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배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폐흡충의 이배체와 삼배체 vasa 유전자 분석 및 특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asa Gene of Triploid and Diploid Human Lung Flukes (Paragonimus westermani))

  • 이근희;유학선;허재원;유성숙;최선희;박상균;이선주;정동일;공현희;옥미선;정해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2-469
    • /
    • 2007
  • 폐흡충은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에서 폐흡충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기생충이다. 이러한 폐흡충은 이배체 와 삼배체가 국내에 알려져 있다. 이배체 폐흡충은 양성생식을 하고 삼배체 폐흡충은 단위생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인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생식유전자 중 초파리에서 최초 분리되었고 포유동물에서도 그 기능이 밝혀진 vasa 유전자가 가장 유명하다. 이 유전자는 생식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며 종에 따라서는 정자생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삼배체 폐흡충의 단위생식과 vasa 유전자와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폐흡충의 이배체와 삼배체 성충으로부터 vasa 유전자 전체의 염기서열을 얻을 수 있었다. 두 염기서열의 경우 8개의 ATP-binding domain이 관찰되었고 helicase가 결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RGG motif도 관찰되었다. 총 622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며 이배체는 69.018 kDa, 삼배체는 68.930 kDa 크기의 단백질을 만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Vasa 재조합 단백질은 GST와 fusion되어 93 kDa 크기에서 관찰되었다. mRNA의 발현은 이배체에 비해 삼배체가 다소 높았다. Anti-Pw-VASA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한 결과 이배체와 삼배체는 다른 기관에서는 면역반응력을 보이지 않고 고환에서만 면역반응력을 볼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vasa 유전자는 이배체 삼배체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정상적으로 발현되었다.

Cobitis hankugensis-Iksookimia longicorpa Complex의 2배체, 3배체집단의 난막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Oocyte Envelopes of Diploid and Triploid Biotypes in Cobitis hankugensis-Iksookimia longicorpa Complex)

  • 고명훈;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6-60
    • /
    • 2010
  • 기름종개와 왕종개로부터 기원한 단성생식집단인 Cobitis hankugensis-Iksookimia longicorpa complex는 대부분 암컷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 1종류의 2배체와 2종류의 3배체집단이 확인되었다. 이들의 난막구조를 조사한 결과 3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었다. 융모형은 이들의 부모종인 왕종개에서 확인되었으며, 과립형은 기름종개와 3배체집단, 그리고 과립을 가진 융모형은 2배체집단에서 나타났다. 특히 과립형을 가지는 3집단에서는 그들의 길이와 밀도에서 서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구조들은 cobitid complex에서 처음 보고될 뿐 아니라 2배체, 3배체 complex집단을 분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배체 및 삼배체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에서 주요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들(heat shock protein genes)의 발현 특징 (Expression Pattern of Major Heat Shock Protein Genes in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 박철지;김은정;남윤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15-523
    • /
    • 2020
  • Basal and heat shock-induced mRNA expression patterns of major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including those encoding heat shock protein (HSP) 90, HSP70, HSP70-12A, heat shock inducible protein 70 (HSIP70), heat shock binding protein 1 (HSPBP1), HSP60, and HSP40 were examined in the gill and hepatopancreas of 1-year-old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Under non-stimulated conditions at 19℃, triploid abalones displayed, in general, higher mRNA levels of various HSPs (HSP70, HSIP70, HSPBP1, HSP70-12A, and HSP60 in the gill and HSIP70, HSPBP1, and HSP60 in the hepatopancreas) than did communally cultured diploids. Conversely, only the hepatopancreatic expression of HSP70-12A was high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However, the fold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n acute thermal challenge (elevation from 19 to 30℃) were generally great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such that the difference in basal expression was diminished, weakened, or even revers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However, unlike other HSP genes, the basal expression of HSP60 (higher in 3N) was more pronounc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iploid abalones have different capacities for not only basal expression but also the heat-induced expression of HSPs in an HSP member-dependent manner.

중성자 및 감마선의 조사가 이배체 및 사배체 호맥의 종자의 발아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UTRON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GERMINATION OF DIPLOID AND TETRAPLOID RYE SEEDS)

  • YIM, Kyong B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6권3호
    • /
    • pp.6-14
    • /
    • 1963
  • 삼배체 및 사배체 호맥종자를 중성자 및 감마선에 조사해서 파종하고 발아과정, 지상부와 지하부의 성장, 건중량의 배가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종자함수량이 방사선감수성에 대한 역할을 관찰하였다. 사배체호맥은 이배체의 그것 보다 속중성자의 조사에 대해서 지항성이 더 강했다. 지하부는 이부체호맥에 있어서는 1120 rads, 사배체에 있어서는 1400 rads 이하인데 지하부 보다 중성자조사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조사량이 낮을 때는 건중량성장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었다. 종자함수량이 낮을수록 방사선감수성이 배가했으나 함수량이 28%에 달했을 때 다시 회복되어서 높아졌다. 조사시 종자함수량이 23%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6 K rads의 조사량에 있어서 지하부의 신장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지하부의 건중량성장과 조사시의 종자함수량과의 관계는 사배체 호맥 보다는 이배체호맥이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질을 보았다. 지하부의 신장량의 반감을 초래하는 조사량단위를 기준으로 할 때 N/X의 effectiveness ratio는 이배체호맥에 있어서는 약 20.0 이였고 사배체호맥은 약 18.2 였다.

  • PDF

형태형질에 의한 동아시아산 민들레속 2배체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diploid East Aisan Taraxacum Wiggers using the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

  • 이경화;양지영;;;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66
    • /
    • 2004
  • 동아시아에서 이배체의 유성생식과 무수정결실로 번식하는 민들레속의 종 분화 연구를 위해 한국산(2종4집단), 일본산(2종 4분류군 6집단), 대만산(1종 3집단)의 이배체 민들레 종의 두화형질을 측정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화형질은 두화의 크기, 외총포편의 형태와 길이, 외총포편 선단돌기 등의 식별형질을 포함하여 15개의 형질을 측정하였다. 이들 형질은 하나의 개체군내에서도 변이의 폭이 크고, 집단사이, 종들 사이에 있어서도 변이가 중첩되어 나타났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군(한국산과 T. japonicum군, T. platycarpum아종군, T. formosanum군, T. platycarpum subsp. hodoense군)으로 유집되었다. 한국산 좀민들레(이배체)와 산민들레(이배체, 삼배체)가 일본의 간사이 지방에 분포하는 T. japonicum과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짐을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