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전하 조절층의 두께 변화가 성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Changing the Thickness of Charge Control Layer on Performance of Gree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이동형;이석재;구자룡;이호원;이송은;양형진;박재훈;김영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4-2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하 조절층을 이용하여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의 향상을 나타냈다. 양극성의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호스트와 전하 조절층으로 사용하여 발광층 내에서 전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하 조절층의 삽입으로 엑시톤을 효과적으로 발광층 내에 제한하여,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광층의 전체 두께는 유지하고, 전하 조절층의 변화를 준 다섯 개의 소자를 제작하여 최적화된 전하 조절층의 두께를 이용한 Device D는 외부 양자 효율 16.22%와 휘도 효율 55.76 cd/A의 성능을 보였다.

삼중항-삼중항 소멸에 의한 광에너지 상향전환 기술의 원리와 최신 연구현황 (Principle and Research Trends of Triplet-triplet Annihilation Upconversion)

  • 이학래;신성주;이명수;최현석;김재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731-744
    • /
    • 2017
  • 삼중항-삼중항 소멸에 의한 광에너지 상향전환 기술(Triplet-triplet annihilation upconversion, TTA-UC)은 특정 에너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기물들의 조합에 의해 낮은 에너지의 광자를 높은 에너지의 광자로 변환시키는 특수한 광화학적 공정이다. TTA-UC는 태양광 스펙트럼 중 낮은 에너지 탓에 활용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광자를 고 에너지의 광자로 변환시킴으로써 태양광에 기반한 광학기기들의 광에너지 전환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아직 국내학계에 생소한 연구분야인 TTA-UC현상의 광화학적 원리와 특징을 소개하고, TTA-UC와 관련한 최신 연구동향과 응용분야,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고찰하였다.

식물성 오일에서 구현되는 삼중항-삼중항 소멸법에 의한 Upconversion 분석 (Efficient Triplet-triplet Annihilation-based Upconversion in Vegetable Oils)

  • 신성주;최현석;박은경;현규;한상일;김재혁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39-645
    • /
    • 2016
  • 본 연구는 음용가능한 수준의 비독성, 비휘발성 식물성 오일에서 PtOEP와 DPA를 광감응제와 전자수용체로 이용해 구현되는 효율적인 TTA-UC현상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오일에 PtOEP/DPA를 담지시켰을 때, 탈산소 공정없이도 532 nm의 입사 레이저에서 430 nm 영역의 선명한 green-to-blue UC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양자수율은 약 8%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UC의 효율은 식물성 오일의 화학적 조성, 특히 불포화 탄화수소의 함량과 점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오일에서의 Stern-Volmer 상수값은 유기용매에 비해 다소 낮은 값을 보였으나, 전환효율은 93% 정도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해바라기씨유에서 UC의 전환 입사광 강도($I_{th}$)는 약 $100mW/cm^2$로 태양광의 직접활용에는 아직 무리가 있으나, 산소포화조건에서 비독성 매질을 통해 즉각적으로 구현되는 UC는 비전통적인 방식의 bioimaging과 같은 기술에의 응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