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겹살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에 보급되어 이용 가능한 돼지 품종의 부위별 육질특성 탐색 (Comparison of Po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from Domesticated Pig Species)

  • 강현성;서강석;김경태;남기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21-927
    • /
    • 2011
  • 국내 소비자 기호에 적합한 한국형 비육돈 생산을 위한 국내에 보급된 돼지 품종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Landrace(L), Yorkshire(Y), Duroc(D), Berkshire(B) 및 Chester White(C)의 다섯 가지 품종의 등심, 목심 및 삼겹살 부위에 대한 육질특성 분석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등심 부위에 있어서 D품종의 지방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목심과 삼겹살에서는 B품종의 지방함량이 가장 높았다. 육색에서는 C품종만이 등심과 목심 부위에서 $a^*$$b^*$값이 낮았으며, 삼겹살에서는 지방층의 간섭으로 육색지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지방함량이 낮은 부위인 등심과 목심에서는 Y품종이 D 및 B품종에 비하여 보수력이 우수하였으나 삼겹살의 가열감량은 D 및 B품종이 낮아, 보수력이나 가열감량과 같은 물리적 특성은 부위별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삼겹살의 경우 B품종은 높은 지방함량 수치에도 불구하고 가열하여 7일간 보관한 시료에서도 낮은 TBARS값을 보였다. 지방산의 경우 품종 및 부위별로 미세한 차이만 있었으며 품종보다는 사료의 성분 차이로 사료된다.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검사를 토대로 등심에서는 D품종이, 목심에서는 B품종의 육질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삼겹살에서는 C품종만이 열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품종별 육질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부위별 육질특성이 일치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국내 소비자의 선호부위로 알려진 목심과 삼겹살 부위의 육질특성을 간주하면서도 비선호 부위로 알려진 등심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돼지선발 체계에 기초적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청주시 향토 음식 선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heongju City's Local Food)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3-152
    • /
    • 2006
  • 청주시민 1,390명에게 기존에 향토 음식으로 조사되었던 89개 음식에 대하여 청주시의 향토 음식으로 적합한 것을 10개씩 선택하라고 설문조사를 하여 연령별, 성별, 직업별로 분석하였다. 성별 성별 결과에서 남자는 1위 올갱이국(282), 2위는 도토리묵밥(174), 3위는 콩국수(164), 4위는 삼겹살과 해장국(158)을 나타냈고, 여자는 1위 올갱이국(520), 2위는 도토리묵밥 {322), 3위는 콩국수(272), 4위는 삼겹살(271), 5위는 해장국(262)이 차지하였다. 남녀를 합한 결과는 1위는 올갱이국(802명), 2위는 도토리묵밥(496명), 3위는 콩국수(436), 4위는 삼겹살(429명), 5위는 해장국(420명), 6위는 산채 비빔밥(323명), 7위는 보신탕(322명), 8위는 닭도리탕(321)이 차지하였다. 성별 직업별 결과에서 주부는 삼겹살을 적게 택하였고, 회사원은 산채 비빔밥을 적게 택한 대신 다른 직업에서 적게 택한 보신탕과 닭도리 탕을 많이 택하였다. 그러나 이들 중 콩국수와 산채 비빔밥, 보신탕은 여름에만 먹거나 여름에만 재료가 나므로 향토 음식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리맛집 - 오리숯불구이 전문점 - 가나안덕 백운호수점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140호
    • /
    • pp.80-81
    • /
    • 2015
  • 본회는 앞으로 본지를 통해 국내산 오리를 취급하고, 맛있는 오리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을 소개하고자 한다. 치킨이나 삼겹살, 한우에 비해 오리고기는 외식소비 비중이 낮은 편이고, 가정에서 즐겨 먹는 훈제오리 시장은 이미 한계점에 도달했다. 이에 침체된 오리고기 시장 전체를 활성화시키고자 한국오리협회 회원사 비회원사 구분 없이 오리맛집을 소개함으로써 국내산 오리고기 소비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 PDF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가 도체의 품질 특성, 등심 및 삼겹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creased Carcass Grade of Finishing Pigs due to Increasing Market Weight on Carcass Quality Trait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and Belly)

  • 박병철;하덕민;박만종;진상근;박재홍;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연구는 과중량으로 인해 강등된 도체등급이 등심과 삼겹살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85~150 kg 범위의 500두 출하돈의 도체로부터 평균 크기의 $1^+A$ 등급 도체 7개, A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5 kg)에 근접한 1A 등급 도체 7개, B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9 kg)에 근접한 1B 등급 도체 12개 및 100 kg 이상의 2C 등급 도체 각각 12개를 본 연구의 공시도체로 선발하였다. 근내지방도는 $1^+A$ 등급 도체가 다른 세 등급 도체보다 높았지만 근육과 지방의 색깔 및 조직감 관련 특성은 네 개의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색깔, pH, 화학적 조성 및 조직감 관련 품질 특성은 도체등급 저하로 인해 단지 최소 수준만 변하였다. 등심 및 삼겹살 신선육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이취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분삼출도는 $1^+A$ 등급 도체가 가장 낮았으며, 색깔과 근내지방도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부위 신선육의 기호도는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과 삼겹살 가열육에서는 맛과 기호도가 비록 구배는 낮았지만 도체등급이 저하될수록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적어도 $1^+A$와 2C 등급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중량으로 인해 등급이 저하된 돼지 도체는 육질 또한 약간 저하되었는데 이는 즉 돼지 도체의 규격등급이 어느 정도는 육질도 반영함을 시사한다.

수입육과 차별화를 위한 돼지고기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도

  • 강광파
    • 월간 양돈
    • /
    • 제29권6호통권334호
    • /
    • pp.144-146
    • /
    • 2007
  • 품질의 차이가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우리 돼지고기를 선택하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 제시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수입산 삼겹살이 국내산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더라도 아무런 제재가 없없던 점도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큰 피해를 안겨줬다. 이러한 돼지고기 유통 상황을 고려할 때 더 이상 소비자, 생산자의 피해를 야기시키지 않기 위해서 돼지고기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는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되어야 한다.

  • PDF

농민의 자리에서 본다-농축산물의 무분별한 수입에 농민은 불안하다

  • 노영한
    • 월간 양돈
    • /
    • 제13권6호통권142호
    • /
    • pp.40-41
    • /
    • 1991
  • 우리가 공산품을 수출해서 번돈으로 쇠고기와 바나나를 , 삼겹살과 각종 육가공 제품을 분유와 양념류를 수입하고 양주,포도주,맥주,마오타이,보드카를 수입해도 태평성대가 되기보다는 사회불안만 가중될 뿐이다.즉, 물가안정을 이유로 농축산물의 수입정책을 쓰는 것은 손끝의 아픔만 생각하고 심장이 상하는 것은 느끼지 못하는 것과 같다

  • PDF

포장방법에 따른 냉장 훈제삼겹살의 품질과 저장성 (Quality and Shelf-life of Chilled Smoked Pork Belly Depending on Packaging Methods)

  • 임지훈;정승희;이성기;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6권2_3호
    • /
    • pp.43-51
    • /
    • 2010
  • 본 연구는 훈제삼겹살의 저장에 가장 적합한 포장방법을 파악하고자 함기포장(AC), 진공포장(VP) 및 탈산소제(OS) 포장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총균수는 세 처리구에서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유산균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했다. 총균수는 AC시료의 경우 6일차에 8.1 log cfu/g, OS시료는 8일차에 8.1 log cfu/g으로 증가하였으나, VP시료에서는 12일차에도 7.5 log cfu/g으로 타 포장에서보다 낮게 나타났다. VP시료는 저장기간 중 Pseudomonas spp.와 coliforms균의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TBA값은 AC-OS-VP의 순으로 빠르게 증가하였다. VBN값은 AC에 비하여 VP와 OS 시료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VP시료는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저장기간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적색도와 낮은 변색도(hue)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상품성이 상실되기 시작한 시점은 AC, OS와 VP시료에서 각각 8일, 10일 및 12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열육에 대한 평가에서는 OS시료는 12일차에서 AC는 10일 후에 상품성을 잃은 반면, VP시료는 12일차 까지도 조직감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5점 이상을 유지했다. 결론적으로 훈제삼겹살의 품질과 저장성 차원에서 가장 적합한 포장방법은 진공포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저장 온도와 시간이 신선한 돈육 삼겹 부위로부터 추출한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Times o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Fresh Pork Belly)

  • 박성용;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6
    • /
    • 2006
  • 신선한 돈육 삼겹살로부터 방향족(6), 알데하이드(6), 카르복시산(5), 알코올(4), 케톤(4), 알칸(4), 알켄(1)및 아민류(1)가 동정되었다. 이중 11개 화합물(1-butanol, propane, 2-butanol, 3-hydroxy-2-butanonl, acetic acid, 3-methyl-1-butanol, 1-pentanol, phenol, 2-pentyl-furan, indole, 2-dodecanone)만이 저장기간과 저장 온도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p<0.05). 삼겹살에 있어서 $4^{\circ}C$ 저장시 hexanal과 hexadecanal과 같은 알데하이드 계통의 화합물이 주로 발생되었고 반면에 $20^{\circ}C$ 저장시에는 phenol과 indole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과 1-butanol과 2-butanol과 같은 알콜류 화합물이 주로 생성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중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phenol, indole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인 화합물들이며,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indole 그리고 2-dodecanone과 같은 휘발성 화합물들은 모두 $20^{\circ}C$에서 저장된 삼겹살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돈육의 삼겹 부위가 $20^{\circ}C$의 저장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이, $4^{\circ}C$의 저장에서는 알데하이드류가 주로 생성된 것처럼 저장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이 차이가 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달라짐을 시사한다.

한우육 및 돈육의 부위별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Beef and Pork)

  • 장혜림;박서연;이종헌;황명진;최용민;김세나;김진형;황진봉;서동원;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03-7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식육인 한우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채끝살, 목심살, 앞다리살, 부채살, 우둔살, 차돌박이, 아롱사태, 갈비살)와 돈육 10부위(안심살, 등심살, 목심살, 앞사태살, 항정살, 뒷사태살, 홍두깨살, 삼겹살, 갈매기살, 갈비살)의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부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각종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우육의 지방 함량은 5.25~35.94%로 우둔살이 가장 낮은 함량을, 차돌박이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C16:0)와 stearic acid(C18:0),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 n-9)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oleic acid가 지방산 중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가장 유사한 지방 함량을 보인 부위는 등심살과 갈비살이었으나 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채끝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C18:3, n-3)가 100 g당 38.63 mg이, 갈비살에는 오메가-6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 n-6)가 100 g당 564.71 mg이 함유되어 있어 부위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채끝살, 부채살 및 갈비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arachidonic acid(C20:4, n-6)가 존재하였으며, 그 함량은 갈비살(2.50 mg/100 g)> 채끝살(1.33 mg/100 g)> 부채살(1.19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우둔살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다른 부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P<0.05),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돌박이($1.83{\pm}0.02$)가 가장 높고 앞다리살($1.03{\pm}0.00$)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돈육의 지방 함량은 4.16~18.47%로 삼겹살이 가장 높고 안심살이 가장 낮았으나 안심살, 등심살, 앞사태살, 뒷사태살, 홍두깨살의 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삼겹살에는 다양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등심에는 검출되지 않은 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미엘린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ervonic acid(C24:1)는 오직 등심에서만 검출되었다. 삼겹살에는 다른 부위에 검출되지 않은 docosahexaenoic acid(DHA, C22:6, n-3)가 존재하였다. 돈육의 10부위 중 앞사태살과 뒷사태살, 홍두깨살은 지방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같은 앞다리라도 앞사태살과 항정살의 지방산 함량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돈육의 총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삼겹살(143.58 mg/100 g)> 항정살(127.86 mg/100 g)> 목심살(101.36 mg/100 g)> 갈비살(94.91 mg/100 g)> 갈매기살(86.68 mg/100 g)> 안심살(29.57 mg/100 g)> 뒷사태살(27.97 mg/100 g)> 홍두깨살(27.49 mg/100 g)> 앞사태살(25.98 mg/100 g)> 등심살(15.45 mg/100 g)의 순서로 확인되었으며,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뒷사태살이 2.01로 가장 높고 갈매기살이 1.28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한우육과 돈육 각 10부위에 대한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위별 지방 및 지방산 함량과 조성의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