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삶의 균형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개인, 가족, 조직 관련 요인이 일-삶 균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and Well-Being on the Individual, Family, and Organization: A Study Focused on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 최환규;김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33-60
    • /
    • 201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among married working couples with a double income. To this e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0 married working coup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using the SPSS (Ver. 21) program yielde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family balance included th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meaning of life, efforts to strike a work-life balance,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ife balanc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work-leisure balance included meaning of life, number of family dinners eaten together, gender, and the availability of social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promote work-leisure balance. As for work-growth balance, significant variables included meaning of lif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ncome, and meaning of work. Finally,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included meaning of life, incom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work-growth balance.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up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various groups to help determine the factors that will ensure their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스마트워크 지원을 위한 조직적 준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upport for Smart Work)

  • 오상조;이종만;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1-238
    • /
    • 2020
  • 스마트워크와 같이 정보통신기술 주도적 조직 변화의 경우 적절한 변화 관리가 필요하다. 일과 삶의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 변화 관리는 구조적 관점뿐만 아니라 문화적 관점에서도 지원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 주도 변화 관리 관점에서 스마트워크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조직적 지원 요인을 구조적·문화적 요인으로 나눠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2019년 11월부터 12월에 걸쳐 A사의 8명의 스마트워크 이용자를 인터뷰하여, 조직적 지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구조적 지원((1) 스마트워크 제도화, (2) 정보기술 인프라, (3) 테이블 책상으로 사무 환경 변경, (4)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뿐만 아니라 문화적 지원((1) 자율성 제고, (2)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3) 신뢰를 주는 조직분위기)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워크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구조적 지원과 더불어 문화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는 균형적 조직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구조적·문화적 지원 요인과 결과요인인 일과 삶의 균형 및 성과 간 인과관계를 실증할 필요가 있다.

청년세대의 일-삶 균형 수준과 행복 요인: OECD '더 나은 삶의 지수(Better Life Index)'와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를 활용한 다국가 비교 (Factors of the Happiness of Youth Generations by Work-Life Balance: A Cross-National Comparison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World Value Survey)

  • 박미석;김미영;김경아;전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79-97
    • /
    • 2019
  • This study aimed for in-depth observation of the status quo of the youth generation's happiness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the World Value Survey. To serve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1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member countries (Australia, Estonia, Germany, Japan, Korea, Mexico, New Zealand, Poland, Sweden, Turkey, United States) that overlapped with the subject countries of the World Value Survey.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first revealed that among the work-life balance levels of youth generations from across the 11 studied countries, the level for Korean youth was in a very poor state. Second, the happiness level of Korean youth also sat among the bottom ranks, with the aspects of politics, friendship, and career casting a heavy influence on importance to life; specifically, the youth generations of Turkey and Germany showed high levels of life purpose, while Korean youth displayed outstanding results in the challenge aspect. The third finding of this study reported that family, religion, power, benevolence, and challenge were commonly related to the happiness level of youth generations in countries with a higher work-life bal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uch needed attention and support for improving the happiness level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who will eventually play the leading role in our future society.

청소년 영양지수(NQ-A)를 활용한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의 식행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the quality of life of som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based on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 김호정;이정숙;김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3호
    • /
    • pp.320-335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식사의 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청소년 영양지수를 활용하여 삶의 질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 (인문계고, 특목고,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1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식사의 질 평가를 위해 청소년 영양지수 (NQ-A)를 활용하였고, 삶의 질 평가는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된 조사문항을 활용하여 삶의 만족도, 환경, 건강, 참여와 안전, 여가활동 및 정서 요인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조사대상들의 영양지수 점수는 전체대상자 49.30점이었고, 영양지수 등급을 보면 '상' 등급 7.4%, '중' 등급 46.6%, '하' 등급 46.0%로 본 조사대상자들의 90% 정도는 식사의 질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양지수 점수 및 균형, 다양, 실천 영역의 점수는 삶의 질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도, 환경, 건강, 참여와 안전, 여가활동 사이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회귀분석 시 영양지수 점수는 삶의 만족도, 건강, 참여와 안전, 정서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절제 영역은 삶의 만족도, 건강 요인에서 음의 연관성을, 균형 영역은 환경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실천 영역은 건강과 여가활동 요인에서 양의 연관성을, 환경 영역은 정서 요인에서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삶의 질은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균형되고 다양한 식품 섭취 및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의 삶의 질은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식생활을 포함한 식이 요인 뿐만이 아니라 신체 발달, 더불어 정서,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포함한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일·성장 균형(WGB:Work-Growth Balance)은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가?: Process Macro를 활용한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Does WGB (Work-Growth Balance) Improve Innovative Behavior?)

  • 탁경운;서상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54-780
    • /
    • 2017
  •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WLB:Work-Life Balance)의 한 영역인 일 성장 균형(WGB: Work-Growth Balance)이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 및 조직 내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이 일 성장 균형(WGB)과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 그리고 창의적 노력으로 나타났고 대인조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역시 일 성장 균형(WGB)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 성장 균형(WGB)과 대인조화였다. WGB와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 성장 균형(WGB)이 대인조화, 창의적 행동 및 혁신행동 간에는 시너지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일 성장 균형(WGB)에 대한 연구와 일 성장 균형(WGB)과 혁신행동에 이르는 좀 더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일 가정 균형, 일 여가 균형에 대한 추가 연구도 기대된다.

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 강은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69-68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이 어떠한 근린환경 구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이 실제 거주하는 근린환경 유형들이 노인의 삶의 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대리응답을 제외한 본인이 직접 응답한 10,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근린환경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식료품 가게, 의료기관, 행정기관, 복지시설, 대중교통(정류장, 지하철역) 등의 지역사회기관이나 장소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분 단위)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근린환경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이 생활하는 근린환경 유형은 여가 복지 도보제한형(20.3%), 여가 복지 원거리형(15.5%), 균형근접형(7.8%), 상점 교통형(35.0%), 교통근접형(10.1%), 격리형(11.3%)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앞의 네 개 유형은 도시형에 가까우며 교통근접형과 격리형은 농어촌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근린환경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균형근접형에 비해 상점 교통형과 격리형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배우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만성질환개수,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나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을 둘러싼 근린환경의 구조가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로서 물리적 근린환경의 구조적인 측면도 고령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Effects of Low-density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 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43-650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악력, 정적균형, 복합적 이동능력), 심리적 기능(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복합적 이동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적 균형은 운동 수행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우울은 운동수행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은 허약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향상과 심리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빈도와 강도를 연장하여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 권인혜;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21-41
    • /
    • 2022
  • 이 연구는 도시-농촌, 수도권-비수도권 등 서로 다른 정주공간 속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전국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균형발전을 위한 삶의 질 만족도 설문조사' 원자료를 이용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도입하여 정주공간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생활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든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고, 행복도의 경우 농촌 주민이 수도권 도시와 비수도권 도시 거주 주민에 비해 더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영역별 삶의 질을 살펴보면,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대체로 가장 높은 반면, 일자리·소득, 환경, 공동체, 복지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높다. 흥미롭게도 비수도권 도시가 강점을 보이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 결과는 점점 더 고도화되는 도시화 경향 속에서도 농촌이 갖는 가치를 보여주며, 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농촌지역만의 가치를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농촌의 환경·경관 가치를 훼손하는 난개발 문제에 대응하고 농촌 정주환경을 조화롭게 정비·개발해가기 위해 공간계획에 기반한 농촌재생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청년 취업 1인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Work-Leisure Balance of Employed Young-Single-Households)

  • 양지명;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17-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work-leisur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mployed young single households. Three groups of sample households-work-oriented, balanced, and leisure-oriented-were compared by factors related to work and leisure. Six cases were interviewed to obtain qualitative data on the subjective meaning of work-life bal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groups based on the various work- and -leisure- related factor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of the week, number of vacation days per year, weekday leisure time, degree of weekday freedom, and sufficiency of the leisure cos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considered desirable for quality of life differed between group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and leisure was very important for those respondents, who have an unstable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who want to delay making decisions on moving into the marriage and family-building phase recognized as a major development task for Korean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