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한론(傷寒論)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2초

성무이(成無已)와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에 대한 고찰 -대어성무이화(對於成無已和)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적고찰(的考察)

  • 김진호;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60-65
    • /
    • 2006
  • 통과이상적연구(通過以上的硏究),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基一是), 성무이시북송료섭적인(成無已是北宋聊攝的人), 관타적기록부다(關他的記錄不多), 단통어(但通於)${\ulcorner}$의림렬전(醫林列傳)${\lrcorner}$ ${\ulcorner}$고금의통대전(古今醫統大全)${\lrcorner}$급타적저서(及他的著書), 가이심관타적언급(可以審關他的言及) 기이시(基以是), 타적저서(他的著書), 유(有) ${\ulcorner}$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lrcorner}$10권화(券和)${\ulcorner}$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lrcorner}$4권(券), 저시천명(這是闡明)${\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적미발지의(的未發之義), 병형성료관우용방약적이론체계(幷形成了關于用方藥的理論體系) 기삼시(基三是), 타찬성적(他撰成的)${\ulcorner}$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lrcorner}$시최초적관우(是最初的關于)${\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지주석서(之註釋書).

  • PDF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법상제오(辨太陽病脈證幷治法上第五)"에 대(對)한 연구(硏究)

  • 김진호;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1-120
    • /
    • 2007
  •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시성무이저술적서적(是成無已著述的書籍), 저시관우(這是關于)"상한론(傷寒論)"최초주석적서(最初注釋的書).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유지대영향우후대의가(劉至大影響于後代醫家), 단야유제기관우도식적해석지비판(但也有提起關于圖式的解釋之批判). "주해상한론(註解傷寒論)"시주서술관우태양병개념화계지탕증(是主敍術關于太陽病槪念和桂枝湯證). 특별관우중풍화상한적내용시설명태양병적개념(特別關于中風和傷漢的內容是設明太陽病的槪念), 후대의가근종차설(後代醫家근從此說). 야성무이설명대우계지탕증적병기(也成無已說明對于桂枝湯證的病機), 시이풍상위적개념래설명적(是以風傷衛的槪念來說明的).

  • PDF

$\ll$상한론$\gg$중 "이(而)"자(字)의 용법에 대한 약론(略論) (略论$\ll$伤寒论$\gg$ 中 "而"字的用法)

  • 곡송;김효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1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중의학에 나오는 중국어 문법을 토대로 문헌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한론"에 나오는 '이(而)'자(字)의 용법을 분류하고 조문별로 해석해 보았다. 우선 기존에 분류된 '이(而)'자(字)의 용법을 기준으로 하여, "상한론"의 조문 중에서 '이(而)'자(字)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모두 취합한 뒤 이를 분류하였고 주요 조문을 첨부하여 참고하도록 하였다. 향후 이러한 언어학적인 연구들은 장중경 "상한론"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본"상한론"에 대한 고찰

  • 전초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1호통권32호
    • /
    • pp.215-2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조개미(趙開美)${\ulcorner}$중경전서(仲景全書)${\lrcorner}$중의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에 ‘초각(初刻)’과 ‘보각(補刻)’의 구별이 있음을 밝혔다. 초각본(初刻本)은 일본(日本) 풍산비부(楓山秘府)에 소장되어 있는데 오자(誤字)나 궐문(闕文)이 많고 서구(書口)가 일정하지 않다. 이것을 일본(日本) 안정삼년(安政三年) (1856년(年))에 굴천제모(川濟摹)가 새겼는데, 굴천제본(川濟本)(안정본(安政本)이라고도 함)이 중국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조개미(趙開美)는 원판(原版)의 판목상(板木上)에서 오자(誤字)를 바로잡고 궐문(闕文)을 보충하였으며 서구(書口)를 정렬하였는데 이것이 ‘보각(補刻)’본(本)이다. 보각본(補刻本)은 현재 대만 고궁박물원도서관(故宮博物院圖書館)과 중의연구원도서관(中硏究院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북경국가도서관(北京國家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것은 대만본의 마이크로필름이다. 1923년(年)에 운철초가 안정본(安政本)을 저본으로 삼아 영인(影印)하고 이를 송본(宋本)${\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이라고 칭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게 되었다. 1990년(年)에 류도주(劉渡舟)가 처음으로 북경국가도서관(北京國家圖書館)에 소장된 송본(宋本)${\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마이크로필름을 저본으로 교주(校注)한 이후에 비로소 송본(宋本)의 전문(全文)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여러 판본을 자세히 비교해본 결과 초각본(初刻本)과 보각본(補刻本)에 많은 차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초각본(初刻本) 사이에도 다른 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쉽게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 PDF

허숙미(許叔微)의 생애(生涯)와 저서(著書)에 관(關)한 연구(硏究)

  • 최형록;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296
    • /
    • 2007
  • 통과대허숙미적생애화저서적연구득출여하결론(通過對許叔微的生涯和著書的硏究得出如下結論). 허숙미(1080${\sim}$1154)생어북송(許叔微(1080${\sim}$1154)生於北宋), 활동어북송여남송지간(活動於北宋與南宋之間), 타환실부모(他幻失父母), 내전심어의학학습(乃傳心於醫學學習), 오십삼세시고취과거(五十三歲時考取科擧), 증재관십년(曾在官十年), 내역관역의적유사지대표인물(乃亦官亦醫的儒士之代表人物). 허숙미적저서주요유 "허숙미상한론저삼종" (許叔微的著書主要有 "許菽微傷寒論著三鐘"), 포괄(包括) "상한백증가"("傷寒百證歌"), "상한발미론"("傷寒發微論"), "상한구십론"("傷寒九十論"), "보제본사방"("普濟本事方"), 영외거설환유 "중경삼십육맥법도"("仲景三十六脈法圖"), "치법팔십일편"("治法八十一篇"), "익상한론"("翼傷寒論"), "변류" 등("辯類" 等), 단현이불존(但現已不存). 현금소견적 "유증보제본사방"(現今所見的 "類證普濟本事方"), 역즉"본사방속집"(亦즉"本事方續集"), 수재어단파원윤적"중국의적고" 화구길생적"삼삼의서"(收載於丹波元胤的"中國醫籍考"和구吉生的"三三醫書"), 단요확정시허숙미적서서향유허다의점(但要確定是許叔微的署書향有許多疑點). "상한백증가"시장"상한론"적주요내용화역대의서급각의가적주장화일백수처방("傷寒百證歌"是將"傷寒論"的主要內容和歷代醫書及各醫家的主張和一百首處方), 이칠언가결적형식사성적전저(以七言歌訣的形式寫成的專著), 시현존최조적가결체의서(是現存最早的歌訣體醫書); "상한발미론"공유22론조성("傷寒發微論"共由22論組成), 시천발중오미적상한론참고서(是闡發仲奧微的傷寒論參考書); "상한구십론"유90론조성("傷寒九十論"由90論組成), 시허숙미치료상한병증적의안집(是許叔微治療傷寒病證的醫案集); "유증보제본사방"공유10권25문조성("類證普濟本事方"共由10卷25門組成), 재방373수(載方373首), 시집자기증시험과적처방화의학이론방면적신적영오이저성적(是集自己曾試驗過的處方和醫學理論方面的新的領悟而著成的).

  • PDF

상한론(傷寒論)중 한(汗), 하법(下法)을 중심(中心)으로 한 소음인(少陰人) 병증론(病症論) 고찰(考察) (A study on Soeumin's disease symptom based on the diaphoretic therapy and the purgative therapy of Shanghanlun)

  • 이병로;김준기;최달영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9권
    • /
    • pp.95-110
    • /
    • 2000
  • 이제마는 사상의학의 생리, 병리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한론을 많이 인용하였는데 치법에 있어서는 상한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며 특히 소음인편에서는 상한론의 한법이나 하법에 대해서 많은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에 동의수세보원 소음인편에 나타난 상한론 인용문과 동무의 의론을 한법과 하법을 위주로 비교하여 본 결과 사상의학과 상한론은 공통적인 사기의 개념과 병증구성상의 표리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한과 하의 개념에 있어서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치료법에 있어서 사상의학에서는 소음인에 대하여 승양이 안되는 체질상의 부족을 보충하는 승양익기법을 중요시하여 상한론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한론(傷寒論)" 제 24조문 중 "전자풍지.풍부(先刺風池.風府)"에 대한 문헌적 연구

  • 현고은;윤창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36
    • /
    • 2009
  • 硏究 傷寒論 "太陽病 初服桂枝湯 反煩不解者 先刺風池風府 却與桂枝湯則愈.", 風的特性, 奇經八脈與風池,風府穴, 今得 出如下結論. 風爲陽邪 其性輕揚發泄 易襲陽位 風邪易入人身上部及頭部. 風池,風府穴在人體上部及頭部, 風邪鬱滯風池,風府穴. 風池風府穴是奇經八脈中之一穴. 風邪侵入人身經脈, 其風邪溢滯奇經八脈, 故先刺奇經八脈之中一 風池,風府穴 散鬱滯風邪 而後服桂枝湯 卽病愈. 現在感冒治療及豫防 多用此二穴 效果良好.

  • PDF

"상한론(傷寒論)"의 "중풍(中風)"과 "상한(傷寒)"에 대한 고찰(考察);대우(對于) "상한론(傷寒論)" 지(之)"중풍(中風)"화(和) "상한(傷寒)"적고찰(的考察)

  • 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6-146
    • /
    • 2006
  • 파(把) "상한론(傷寒論)" 지중풍여상한적발병원인(之中風與傷寒的發病原因), 인위구분성풍사여한사(認爲區分成風邪與寒邪), 시불태적당(時不太適當). 우시(于是), 논자이사기적경중여체질(論者以邪氣的輕重與體質)(양기(陽氣))적성쇠(的盛衰), 진행중풍여상한적분석(進行中風與傷寒的分析),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基一是), 중풍시양기허적인감수료경적풍한사(中風是陽氣虛的人感受了輕的風寒邪), 소이사기침입우기육(所以邪氣侵入于肌肉). 상한시양기성적인감수료중적풍한사(傷寒是陽氣盛的人感受了重的風寒邪), 소이사기유우부표(所以邪氣留于膚表). 기이시(其二是), 중풍인정사적대치상태소완(中風因正邪的代置狀態疎緩), 소이기맥위부완(所以其脈爲浮緩). 상한시정사대치우부표이집중우피모(傷寒是正邪代置于膚表而集中于皮毛), 소이기맥위부긴(所以其脈爲浮緊). 기삼시(其三是), 중풍지사기직접거영향우인체(中風之邪氣直接去影響于人體), 소이위(所以爲)“즉발열(卽發熱)”. 상한적(傷寒的) “혹미발열(或未發熱)”시(是), 성적양기가이억제사기적상태(盛的陽氣可以抑制邪氣的狀態). “혹기발열(或己發熱)” 시양기수성이부가이억제중사적상태(是陽氣雖盛而不可以抑制重邪的狀態). 기사시(其四是), 중풍시인양기허이불가이고섭(中風是因陽氣虛而不可以固攝), 소이위자한(所以爲自汗). 상한시강성적정사도취우부표이울폐(傷寒是强盛的正邪都聚于膚表而鬱閉), 소이위무한(所以爲無汗). 기오시(其五是), 중풍감수료경적사기(中風感受了輕的邪氣), 소이견풍이재손양기(所以見風而再損陽氣), 재회유악풍한적증상(才會有惡風寒的症狀). 상한시감수료중적사기(傷寒是感受了重的邪氣), 소이수거밀실이유악풍한적증(所以雖居密室而有惡風寒的症). 기육시(其六是), 계지탕유해기적효능(桂枝湯有解肌的效能), 소이능치중풍증(所以能治中風證). 마황탕유축부표지사기적효능(麻黃湯有逐膚表之邪氣的效能), 소이치상한증(所以治傷寒證). 기칠시(其七是), “발어양(發於陽)”시당우상한(是當于傷寒), “양(陽)”적의사상당시최표층부적부표(的意思相當是最表層部的膚表). “발어음(發於陰)”시당우중풍(是當于中風), “음(陰)”적의사상당우비부표교심부적기육(的意思相當于比膚表較深部的肌肉). 기팔시(其八是), “풍가(風家)”시인양허이역환중풍적인(是因陽虛而易患中風的人).

  • PDF

"상한론(傷寒論)"에 나온 치자(梔子)의 용토(涌吐)효능에 대한 고찰(考察)

  • 이광재;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0호
    • /
    • pp.106-115
    • /
    • 2005
  •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시동한시기장기적저작(是東漢時期張機的著作), 시한의학제일부임상의학전저(是韓醫學第一部臨床醫學傳著), 저부서용리법방약어일로(這部書熔理法方藥於一爐), 개변증론치지선하(開辨證論治之先河), 시고대의학이론적존기지작(是古代醫學理論的尊基之作).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당중사용치자적처방유8종(當中使用梔子的處方有8種). 저사처방당중(這些處方當中), 치자시탕, 치자건강탕(梔子乾薑湯),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치자감초시탕, 치자생강시적하면도유일구' 득토자('得吐者) 지후복(止後服)'. 저개구자가해석위'(복용해탕후(服用該湯后))토자정지계속복용(吐者停止繼續服用)'. 거차가이인위사용치자적이상5개처방구유용토공능. 대우저개관점, 력대의가유사지긍정성태도(歷代醫家有些持肯定性態度), 유사인위시와전(有些認爲是訛傳), 지부정태도(持否定態度). 대차필자근거여하삼개방면, 즉(卽): 제일(第一), ${\ulcorner}$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lrcorner}$화(和)${\ulcorner}$명의별록(名醫別錄)${\lrcorner}$당중미제도치자구유용토공능(當中未提到梔子具有涌吐功能). 제이(第二), 사용치자적기타삼개방제, 미제도(未提到)‘토(吐)’. 제삼(第三), 종제도저5개처방적조문내용래간, 시불능사용토법적(是不能使用吐法的). 인위(認爲)‘득토자(得吐者), 지후복(止後服)’ 시후인오첨적구자(是後人誤添的句子), 병차인위치자무용토공능(幷且認爲梔子無涌吐功能).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