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징적 소비성향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물질주의 성향 및 사회화대행자의 태도가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ialism and Agent of Socialization on the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 이선재;고은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62-1570
    • /
    • 2004
  • 본 연구는 제품의 기능적 측면보다는 제품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주관적 의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지향적인 사회분위기 속에서, 이론적 연구와 예비조사결과를 토대로 물질주의 성향과 사회화대행자의 영향력에 따른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500명을 편의 추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26명을 SPSS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분산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복의 상징적 소비는 유행추구적 소비, 유명상표지향적 소비, 쾌락적 소비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20대 여성 소비자에게 의복은 기능적 측면으로서 뿐만 아니라 쾌락적 소비의 수단으로써 중요한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질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사회화대행자의 영향력을 많이 받을수록 의복의 상징적 소비와 하위요인의 성향도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준거집단의 영향이었으며, 물질주의성향과 대중매체의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의식과 물질주의가 미국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Materialism on Compulsive Buy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f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박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05-7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적 소비성향간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상징적 자기완성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가설을 설계하였으며,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미국 중서부지역의 한 대학교의 여대생 3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6명의 응답을 연구결과분석에 이용하였다. 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공적 자의식은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소비성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적 자의식은 과시소비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순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적 소비 성향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소비 성향간의 관계 메커니즘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사회 심리학적 소비자 행동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미국 여대생을 표적 시장으로 하는 기업이 표적소비자의 소비행동과 심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of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Preferences for Sensibility Factors of the Fabrics)

  • 김여원;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27-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색채 톤, 무늬, 질감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감성적 소비성향과 패션소재의 감성요소 선호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감성적 소비성향을 요인분석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심미적 소비성향, 쾌락적 소비성향 등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조사대상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 개성적 소비성향, 상징적 소비성향의 순으로 중요시하였는데, 감성적 소비성향은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패션소재의 감성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다양한 색채 톤을 선호하였고 밝은 색채 톤에 대한 선호도는 성과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플로럴 무늬에 대한 선호도는 성, 연령, 학력, 직업, 결혼여부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패션소재의 질감이미지 선호도는 학력을 제외한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성인 남녀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감성요소 선호도 요인 간에는 대다수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포츠 4.0 시장 소비자의 온라인 소비성향 탐색: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 스포츠 용품 소비를 중심으로 (Exploring On-line Consumption Tendency of Sports 4.0 Market Consumer: Focused on Sports Goods Consumption by Generation of Working Age Population)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4
    • /
    • 2023
  • 본 연구는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 스포츠 용품 온라인 소비성향을 탐색하고, 스포츠 4.0 시장의 온라인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미래의 소비 시장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 집단(Y세대 이상, Z세대) 중 스포츠 용품을 소비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47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적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ver. 21.0)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재검사 신뢰도의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의사결정 나무 분석을 실시했다. 생산 가능인구의 세대별에 따른 스포츠 용품 온라인 소비성향 탐색결과, 여유, 즐거움, 자아 상징, 가격 요인이 높을 경우와 자아 상징, 기능, 환경 친화 요인이 낮을 경우 Z세대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크게 나타났으며, 여유 요인이 낮고, 자아 상징 요인이 높을 경우와 즐거운 요인이 낮고, 연대적 소비 요인이 높을 경우 Y세대 이상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모형의 분류 정확도는 69.7%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in The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of Adolescents)

  • 김영숙;이경옥;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7-292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degree of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and its fa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 sex, grade,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father's job, mother's job, monthly allowance, monthly household income - self-esteem, and socialization agents variables - parents, friends, mass media - on the propensity. In this study, the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is defined as the propensity to consume products through their affective, subjective, and symbolic value rather than through their practical and utility valu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09 adolescents who are in the 2nd grade of middle or high schools in Pusa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mother's job, and monthly allowance. 2. It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adolescents' self-esteem. That is, the lower self-esteem adolescents have, the higher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they show. 3. It also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 degree of accepting friends' view, th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friends, the degree of informative influence from friends, and the degree of taking in mass media.

  • PDF

청소년들의 상징적 의류제품 소비성향과 관련변수와의 관계연구 (The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and Related Factors)

  • 이옥희;홍병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81-79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pensity for symbolic consumption and the effects of materialism, reference group, and social stratification on the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Data were administered to 957 adolescence in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 living in Seoul, Chonju, Sunchon, Yousu, and Kwangyang from May to June 1997. For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ies,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1-test, one-way anomi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follows. 1) Symbolic consumption, materialism, and reference group were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stratification groups by objectivemethod. The higher social stratification is, the higher symbolic consumption, materialism, and reference group were. 2) symbolic consumption were proven to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teriaiism and reference group. The higher materialism and the influence of referencegroup indicated, the higher symbolic consumption. 3)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ables are in order of : the influences of the reference group, materialism, social stratification, status inconsistency type (occupation-income), and their explanatory power totalled 40.0%.

  • PDF

패션제품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따른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with regard to Symbolic Consumption Propensity toward Fashion Goods)

  • 김정란;유태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99-50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depending on symbolic consumption propensity toward fashion goods. Subjects were 391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who live in Gyungsang Province and have purchased the fashion good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3.0 as data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Uniqueness and materialism out of the symbolic consumption propensity toward fashion good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lements of brand attachment such as love, care, and knowledge. Brand loyalty was influenced positively by social face sensitivity and materialism among symbolic consumption toward fashion goods.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 복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따른 소비자집단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Groups based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and Masstige Brands, and Counterfeits)

  • 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3-309
    • /
    • 2021
  • 본 논문은 20-30대 소비자들이 사회적 가치가 높은 명품, 매스티지 브랜드와 복제품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구분하는지, 과시소비성향과 동조성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브랜드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20-30대 소비자를 구분하고, 집단별로 동조성과 과시소비 성향의 하위차원에서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20-30대 소비자는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개성추구성향(F=4.282, p=.006)과 브랜드지향성향(F=23.178,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와 연관이 있었고, 유행추구성향(F=8.376,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집단과 복제품에도 관심이 있는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가격추구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조성(F=3.537, p=.015)은 명품과 매스티지에 대해 약간 좋아하지만 복제품은 싫어하는 집단만 제외하면 모두 높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의미가 큰 브랜드들에 대한 20-30대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로서 향후 소비자의 브랜드 범주화에 대한 연구로 발전시키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의미가 있다.

중국 중서부 지역(운남성) 대학생들의 소비행동 연구(제1보): 물질주의성향에 따른 소비자태도와 의복구매행동분석 (A Study of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Midwest(Yunnam) in China(Part I): The Effects of Materialism on the Consumers's Attitude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 이옥희;강영의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1호
    • /
    • pp.50-6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mographics and materialism on the consumers's attitude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The subjects compose of 302 college students living in Yunnam, China. The mean, ANOVA, factor analysis, Duncan test were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factors of materialism, symbolic consumptions, and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are identified: three factors of materialism (success symbols, practical living, and happiness pursuing), three factors of symbolic consumption (conspicuous, hedonic, communication), and five factors of attitudes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quality, involvement, ostentation, luxurious aspect, pleasure). Among the demographics, gender, income, social stratification, father's education and job influenced the symbolic consumption, and desire's fashion luxury products. In addition, gender, income, social stratification, father's education and job influence the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the extent of using fashion informations. Lastly, symbolic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and apparel purchasing behaviors all prove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of materialism.

사용자 특성이 아바타 수용에 미치는 영향 (User′s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Avatar Acceptance)

  • 이승현;최훈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3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93-108
    • /
    • 2003
  • 최근 들어 신세대들은 온라인을 통해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바타는 ‘분신’, ‘화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다. 가상공간 속에서 오프라인 상에서 표현하지 못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바타의 출현으로 인터넷에서의 자기표현 방식이 외향적인 형태로 변화하는데 이는 새로운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표현이 다각적으로 연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는 신세대들의 자기표현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고 할 수 있겠다. 신세대들은 또한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이 매체를 통해 보급될 경우 수용도가 다른 세대에 비해 빠르다. 이렇듯 아바타의 도입과 활용은 신세대의 자기표현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웹과 핸드폰을 통해서 2D 기반의 아바타가 활용되고 있으며,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지고 있는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바타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신세대들의 특성에 따른 아바타의 수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아바타의 수용에 관한 이론은 심리적 특성 이론으로 자아 존중감, 유행 선도력, 소비가치 등이 있으며, 사용자 수용 이론으로 혁신 성향, 유흥 성향 등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들의 특성을 심리적 특성이론과 사용자 수용이론으로 구분하여 이 특성에 따라서 향후 개발될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방법은 D대학교의 교양과목인 “사이버문화의 이해와 활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70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총 164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확보하였다. SPSSWIN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값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분석을 하고, 연구변수로 선정한 각 요소들의 아바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특성과 사용자 수용 특성은 아바타 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 결과가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