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태평가항목

Search Result 48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eighting Value Evaluation of Condition Assessment Item i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by Applying Hybrid Weighting Technique (혼합 가중치를 적용한 보강토 옹벽의 상태평가항목 가중치 평가)

  • Lee, Hyung Do;Won, Jeong-Hun;Seong, Joo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1 no.5
    • /
    • pp.83-93
    • /
    • 2017
  • This study proposed the new weighting values and fault points of condition assessment items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based on the combination the inspection data and hybrid weighting technique. Utilizing the inspection data of 161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multi regression analysis and entropy technique were applied to gain the weighting values of condition assessment items. In addition, the weighting values by AHP technique was analyzed based on the opinion of experts. By appling hybrid weighting technique to the calculated weighting values obtained by the individual technique, the new weighting values of condition assessment items were proposed, and the fault points and fault indices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were proposed. Results showed that the rank of the weighting value of the condition evaluation items wa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HP technique, and entropy technique. There was no duplication of the rank of the weighting value while the current weighting value was overlapped. Specially, in the rsults of multi regression analysis, two condition assessment items were occupied 70% of the total weights. When the proposed weighting values were applied to exist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161, 16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showed the increased risk rank and 31 represented the decreased risk rank.

Derivation of Building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for Generating 3D Safety Status Map (3D 안전상태지도 제작을 위한 건물 화재안전 평가항목 도출)

  • Youn, Junhee;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0
    • /
    • pp.40-47
    • /
    • 2020
  • Various technologies, systems, and legal systems are applied to prevent and quickly respond to fire disaster; nevertheless, the damages to life and property caused by fires are not reduced every year. For managing fire disaster, generating spatial information-based safety status map and procuring suitabi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sition information are essential. The safety status map is generated by deriving the fire safety status assessment factors, indexing, and locating the surveying results through various methods. In this paper, we deal with derivation of building fire safety assessment factors for 3D safety status map. At first, we survey the foreign and domestic fire assessment model cases and its factors, and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Korean 3D fire safety status map. Next, assessment factors for fire safety assessment model are derived. Assessment factors are derived and categorized by thei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y; factor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basic building information and factor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field survey. As a derivation result, 14 assessment factors were derived over five categories(Industry Risk, Structural Risk, Fire Fighting Facility, Fire Dangerousness, Fire Response Status).

A Study on Performance-based Evaluation Method for Rock Slopes : Deduction of Evaluation Factors (암반비탈면의 성능기반 평가기법 연구 : 평가항목 도출)

  • Lee, Jong-Gun;Suk, Jae-Wook;Kim, Hong-Kyoon;Kim, Yong-Soo;Moon, Joon-Shik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5 no.1
    • /
    • pp.86-96
    • /
    • 2015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based evaluation factors for rock slopes have been deducted using Delphi-method. Validity of the result was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Performance of rock slope is classified as soundness, stability and durability. Through the Delphi survey, 17 factors including discontinuity orientation are deducted for soundness, 4 factors and 3 factors are selected for stability and durability, respectively. Validation is conduc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for 24 factors, and all factors are found to be vali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3-types of performance were subdivided into internal soundness, external soundness, risk, damage and durability of slopes and protection (reinforcement) facilities.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for Hydrological Safety o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저수지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항목 및 지표 개발)

  • Lee, Jae Ju;Rhee, Kyoung Hoon;Park, Jong Seok;Han, Chang Wha;Jin, Wan Gyu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403-411
    • /
    • 2014
  • This study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for Hydrological Safety on Agricultural Reservoir improvement and grasped the relative importance through stratification of the evaluation points through AHP technique exercised by group of experts. Below conclusion was acquired based on the study done. Firstly, the hierarchy of the evaluation items was divided into two layers: there were six upper evaluation items and eleven lower evaluation items. Secondl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importance values of the six upper evaluation items were determined via the paired comparison questionnaire survey and consistency check, which were in the order of maintenance condition (condition evaluation grade), freeboard of levee body (non-overtopping), discharge capacity of spillway, potential flood damage, flood calculation factor and freeboard of downstream bank. The maintenance condition(condition evaluation grad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sults of the hydrological safety on agricultural reservoir evaluation results. Finally, the study indicated that in the short term, improving the safety check condition evaluation grade will be useful to improve the hydrological safe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because it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Risk Assesment for Large-scale Slope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대규모 비탈면의 위험도 평가)

  • Lee, Jong-Gun;Chang, Buhm-Soo;Kim, Yong-Soo;Suk, Jae-Wook;Moon, J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9 no.11
    • /
    • pp.99-106
    • /
    • 2013
  •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of evaluation items and safety rating for 104 of large-scale slopes along the general national road was analyzed. And, we proposed the regression model to predict the safety rating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As the result, it is shown that the evaluation items of slope angle, rainfall and groundwater have a low correlation with safety rating. Also, the regression model sugg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high predictive value, and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if the evaluation items of excavation condition and groundwater (rainfall) are not clear.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s Factors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Jiyeon;Jung, ilwon;Kim, Mina;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0-460
    • /
    • 2018
  • 댐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벌(이하 시특법)"에 따른 댐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의 안전성평가 중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댐 시설물을 평가 수행 시 주요한 평가 항목이다. 기존의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가능최대강수량 발생 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에 대한 평가 여부만 판단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의 추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가능최대강수량으로 event적 평가를 수행하는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에서 기존평가항목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장기적 관점의 추가적인 기후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함께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한다. 장기적 관점의 기후영향인자라 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에서 30년동안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상 댐의 운영에 부담을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자료를 활용하여 기후인자의 장기적 변동성을 추정하고자 하며, 이때 활용한 지표로는 월최대강수량, 연강우강도 및 댐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소기온을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월최대 강수량값을 산출하였고, 1년 동안 발생한 강우의 일수 및 강수량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강우강도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 평가 시 댐 상태에 대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댐의 외부상태에 영향을 주는 최소기온을 활용하여 댐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2011~2040년(S1), 2041년~2070년(S2), 2071년~2100년(S3)기간으로 나누어 장기간 기후에 대한 영향 평가를 수행하여 1종 댐 시설물의 기후영향인자 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후영향인자를 기존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항목과 함께 평가 될 수 있도록 AHP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재산출하였고,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하는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AR(Augmented Reality) Game (증강현실 게임의 평가모델 연구)

  • Park, Ch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71-572
    • /
    • 2021
  • 게임의 평가모델은 게임의 성공적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되어 왔다. 특히 게임의 사전 평가는 게임의 성공을 견인하는 중요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평가하는 연구가 있어왔으나 4차 산업을 대두로 기술적 발달에 근거한 가상현실 게임과 증강 현실 게임 평가 항목은 연구 결과가 많지 않았다. 특히 증강 현실 게임에 중점하여 평가 항목을 연구한 결과는 전무한 상태이며 온라인 게임 등 다른 장르의 게임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왔다. 특히 게임의 재미 요소를 근간으로 하는 평가 항목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장르 및 플렛폼에 따라 평가 항목이 다양하여 증강 현실에 적합한 평가 항목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하여 유용성을 확인한다.

  • PDF

Use of dynamic measurement for pavement condition evaluation (도로포장상태 평가를 위한 진동계측의 이용)

  • 김수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21-26
    • /
    • 1990
  • 포장도로는 신설된 후 계속적인 차량의 통행과 기후 조건의 변화등으로 시 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그 상태가 저하된다. 따라서 포장도로는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쾌적한 차량의 통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지보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지보수를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 하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도로 신설의 투자비 보다 유지보수에 사용 되는 예산이 더 많아지고 있는데 효율적인 유지관리 시스템의 개발로 투자 비를 적정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도로 포장 구조체가 도 로 이용자에게 어느 정도의 안전성, 쾌적성 및 신속성을 제공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은 포장관리의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그 결과는 포장의 공용성 개념으로 표현된다. 포장상태 조사시 포함되는 항목들은 포장유지관리 시스 템을 운용하는 기관마다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노면조도, 노면장애, 구조적 능력, 미끄럼저항등이다. 이중 진동계측장비가 많이 사용되는 항목은 노면조도와 구조적 능력평가 부분으로서 이 두 항목에 포함되는 진동 계측 장비와 그 이용방법에 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Index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로 위험도 예측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Ye Ji Choi;Han Na Jung;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2-402
    • /
    • 2023
  • 상수관망은 충분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물이다. 상수관로의 노후화, 누수 등은 수도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지능형 상수도관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수도 수질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사전에 취약지점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와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상수관로 위험도와 관련된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인자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상수도 위험도 평가 항목에 대한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를 정립하여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지표의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 검증을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문헌 자료의 평가항목들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인자를 31개의 직접 인자와 5개의 간접 인자로 구분하였고, 인자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직접 인자는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 항목,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부식성 항목,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계측 항목, 직접적인 수질 결과를 제공하는 정수장 수질 항목, 상수관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자산관리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추후, 위험도 평가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상수도 사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teriorated Masonry of Military Facilities (조적조 노후 군시설의 성능평가기준)

  • Yang, Eun-Bum;Shin, Jong-Hyun;Lee, Cha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7 no.3
    • /
    • pp.167-174
    • /
    • 2003
  • Military facilities with masonry have a great portion in the whole military facilities. But lots of them have been used for more than 20 years,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facilities are serious. Futhermore, as insufficient budget for the facilities maintenance and poor maintenance, the performance of the aged masonry facilities have continually decreased. We suggest a structural performance assessment criteria for the military fac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interview with experts and questionnaire. The major assessment factors for the structural performance include the inclining and sinking degree of the facilities, durability of materials and resisting force of the structural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