단신호와의 공간 적응적 가중치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이 컬러 번짐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Facial-feature Detection in Color Images using Chrominance Components and Mean-Gray Morphology Operation (색도정보와 Mean-Gray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한 컬러영상에서의 얼굴특징점 검출)

  • 강영도;양창우;김장형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3
    • /
    • pp.714-720
    • /
    • 2004
  • In detecting human faces in color images, additional geometric computation is often necessary for validating the face-candidate regions having various for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detects the facial features using chrominance components of color which do not affected by face occlusion and orientation.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property that the Cb and Cr components have consistent differences around the facial features, especially eye-area. We designed the Mean-Gray Morphology operator to emphasize the feature areas in the eye-map image which generated by basic chrominance differen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can detect the facial features under various face candidate regions effectively.

Effects of MA Storage with NaCl for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NaCl을 이용한 홍고추 및 홍피망의 MA저장 효과)

  • 정천순;이귀현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9 no.1
    • /
    • pp.8-13
    • /
    • 2002
  • The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MA) storage far fresh red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investigated with storing in high and few density polyethylene films (HDPE, LDPE) with various NaCl contents(0 g, 15 g, 20 g, 25 g). During the storage of pepper fruits, the weight loss, color change, mold emergence, and firmnes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 of pepper fruits packaged in HDPE and LDPE without NaCl was 3∼5%, even though it was 6∼19% in pepper fruits packaged with NaCl. The lutes of mold emergence of red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lowered to 20∼45% as stored in HDPE and LDPE with NaCl but those of fruits stored in films without NaCl were high as 55∼65%. The color and firmness of pepper fruits were not much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non-packaged fruits as stored in HDPE and LDPE with or without NaCl.

즉석 흑미죽 저장 중 품질변화

  • 이범수;은종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4.2-225
    • /
    • 2003
  • 흑미죽의 저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접착 플라스틱 백에 배합된 흑미죽의 원료들을 밀봉하여 121$^{\circ}C$에서 20, 30, 40분간 호화와 동시에 가열 살균시킨 뒤 냉각시켜 온도 4$0^{\circ}C$, 습도 58%의 저장고에 3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15일 간격으로 관능검사와 물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맛, 경도, 점성, 색깔, 향, 전반적 기호도 등 관능적 품질은 각각의 저장 15일 후가 가장 좋았으며 그 후로는 점차적으로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따른 차이는 20분간 가열 살균한 것이 제조 직후에는 다른 처리구 보다 약간 떨어졌으나 저장 15일 후부터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점도는 세 처리구 모두 제조 직후에 가장 낮았는데 그 후로 저장 60일 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다시 점점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가열살균 온도에 따른 처리구에 있어서 점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에 L값은 점점 낮아지는 반면에 a값과 b값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 온도에 따른 처리구간에 색도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Psyllium Husk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차전자피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 Lee, Jung Won;Ryu, Gi Hyung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23 no.4
    • /
    • pp.283-289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syllium husk addi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ice extrudates. Rice-based formulations mixed with psyllium husk (0, 7, 14 and 21%) were extruded at a die temperature of 140℃, screw speed of 200 rpm, and moisture content of 20%. As the content of psyllium husk increased, expansion ratio decreased, while piece density and specific length increased. Apparent elastic modulus, breaking strength, adhesiveness, and hardness augmented with an elevation in psyllium husk content. Lightness declined as psyllium husk content furthered, while redness, yellowness, and color difference intensified. Water soluble index and water absorption index increased with an increased amount of psyllium husk.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psyllium affected the expansion of extruded rice snack possessing hard texture, small cells, and sticky texture due to higher water absorption during hydration.

Effects of Emulsifier Ad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Psyllium (유화제 첨가에 따른 차전자피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 Lee, Jung Won;Ryu, Gi Hyung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23 no.2
    • /
    • pp.118-124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psyllium husk upon the addition of emulsifiers. Three different emulsifiers-glycerol monostearate (GMS), polyglycerol ester (PGE), and sugar ester (SE)-were added to the mixture of psyllium husk and rice powder before extrusion. Extrusion was performed using a twin-screw extruder at 140℃ die temperature, 200 rpm screw speed, and 16% feed moisture cont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psyllium husk extrudates including expansion ratio, specific length, piece density, texture profile, color properties, water soluble index, and water absorption index were evalu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expansion ratio was the highest while the specific length and piece density were the lowest in the control which had no emulsifiers. Texture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 apparent elastic modulus and breaking strength were highest in the extrudate with a PGE of 0.1%. The adhesiveness was found to be lowest in the extrudates with an SE of 0.1% and GMS of 0.5%. Lightness value was highest in the extrudate with a PGE of 0.1%. Color difference, water soluble index, and water absorption index were highest in the control. The results reveal that some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psyllium husk were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emulsifiers. This finding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syllium snacks with good physical characteristics.

Effect of Extraction Times with Bones from Hanwoo Bull on Physico-Chemical,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Extract (한우수소뼈의 추출횟수가 용출액의 이화학적 관응적 및 영양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진형;조수현;유영모;채현석;박범영;이종문;안종남;김학균;김용곤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3
    • /
    • pp.236-241
    • /
    • 2000
  • 본 연구는 한우우소뼈로 만든 용출액의 품질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한우뼈의 부가가치 향상 및 소비 확대를 위하여 추출횟수별에 따른 이화학적, 관능적 및 영양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탁도, 점도 및 콘드리이친황산함량에서 추출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P<0.05), 콜라겐 함량에서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에서 명도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와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관능평가에서 추출 회수가 증가할수록 평가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P<0.05), 총질소, 나트륨, 칼슘 함량 및 칼로리는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2차추출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조직특성에서 추출전 대퇴골의 단면은 골수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나 추출회수가 증가할수록 골수가 추출되어 3차 추출이후의 대퇴골 단면에는 골수 성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우우소뼈로 설렁탕을 가정에서 제조시 3차까지 우려내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lor Evaluation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by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시판차류제품(市販茶類製品)의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에 의한 색상(色相) 평가(評價))

  • Park, Kil-Dong;Choi, Jin-Ho;Sung, Hyun-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1 no.1
    • /
    • pp.25-30
    • /
    • 1982
  •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le sizes, densities, moisture absorption & desorption and color appearance were studied by using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and spectrophotometer. Among the tea-products was held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article sizes and color appearance but red ginseng extract powder (RGEP) was included L, a and b values when was reduced particle size. appearance color of tea-products indicated red-orange color, L, a and b values were ranged 32.7 to 48.0, 4.0 to 10.0 and 5.6 to 18.0, respectively, densities of tea-products ranged 0.232 to 0.898 g/ml and increased L values, Hunter's a/b ratio values was included in 0.61 to 0.90. Color stability in this products was well agreed with decrease of total color difference value ($\Delta$E) and chromaticity difference value ($\Delta$C) of the Hunter-lab color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