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일열 말라리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생명정보학 기반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 진단 타깃 단백질 선정 (Selec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Pf) malaria specific diagnosis target proteins based on bioinformatics)

  • 서승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2
    • /
    • 2014
  • 말라리아는 인체에 감염되는 열원충의 종류에 따라 크게 열대열 원충, 삼일열 원충, 사일열 원충, 난형열 원충으로 구분된다. 말라리아는 감염 후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므로 초기 진단을 위한 Rapid Diagnostic Test(RDT) 키트가 중요하다. 기존의 진단키트의 경우, 열대열 말라리아와 삼일열 말라리아를 동시에 검출하여 치료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구분하여 진단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RDT키트 개발을 위해, PlasmoDB에서 열대열 말라리아 항원 단백질을 얻고 BLAST를 이용하여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항원 단백질 후보군을 얻었다. 이후 감염단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SPpred에서 제공하는 protein solubility prediction을 통해 실험적으로 단백질 발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 결과, 최종적으로 histidine-rich protein II, histidine-rich protein III, glycophorin binding protein를 선정하였다. 이들 단백질을 이용한 열대열 말라리아 진단키트 제작은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적 진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PDF

2006년-2008년 삼일열 말라리아환자의 잠복기 연구 (Estimation of the incubation period of P. vivax malaria in Korea from 2006 to 2008)

  • 나경아;최일수;김용국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237-1242
    • /
    • 2010
  • 1993년에 한국에서 재출현한 삼일열 말라리아는 현재 매년 2000여명의 환자를 발생시키고 있는 전염병이다. 질병관리본부의 2006-2008년 환자 자료를 이용하여 장 단기 잠복기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각각을 감마분포 모델과 정규분포 모델과 비교 하였다. 말라리아 비위험지역 거주자 중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30일 이내의 여행을 통해 감염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외여행을 다녀왔거나 예방약을 복용한 사람은 제외하였다. 여행 기간의 중간 날짜를 모기에 물린 날로 가정하고, 발병일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를 잠복기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기잠복기와 장기잠복기의 두 가지 패턴이 나타났으며, 각각의 평균은 25.42일, 328.6일이었다. 장기잠복기를 대수정규분포 모델로 표현한 결과 추정된 평균은 5.78509, 표준편차는 0.140988 이었다.

Hydroxych1oroquine과 primaquine 통상 용량으로 치료한 후 재발한 유입 삼일열 말라리아 1예 (A relapsed case of imported tertian malaria after a standard course of hydroxychloroquine and primaquine therapy)

  • 이경주;정문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143-146
    • /
    • 1998
  • 최근 primaquine으로 완치 (radicalcure)된 후에도 재발하는 삼일열 말라리아 보고가 많아지면 서 primaquine에 대한 내성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저자들은 해외여행 중에 감염된 삼일열 말라리아를 hydroxychloroquine과 primaquine으로 치료한 후 재발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35세 남자 환자가 내원 34일 전부터 15일간 인도 뭄바이와 중국 쉬천에 출장 다녀왔고 귀국 3일 후부터 고열이 발생하여 발열 17일째 본원에 입원하였다. 말초혈액 도말검사에 서 분열체 내의 분열소체의 수가 14개 이상 되고 세포질 형태가 불규칙적인 영양형이 보여 삼일열 말라리아로 진단한 후 hydrouychloroquine를 투여하고 열이 떨어진 후 primaquine (15 mg/일, 14일간)을 투여하였다. 치료 후 55일째까지 말라리아 재발의 증상이 없었고 말초혈액 도말에서도 말라리아 원충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6개월 후 다시 발열이 생기고 말초혈액 도말검사에서 분열소 체와 영양형이 보여 재발로 진단하였다 처음 입원 때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였고 현재까지 10개월간 경과 관찰 중이며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 PDF

수학여행 후 발생한 Plasmodium vivax 말라리아 1례 (A case of Plasmodium vivax malaria occurring during a school excursion to Pocheon-gun)

  • 곽병옥;정소정;김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85-88
    • /
    • 2010
  • 말라리아는 Plasmodium species의 감염에 의해 생기는 주기적인 발열, 오한, 피로, 빈혈, 비종대를 특징으로 하는 질병이다. 과거 국내에 크게 유행하였던 삼일열 말라리아는 최근 경기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재유행하고 있고 높은 전염률을 보인다. 저자들은 경기도 포천으로 수학여행을 다녀온 후 고열과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한 말라리아 1례를 경험하였다. 환아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진단되어 hydroxychloroquine, primaquine으로 치료받았다. 이에 저자들은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경기도 김포군 통진중학교 축구부원들에 대한 삼일열 말라리아의 역학조사 (A small epidemiological survey for vivax malaria in Kimpo-gun, Kyonggi-do, Korea undertaken after detecting two consecutive cases)

  • 이종민;김미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4호
    • /
    • pp.291-294
    • /
    • 1997
  • 1997년 7월과 8월에 경기도 김포군 통진중학교 축구부 부원인 15세 남자 환자 두 명이 각각 발열을 주소로 강남 성모병원에 입원하여 말초혈액 박층 도말검사강 삼일열 말라리아로 진단받고 chloroquine과 primaquine으로 치료받았다. 이들은 외국여행이나 마약사용 경험이 없었으며. 학교 내 축구부 숙소에서 합숙생활을 하고 있었다. 환자들은 합숙하는 친구 중에 발열환자가 더 있 다고 주장하였으므로 말라리아가 집단으로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축구부원에 대한 역학 조사를 실시하였다. 합숙소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은 총 57명이었다. 문진 결과상 1주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과거력을 가진 사람은 없었다. 진찰 결과 이번에 환자이었던 1명에서만 비장 종대가 관찰되었고. 환자로 입원했던 2명에서 IFAT 항체가는 각각 1: 256 및 1: 2,048이었다 (양성 기준 항체가 1: 32). 말라리아 병력이 없었던 사람 중에는 IFAT 항체가가 1: 64이었던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음성을 나타냈다. 말초혈액 박층도말 검사도 모두 음성이었다. 경기도 김포군에 위치한 통진중학교 축구부 학생 두 명에서 거의 동시에 발생한 삼일열 말라리아는 이 지역에서 전파되어 감염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 PDF

외국 여행 경력이 없는 남자 환자에서 발병한 삼일열 말라리아 1예 (Occurrence of tertian malaria in a male patient who has never been abroad)

  • 채인호;임건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95-200
    • /
    • 1994
  •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매년 1억 이상의 환자를 발생시키며 그 중 약 100만 명씩을 사망케 하고 있는 무서운 원충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는 과거에 삼일열 말라리아 (tefilnmuwia)의 유행이 있었으나 1970년대 말 이후부터는 토착적 환자 발생 보고가 없어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저자 등은 해외 여행 경력이 없는 환자 1명에서 삼일열원충 (Plasmodium vivax) 감염을 확일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23세 남자인 국군 병사로서 1993년 7월 중순부터 18일 동안 격일로 매회 4-8시간씩 계속되는 발열과 오한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경남 창원시에 거주하였고 1992년 6월 군에 입대한 후에는 경기도 파주군의 한 야전군 부대에 근무해 왔으나 외국에 나간 일은 전혀 없다고 하였다. 과거력상 수혈을 받거나 정맥주사를 맞은 일도 없다고 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도말 표본에서는 삼일열원충의 ring form, trophozoite, schizont 및 gametocyte가 검출되었고, 약간의 적혈구 감소와 혈소판 감소가 관찰되었다 확진 후 hydroxychloroquine과 primaquine을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적 혈액 도말검사에서는 말라리아 원충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 증례가 우리 나라 토착적 말라리아의 재유행에 의한 것인지, 도입성 (introduced) 말라리아의 국내 정착에 의한 2차 감염 환자인지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으나. 어쨌든 말라리아가 다시 유행할 가능성 에 대해서는 커다란 관심을 기울여 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후향연산식을 활용한 국내 삼일열 말라리아의 감염분포와 유병자수 추정 (Estimating Infection Distribution and Prevalence of Malaria in South Korea Using a Back-calculation Formula)

  • 장현갑;박정수;전미정;이정애;김한메울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6호
    • /
    • pp.901-910
    • /
    • 2008
  • 국내 삼일열 말라리아는 199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000년대에는 연평균 1600여명이 발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잠복기 분포와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발병자수 자료에 바탕하여 후향연산식을 활용하여 국내 삼일열 말라리아의 감염분포를 최소제곱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감염분포는 평균이 207일이고 표준편차가 30.7일인 정규분포를 이루었다. 이를 이용하여 연간 유병자수 분포를 산출한 결과, 말라리아의 하루 평균 유병자수는 628.8명 이었다.

Plasmodium vivax에 의한 지연형 말라리아 8예 (8 Cases of Delayed Onset P. vivax Malaria)

  • 송영두;이재춘;홍영훈;이은영;김봉준;이충기;문진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467-473
    • /
    • 1997
  • 저자들은 1994년에서 1995년 사이에 경기도 북부 휴전선 부근에서 말라리아가 유행할 때 그 지역에서 근무하고 제대한 후에 외국 여행이나 수혈의 경력이 없는 젊은 남자에서 오한과 동반된 발작적 발열 등의 임상 증상과 말초 혈액 도말 검사에 의해 삼일열 말라리아로 확진되어 치료한 8예를 경험하였다. 삼일열 말라리아의 재정착이 확인되었으므로 오한을 동반한 발열 환자의 원인으로서 말라리아가 반드시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하며 말라리아 재유행에 대한 조사와 함께 감시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소아에 발생한 삼일열 말라리아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Features of Indigenous Vivax Malaria in Children)

  • 이은진;이종국;조종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00-207
    • /
    • 2003
  • 목 적 : 말라리아는 국내에서 1970년대 말에 소멸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93년 비무장지대에 근무하던 군인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2000년에는 4,142명, 2001년에는 2,556명, 2002년에는 1,797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보고되었다. 1999년부터는 민간인의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고, 토착형 말라리아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에 존재하는 매개숙주(중국 얼룩날개 모기)에 의해 주민간에 전파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저자들은 말초혈액 도말 검사 및 말라리아 항체 검사에서 말라리아로 확진된 소아 환자 13명을 조사하여 역학적 분석 및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일산백병원에 내원한 소아 환자 중 말초혈액 도말 검사 및 말라리아 항체 검사로 확진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 13명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3례 모두 토착형 말라리아 감염이었고, 원인 원충은 삼일열 말라리아(Plasmodium vivax)였다. 13례 중 남아와 여아의 비율은 9 : 4이었고, 발병 당시 평균 연령은 $9.5{\pm}3.6$세였다. 지역별로는 13례 중 9례가 일산 시내였으며, 11례의 발병 시기가 6~8월로 여름에 주로 발생했다. 13례 중 2례만이 3일 주기의 발작적인 발열을 보였고 나머지 11례는 지속적인 발열 및 불규칙한 발열 양상을 보였다. 혈소판 감소증은 가장 두드러진 소견으로 13례 중 12례에서 동반되었으며, 3례에서는 범혈구 감소증을 보였다. 신생아를 제외한 12례에서 hydroxychloroquine과 primaquine을 투약했고, 이후 시행한 혈액 도말 검사상 더 이상의 원충은 발견되지 않았고 혈액학적 이상 소견 역시 호전되었다. 결 론 : 저자들이 경험한 소아 말라리아 환아는 모두 Plasmodium vivax에 의해 발병되고 일부 환아는 유행외 지역에서 발병된 것으로 보아 이 원충에 의한 토착화의 확산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전형적 삼일열 말라리아의 발열 양상이 없다하여도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동반된 발열 환아에서 이 질환을 의심하여야 하며 말라리아 항체 검사가 선별 검사로 유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수문 기상학적 환경특성과 말라리아 발생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반도를 사례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meteo-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laria - case of korea -)

  • 최돈정;박경원;서용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7-457
    • /
    • 2012
  • 말라리아는 매개체에 의한 전염병으로써 국내에서는 이미 1970년대에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90년대에 재발생하여 2000년대 초반까지 경기도와 강원도 북부지역에서 환자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람에게서 발병하는 말라리아는 4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 중 오로지 삼일열 원충감염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질병관리 본부, 2010). 기후변화는 질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써 매개체에 의한 질병의 경우 기후요소는 매개체의 번식과 활동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말라리아의 경우 병원균을 가진 개체수와 모기에 물리는 횟수, 감염된 모기의 수, 그 모기에 사람이 물리는 횟수와 관계가 있으나 기온과 강수량, 습도의 변화 등 기후 및 수문학적 요소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Lindsay & Birley, 1996; 박윤형 외, 2006; 신호성, 2011 재인용).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기후-수문학적 환경특성 및 변화를 파악하고 지역적 말라리아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말라리아 발생의 변동을 예측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말라리아 발생자료의 경우, 질병관리 본부에서 제공하는 2001년 1월~2011년 12월 까지의 약 16000건의 발병자료가 포함 되었고 분석의 시간 단위는 2WEEKS 이며 전국 251개의 시군구에서 발생한 전염병을 합산하였다. 기상자료의 경우 기상청 기후자료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일 기간대의 평균기온, 최고(최저)기온, 강수량, 신적설, 평균 해면기압, 평균 이슬점 온도, 평균 상대습도, 평균풍속, 평균운량, 일조시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AWS(Automatic Weather Station)자료의 경우 기본적으로 point 형태의 관측자료이고, 분석기간 동안의 개수에서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간 내삽기법인 kriging을 활용하여 행정구역과 zonal하는 방법으로 재가공 하였다. 지역의 수문학적 특성의 경우 10*10 DEM을 기반으로 ESRI ArcGIS 소프트웨어의 ArcHydro 기능을 이용 하여 유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모형을 기본으로 기후 및 수문 특성과 말라리아 발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시계열 자료의 특성상 포아송 분포의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과 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용한다(Baccini 외, 2008; 신호성, 2011). 또한 말라리아 잠복시간의 지연효과 및 전염병의 계절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Fourier transform 을 적용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