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출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3초

흉수분석에 의한 질병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By Analysis of Pleural Effusion)

  • 고원기;이준구;정재호;박무석;정낙영;김영삼;양동규;유내춘;안철민;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59-569
    • /
    • 2001
  • 연구배경 : 흉수는 악성종양이나 결핵, 폐렴 등의 다양한 호흡기질환과 관계하여 흔하게 나타나는 임상양상이다. 그러나 그 원인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흉수의 생화학적 검사는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질환의 삼출액을 비교분석하여 각 질환을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를 찾아보고 악성과 비악성을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저자 등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외래 및 입원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흉수의 혈구감별 및 세포수, 단백, 당, 비중, 산도, LDH, cholesterol, protein, albumin, bilirubin, Mg, iron, amylase, ferritin, haptoglobin, ceruloplasmin, C3, C4, ADA, 그람 염색 및 및 세균배양, Z-N 염색 및 M. tuberculosis 배양을 하였으며 그 외 조직병리검사 및 세포병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의 남녀비는 각각 56 : 3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7.1{\pm}21.8$세 이었으며 진단은 악성 삼출액 16례, 부악성 삼출액 12례, 결핵성 삼출액 36례, 부폐렴성 심출액 22례, 여출액 7례이었다. 각 질환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 부폐렴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에서 LDH2 분절이었고 각각의 LDH2 분절치는 $20.2{\pm}7.5%$$30.6{\pm}6.4%$이었으며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에서 LDH1 분절, LDH2 분절이었고 각각의 LDH1 분절치는 $7.6{\pm}4.7%$$16.4{\pm}7.2%$ 각각의 LDH2 분절치는 $17.6{\pm}6.3%$$30.6{\pm}6.4%$ 이었다.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악성 흉수에서 흉수/혈청 LDH4 분절비이었고 각각의 흉수/혈청 LDH4 분절 비치는 $2.1{\pm}0.6$$1.5{\pm}0.8$이었다. 또한 각 질환별로 상호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결핵성 흉수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생화학적 지표는 부악성 흉수는에서 LDH4 분절과 흉수/혈청 LDH4 분절비이었고 각각의 LDH4 분절치는 $23.5{\pm}4.6%$$17.0{\pm}5.8%$이었고 흉수/혈청 LDH4 분절비치는 각각 $2.1{\pm}0.6$$1.3{\pm}0.4$ 이었다. 결 론 : 각질환의 감별진단하는데 유용한 생화학적 지표는 LDH isoenzyme 이었고 이 중 부악성 삼출액과 결핵성 삼출액을 감별하는 흉막액/혈청 LDH4 분절비가 cut-off value 1.75에서 sensitivity 61.0% specificity 100% positive predictive value 91.2%로 가장 유용하였다.

  • PDF

결핵성 늑막염에서 삼출액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지표 (Clinical Indices Predicting Resorption of Pleural Effusion in Tuberculous Pleurisy)

  • 이재호;정희순;이정상;조상록;윤혜경;송치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660-668
    • /
    • 1995
  • 연구배경: 결핵성늑막염은 항결핵요법만으로 치료가 잘되므로 일반적으로 진단목적의 천지이외에 늑막 삼출액의 배액 등 적극적 처치는 불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출액의 소방화나 늑막비후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늑막박피술 등의 처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흔히 접하게 된다. 본 연해서는 결핵성늑막염으로 항결핵제를 투여받았으나 후유증이 남아 늑막박피술을 받은 군과 약제만으로 치료하여 호전된 군간에 임상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부터 1993년사이에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에서 늑막생검상 결핵성늑막염으로 확진된 증례중 항결핵요법만을 받고 9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증상발현부터 치료까지의 기간, 일반화학검사결과 등을 알아보고, 늑막삼출액의 정도를 흉부방사선소견에 따라 나눈다음 후유증이 남아 늑막박피술을 받은 20명을 1군으로, 9개월의 항결핵요법만으로 호전된 20명을 2군으로 분류하여 두군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 늑막삼출액의 포도당치는 1군이 $63.3{\pm}30.8$, 2군이 $98.5{\pm}34.2$(mg/dl), 락트산탈수소효소치는 1군이 $776.6{\pm}266.0$, 2군이 $376.3{\pm}123.1$(IU/L) 그리고 증상 발현부터 치료까지의 기간도 1군이 $2.0{\pm}1.7$, 2군이 $1.1{\pm}1.2$(month)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1군에서 폐환기능은 수술후 2개월에 노력성폐활량이 $2.55{\pm}0.80$에서 $2.99{\pm}0.78$로, 1초시 호기량이 $2.19{\pm}0.7$에서 $2.50{\pm}0.69$(L)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4예의 수술병리소견은 활동성결핵을 시사하였다. 3) 늑막삼출액의 백혈구감별산정 및 단백질값에는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결핵성늑막염에서 상대적으로 늑막삼출액의 포도당치가 낮거나 락프산탈수소효소치가 높은 경우에는 항결핵 요법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높고 병리학적으로도 결핵이 완치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수술후에는 폐기능장애의 개선도 기대되므로, 유의한 후유증이 남으면 수술요법 등의 적극적 치료를 고려해야한다. 향후 결핵성늑막염이 항결핵요법만으로 후유증없이 치유되는가에 대한 검토와 함께 늑막삼출액의 흡수정도를 예측할수 있는 임상적지표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Prader-Willi syndrome 환자의 치과 치료 : 증례보고 (DENTAL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PRADER-WILLI SYNDROME : A CASE REPORT)

  • 이명연;정연욱;김성오;최형준;손흥규;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6-30
    • /
    • 2014
  • 프라더 윌리 증후군과 원인을 알 수 없는 심낭 삼출을 앓고 있는 3세 남환이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 구강 검사 결과 다발성 우식증과 구강 전반에 걸친 치아 마모증이 관찰되었다. 약 10개월간 보존적인 수복치료와 구강 위생관리를 시도하였으나, 치아 우식의 빠른 진행과 환아의 협조도 부족으로 전신마취 하 우식 치료를 시행하였다.

흉막과 간을 동시에 침범한 폐의 유상피 혈관내피종 1예 (A Case of Epithelioid Hemangioendothelioma Involving the Lung, Pleura and Liver)

  • 나주옥;서기현;박지영;김정훈;김태훈;최재성;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79-184
    • /
    • 2005
  • 폐의 유상피 혈관 내피종이 진단 당시 흉막과 간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는 드물다. 저자 등은 폐에 결절이 있고 동측에 다량의 흉막 삼출액이 동반되어 있으면서 간에 다발성 결절을 보인 26세의 젊은 여자환자에서 개흉 폐생검으로 진단된 유상피 혈관내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지 방선균증과 동반된 이차성 기질화 폐렴 1예 (A Case of Secondary Organizing Pneumonia Associated with Endobronchial Actinomycosis)

  • 이병훈;이기덕;김상훈;우정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3호
    • /
    • pp.227-231
    • /
    • 2007
  • 여러 원인균에 의하여 이차성 기질화 폐렴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감염에 대한 활동성의 염증반응이 진행하여 폐포내의 섬유질의 삼출물이 기질화 됨으로서 발생한다. 아급성으로 발생한 기침, 객담, 발열 등을 주소로 내원한 평소 건강하게 지내던 37세 남자에서, 기관지 내시경과 경피 폐세침 흡인생검을 통하여 기관지 방선균증에 동반된 이차성 기질화 폐렴을 진단하고 치료하였다. 방선균증이 이차성 기질화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본 증례는 보여주고 있다.

늑막강내 Urokinase 주입후 발생된 Major Hemothorax에 기인된 Hypovolemic shock (Major Hemothorax Induced Hypovolemic Shock Fallowing Administration of Intrapleural Urokinase)

  • 김정규;정인범;손지웅;최유진;나문준;이원영;조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65-469
    • /
    • 2004
  • 저자들은 패혈증이나 혈액응고장애가 이상이 없는 소방이 형성된 흉막삼출 환자에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urokinase의 주입 후에 발생한 혈흉과 이로 인한 hypovolemic shock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막삼출로 발현된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1예 (A Case of Microscopic Polyangiitis Presented as Pleural Effusion)

  • 신진경;권순석;박기훈;이희정;김용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2호
    • /
    • pp.197-202
    • /
    • 2012
  • Microscopic polyangiitis is a necrotizing vasculiti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of small vessels (capillaries, venules, and arterioles) with few or no immune deposits. The kidneys are the most commonly affected organs and are involved in 90% of patients, whereas pulmonary involvement occurs in a minority of cases (10% to 30%). In cases of lung disease, diffuse alveolar hemorrhage with pulmonary capillaritis is the most common manifestation. Microscopic polyangiiti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ntineutrophil cytoplasmic autoantibody, which is a useful diagnostic serological marker. We report a case of microscopic polyangiitis presented as pleural effusion in a 67-year-old female. Pleural effusions have been reported in some cases previously, but the number of cases were small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well described. This report describes characteristic findings of pleural fluid and its histological features in a case of microscopic polyangiitis.

점액 및 면역 세포화학적 Panel 염색에 의한 장액성 삼출액내 반응성 중피세포와 암종세포의 감별 (Distinction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and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s by Mucin- and Immune-cytochemical Panel)

  • 김병헌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1998
  • The cytologic distinction of carcinoma cells from reactive mesothelial cells can be difficult, especially in specimens containing abundant reactive mesotheilal cells and inflammatory cells with scant carcinoma cells. This study evaluates the usefulness of mucin and immunocytochemistry for discrimination between reactive mesotheilal cells and carcinoma cells, an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stains for the detection of metastatic carcinoma in serous effusions. Immunocytochemical panel including mucin cytochemistry with the periodic acid-Schiff(PAS) reaction after or without diastase digestion was undertaken on 127 serous effusion specimen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es. The specimens including cell smears and cell blocks were stained with PAS and antibodies to carcinoembryonic antigen(CEA), epithelial membrane antigen(EMA), cytokeratln(CK), and vimentin. The sensitivities of these stains for metastatic carcinoma(127 cases) were 49%(46/94) in PAS, 48%(60/124) in CEA, 89%(97/109) in EMA, 88%(93/106) in CK, and 25%(20/81) in vimentin. The sensitivities of stains for reactive mesothelial cells(36 cases) were 19%(7/36) in EMA, 78%(28/36) in CK, and 75%(27/36) in vimentin. The PAS and CEA stains were not reacted with all cases of benign reactive serous effusions containing abundant reactive mesothelial cells. The specificities of stains for metastatic carcinoma(127 cases) were 100% in PAS, 100% in CEA, 81% in EMA, 22% in CK, and 25% in vimentin. The optimal combination of stains for use in a panel was PAS and CEA. Combined results from these two stains yielded an advanced sensitivity of 8% in PAS and 4% in CEA for metastatic carcinoma. EMA was also cosiderably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carcinoma cells. CK and vimentin were not suitable for distinguishing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cells and carcinoma cells.

  • PDF

체강 삼출액의 세포학적 검사에서의 p53 면역염색의 유용성 (p53 Immunoreactivity in the Cytology of Body Cavity Fluid)

  • 성순희;한운섭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1998
  • Mutant form of the p53 gene product is abnormally accumulated in the nuclei of the tumor cells due to prolonged half life, and readily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positivity rate of p53 in body cavity fluid according the primary site and histological types of tumors and the utility of p53 immunostaining as an adjunct in the diagnosis of malignancy, we reviewed 69 effusions, including pleural effusion, ascitic fluid, and pericardial fluid, that were diagnosed as overt malignancy and 21 effusions of suspicious malignancy,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cell blocks using a monoclonal antibody to p53 supressor gene product(Clone DO7) and a standard avidin-biotin complex technique with a citrate buffer antigen retrieval s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the 46 pleural effusions with overt malignancy, 22 were immunopositive for p53 protein; of the 21 ascitic fluids with overt malignancy, 5 were positive for p53. Positivity rates according to the primary sites of tumors were 18 of 34(52.9%), 8 of 21(38.1%), 1 of 9(11.1%) cases of the tumors of the lung, GI tract, and ova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of lung cancer, 11 cases(61.6%) were positive out of 18 adenocarcinomas, 2 of 5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s, and 1 of 2 small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s. Of 21 cases of suspicious malignancy, 6 were positive for p53 and all of them(6/6) were confirmed as adenocarcinoma of the lung or GI tra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53 immunostaining using paraffin embedded cell block is useful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body fluid cytology although negative immunostaining does not exclude malignancy.

  • PDF

개와 보호자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를 획득한 다약제내성 Klebsiella pneumonia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Acquired Multidrug-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in a Dog and Its Owner)

  • 한재익;장혜진;김근형;장동우;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29
    • /
    • 2010
  • 2년령 암컷 포메라니안이 교통사고로 인한 골반골절로 내원하여 골절 교정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수술 후 술부에서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삼출물이 발생하였고, 분리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penicillins, cephalosporins, aminoglycosides, quinolones, 그리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내성이 관찰되었다. 분리한 세균의 동정 및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확진시험을 통해 ESBL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임을 확인하였다. 치료를 위한 Carbapenem계 항생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에 따라 meropenem을 선택하여 치료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세균에서 ESBL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검사 결과 TEM-1 ESBL 유전자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보호자의 손바닥에서 분리된 세균에서도 TEM-1, SHV-1 ESBL 유전자가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