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수원보호구역제도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Willingness to Pay for Drinking Water Protection Zone (상수원보호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추정 연구)

  • Ryu, Munhyun;Kim, Sueyoung;Choi, Hanju;Choi, Hy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5-75
    • /
    • 2022
  • 우리나라는 깨끗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고 각종 오염과 유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상수원보호구역으로 관리하고 있다. 상수원 수질관리를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내에서는 명백한 오염유발행위 일체를 금지하고 있으며 건축물 신축 등 개발행위에 대해서는 공익시설 및 보호구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소득기반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행위만을 허가하는 등 강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상수원보호구역제도의 상수원 관리효과와 비례하여 상하류 지역의 사회적 갈등에 대한 개선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상수원보호구역 내 강한 규제로 인해 상류주민들은 재산권의 제약으로 사유재산에 대한 형평성문제 및 수처리 기술개발이 향상되어 과거와 같은 강한 입지규제에 대한 합리적 규제기준 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하류 지역에서는 상수원보호구역의 완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질악화를 고려하여 강한 규제의 유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수원보호구역제도로 인한 상류와 하류의 이해관계가 달라 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상류주민들의 재산권제약에 대한 피해정도와 하류주민들의 수질보호로 인한 편익을 정량적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 조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review of water protection zone policies in other countries (해외 상수원 보호구역 정책에 관한 고찰)

  • Ryu, Mun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
    • /
    • pp.83-88
    • /
    • 2020
  • Since water quality protec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health and survival of the people, various policy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 any country. This paper seeks to find policy alternatives for Korea's water resource protection area by examining policies related to water resource protec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집중기획 - 2014 낙농경영 실태 조사

  • 한국낙농육우협회
    • 월간낙농육우
    • /
    • v.34 no.10
    • /
    • pp.153-162
    • /
    • 2014
  • 낙농가들은 향후 경영계획에 있어 규모확대(32%)보다는 현상유지(54%)를 더 원하고 규모축소(1.7%)와 낙농포기(3.4%)의사는 전년(7.7%)대비 2.6%P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낙농을 포기하는 주된 이유로는 환경문제가 꾸준히 1순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번에는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최근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포함한 환경관련 규제가 강화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낙농가들은 국내 낙농업 전망에 대해 88%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10%정도는 '해볼만하다'는 낙관론도 보였다. 시급한 환경현안으로는 무허가 축사(39%)와 퇴비화시설(36%) 문제를 꼽는 낙농가가 가장 많았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가당 최소 5000만 원~2억 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FTA시대에 가장 중요한 낙농대책으로는 '전국단위 낙농제도 개선'(35%)과 '제도적인 우유소비확대 마련'(29%) 등으로 나타났다. 목장의 토지이용과 관련한 규제사항으로는 가축사육제한구역(31%), 상수원수질보전대책지역(14%), 군사시설보호구역(13), 개발제한구역(8%)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우 '군사시설보호구역' 때문이라는 응답이, 충청도와 경상도는 '가축사육제한구역'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가 최근 국내 낙농의 경영현실과 당면과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낙농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14년 5월 19일부터 6월20일까지 한 달간 낙농조합의 협조를 얻어 전국의 6,000 농가 중 700 농가를 선정해 실시, 그중 설문에 참여한 542농가의 응답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낙농정책연구소는 이번 조사 결과를 '2014 낙농경영 실태조사' 책자로 발간해 유관기관 및 협회 도지회 등에 배포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Non-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비구조적 홍수저감대책 고찰)

  • Song, Jae-Ha;Jang, Ho-Yoon;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9-429
    • /
    • 2011
  • 우리나라는 연중 강우량의 계절적 편중이 심하여 약 2/3이 6월-9월에 집중하는 기상학적 요인과, 국토의 약 70%가 산악지역으로 되어있는 지형학적 요인 등 홍수에 취약한 자연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하천, 도시 저지대, 해안 및 산지에서는 홍수범람, 내부배제 불량, 해일, 산사태 등으로 매년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 현상과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극한 홍수의 발생빈도가 높아가고 있으나, 기존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능력 부족 등으로 매년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으로, 구조적인 대책만으로는 재해피해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토지이용규제 및 개발규제, 홍수터관리, 홍수예경보 등 비구조적 재해대 비능력 향상이 시급한 현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구조적 수방기술의 발전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구조적 대책에 비해 비구조적 대책의 개발 및 적용은 미흡한 형편이므로, 비구조적 홍수대책의 종합적 정비 및 효율적 운영방법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유형별 발생원인별 대표적인 비구조적 홍수대책을 국내외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비구조적인 홍수방어대책들에 대한 장단점 및 적용성 등의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여건에 적합한 홍수위험구역 설정방안을 제시하고자, 국내의 다양한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관련규정인 하천구역, 홍수관리구역, 수변구역, 상수원보호구역, 친수구역, 홍수위험구역, 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국외 사례로 영국의 홍수위험구역 평가제도, 미국의 홍수터 관리 프로그램, 호주의 하천공간 분류 기준, 일본의 하천공간 설정 기준 등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 홍수보험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현재 소방방재청 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풍수해보험제도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홍수보험프로그램, 프랑스의 자연재해보험, 스위스의 자연재해보험풀 제도, 일본의 홍수보험제도에 대하여 심층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 PDF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Farming in South Korea (한국의 유기농산물 생산의 지역적 분포 특성)

  • Chung, Hee-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3
    • /
    • pp.329-348
    • /
    • 2003
  • This paper has examined the origin of organic fanning, its development stages, its certification program, and its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Organic agriculture in South Korea originated in the late 1970s as several organic farmers' associations started to be formed. However, the certification of organic farm products, based upon the Codex guideline on organic produce as well as the FAO/WHO find standards, was not institutionalized with the year 2001. A majority of organic products are currently certified as farm products grown with low chemical input. Vegetables grown without any chemical input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certified produce, while fruits take the smallest. The average size of farms practicing organic agriculture is 0.88 hectare, smaller than the scale of conventional farms being 1.39 hectare. These organic farms are concentrated in Gyeonggi, Chungcheongbuk, and Jeju Province, where organic farmers' associations were first founded. The roles of those associations not only in developing and extending organic farming techniques but also in promoting organic agriculture to consumers were most critical in the regional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It would be desirable for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organic farming in tandem with a whole environmental movement.

  • PDF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Village Forest in Gyeonggi-do (경기도 마을숲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Hwang, Dong-Kyu;Kim, Dong-Yeob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4
    • /
    • pp.99-111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ocation, shape, environment, and vegetation of the Village Forest in Gyeonggi-do and to evaluate the ecological integration and changes of the Village Forests to figure out the measur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re were 23 Village Forests remain in Gyeonggi-do. Ten Village Forests were established based on Feng-shui background. Many of them were found in Yongin area and southeast of Icheon. The Village Forests were owned by local community at 9 village and privately owned at 8 villages. Most Village Forests were managed by local communities except for the two managed by private person. Fifty-two percent of the Village Forests were in strip shape, and most of them were established by Feng-shui background or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The average size of the Village Forests was relatively small at 3,046m2. The most frequent tree species found at the Village Forest were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Over half of the number of Village Forests showed vertical structure of overstory trees only or overstory-sub overstory combination, which seemed to be resulted from the loss of understory plants by the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The Village Forests that had over 30% of damaged trees were found at 7 villages. The damages were caused by the road construction close to the groves, soil compaction, and tree death by covering lower stem with soil. The vitality of the damaged trees seemed to be significantl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undamaged. There wer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changes in the Village Forests: community ritual, institutional protection, designation as a water resource protection district, road construction, land use change, windstorm hazards, and development of forest areas. In order to conserve and manage the Village Forests appropriately, it is necessary to limit excessive use of the grove areas and maintain proper tree growing conditions by improving the soi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neighborhood areas need to be controlled and community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to maintain or restore the original landscape of the groves. Protection measures and supporting policies need to be enforced to keep the Village Forests from disappearing in near future.

Characteristics of Manure and Estimation of Nutrient and Pollutant of Holstein Dairy Cattle (홀스타인 젖소 분뇨의 특성과 비료성분 및 오염물질 부하량 추정)

  • Choi, D.Y.;Choi, H.L.;Kwag, J.H.;Kim, J.H.;Choi, H.C.;Kwon, D.J.;Kang, H.S.;Yang, C.B.;Ahn, H.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1
    • /
    • pp.137-14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ertilizer nutrient and pollutant production of Holstein dairy cattle by estimating manure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content of feces was 83.9% and 95.1% for urine. The pH of feces and urine were in the ranges of 7.0~7.4 and 7.5~7.8, respectively. The average BOD5, COD, SS, T-N, T-P concentrations of the dairy feces were 18,294, 52,765, 102,889, 2,575, and 457mg/ℓ, respectively. Dairy urine showed lower levels of BOD5(5,455mg/ℓ), COD(8,089mg/ℓ), SS(593mg/ℓ), T-N(3,401mg/l), and T-P(13mg/ℓ) than feces. The total daily produced pollutant amounts of a dairy cow were 924.1g(Milking cow), 538.8g(Dry cow), 284.4g(Heifer) of BOD5, 2,336.5g (Milking cow), 1,651.8g(Dry cow), 734.1g(Heifer) of COD and 4,210.1g(Milking cow), 2,417.1g(Dry cow), 1,629.1g(Heifer) of SS and 194.8g(Milking cow), 96.4g(Dry cow), 58.3g(Heifer) of T-N and 24.0g(Milking cow), 10.2g(Dry cow), 6.1g(Heifer) of T-P. The calculated amount of pollutants produced by a 450kg dairy cow for one year were 181.3kg of BOD5, 492.5kg of COD, 899.9kg of SS, 36.0kg of T-N and 4.1kg of T-P. The total yearly estimated pollutant production from all head(497,261) of dairy cattle in Korea is 90,149 tons of BOD5, 244,890 tons of COD, 447,491 tons of SS, 17,898 tons of T-N and 2,008 tons of T-P. The fertilizer nutrient concentrations of dairy feces was 0.26% N, 0.1% P2O5 and 0.14% K2O. Urine was found to contain 0.34% N, 0.003% of P2O5 and 0.31% K2O. The total daily fertilizer nutrients produced by dairy cattle were 197.4g (Milking cow), 97.4g(Dry cow), and 57.9g(Heifer) of Nitrogen, 54.2g(Milking cow), 22.2g(Dry cow), and 14.2g(Heifer) of P2O5 and 110.8g(Milking cow), 80.4g (Dry cow), and 39.5g(Heifer) of K2O. The total yearly estimated fertilizer nutrient produced by a 450kg dairy animal is 36.2kg of N, 8.8kg of P2O5, 24.6kg of K2O. The estimated yearly fertilizer nutrient production from all dairy cattle in Korea is 18,000 tons of N, 4,397 tons of P2O5, 12,206 tons of K2O. Dairy manure contains useful trace minerals for crops, such as CaO and MgO, which are contained in similar levels to commercial compost being sold in the domestic market. Concentrations of harmful trace minerals, such as As, Cd, Hg, Pb, Cr, Cu, Ni, Zn, met the Korea compost standard regulations, with some of these minerals being in undetected am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