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살구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의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h Added Apricot During Storage)

  • 이정애;신영자;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77-883
    • /
    • 2007
  • 살구를 첨가한 브라운 소스를 12일간 저장 기간별로 살펴본 품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는 없었으나 살구첨가량이 많을수록 pH 값이 낮게 나타났다. 색도는 L값은 살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첨가 소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밝게 나타났으며 a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과 b값은 살구 첨가 소스가 무첨가 소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점성은 저장초기에는 살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우기 초기보다 점성도가 높게 나타났다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 외관상의 색상은 살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브라운 색상도 밝은 색으로 나타났다. 향미는 살구 4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았으며 부드러운 맛은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 군에서 1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았으며 단맛은 살구 첨가 40% 첨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수한 맛은 살구 10%, 20%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는 살구 10% 첨가가 외관의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의 기호도는 살구 10% 첨가와 살구 20% 첨가 브라운 소스가 높게 나타났다. 삼킨 후의 맛은 살구 10%, 살구 20%, 살구 30%, 무첨가, 살구 40% 첨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향미에서는 살구 20% 첨가가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살구 20% 첨가 브라운 소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살구 첨가 브라운 소스 제조시 적절한 살구의 양은 $10{\sim}20%$가 적합하리라 보여진다.

살구즙을 응고제로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apricot juice)

  • 이선주;정외숙;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825-831
    • /
    • 2006
  • 최근 두부가 전통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품질 개선과 고급화를 위한 방안으로 천연응고제로 살구즙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하여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와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살구즙 첨가 두부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며 2%첨가 두부군이 323.00g(68.6%)로 가장 높았고 살구즙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색도에서 L(lightness)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a(redness)값은 살구즙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b(yellowness)값도 살구즙 첨가 두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살구즙 첨가 두부의 기계적 특성에서 경도(hardness)는 살구즙 첨가 두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응집성(cohesiveness)은 대조군과 비슷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탄력성(springness)은 살구즙 첨가 6%이상 두부군에서 높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살구즙 2%첨가 두부군이 향미(flavor), 맛(taste), 전체적인 기호도는 가장 높았다. 살구즙 첨가 두부를 $0^{\circ}C$에서 18일 저장하는 동안 pH는 모든 두부군에서 서서히 증가하였고 2%, 4% 살구즙 첨가 두부군은 저장 15일째까지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6%와 8%첨가 두부군은 저장동안에 대조군보다 낮았다. 산도는 대조군과 살구즙 첨가 모든 두부군에서 15일까지 증가하였고, 대조군은저장 18일 이후 빠르게 산도가 증가하였으나 살구즙 첨가 두부군은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살구즙 첨가로 인한 저장성 연장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살구즙을 첨가한 건식 쌀가루 행병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engbyeong using Dry Rice Flour added with Raw Apricot Juice and Steamed Apricot Juice)

  • 박경애;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36
    • /
    • 2016
  • 본 연구는 살구즙의 처리방법(생살구즙과 찐살구즙)과 첨가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행병을 제조하였으며, 수분, 색도, pH, texture 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해 품질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살구즙을 첨가한 행병의 최적 제조 조건을 제시하였다.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행병의 수분 함량(p<0.001)과 pH(p<0.001)는 감소하였으며, L값(p<0.001)은 감소하였고, a값(p<0.001)과 b값(p<0.001)은 증가하였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p<0.001)와 검성(p<0.001)은 증가하였지만, 부착성(p<0.001)과 응집성(p<0.05)은 감소하였다. 특성 차이조사 결과, 외관 특성에서는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살구색(p<0.001)과 건조함(p<0.001)도 증가하였으며, 향미특성에서는 새콤한 향(p<0.001), 시큼한 향(p<0.001), 풋과일향(p<0.001)이 살구 첨가량의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맛 특성에서는 신맛(p<0.001), 시큼한 맛(p<0.001), 떫은 맛(p<0.05)이 살구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조사 결과, 대조군과 살구즙 20% 첨가 행병에서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살구나무 해충 Pristiphora apricoti Zinovjev (벌목: 잎벌아목: 잎벌과: 수염잎벌아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Pristiphora apricoti Zinovjev (Hymenoptera: Symphyta: Tenthredinidae: Nematinae), pest of Prunus armeniaca var. ansu from South Korea)

  • 최진경;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61-164
    • /
    • 2018
  • 한국산 수염잎벌아과의 미기록종인 살구나무테두리잎벌(신칭)을 확인하고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2016년 처음 국내에서 발견되어 살구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보고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종을 규명하고자 한다. 살구나무테두리잎벌의 생활사 및 생태사진과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을 제공한다.

동결건조 살구분말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Supplemented with Freeze-Dried Apricot Powder)

  • 이윤선;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57-9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살구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0%, 4%, 8%, 12%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8% 첨가군과 12%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살구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pH는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머핀의 비체적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머핀의 L값은 대조군과 4%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a값과 b값은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머핀의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 탄력성, 응집성은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내부조직은 대조군의 경우 기공이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살구분말 첨가군은 기공의 크기와 수가 감소하고 조직이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머핀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살구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에서 머핀의 외관, 냄새 조직감은 대조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8% 첨가군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2% 첨가군은 관능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살구분말을 8% 수준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향상되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유전자원의 꽃 크기 및 꽃잎 특성 (Flower Size and Petal Character of Prunus mume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in Korea)

  • 강희경;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3-3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매실나무 210점과 살구나무 9점의 꽃 구조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체별 꽃 크기, 꽃잎의 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수집한 매실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4.3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150점(7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6~30mm(45점, 21.4%), 16~20mm(9점, 4.3%), 30mm 이상(5점, 2.4%), 15mm 이하(1점, 0.5%)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2.7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7점(77.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mm 및 26~30mm가 각각 (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112점(53.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51점, 24.3%), 타원형(47점, 22.4%)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6점(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2점, 22.2%), 타원형(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9.2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138점(65.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개(31점, 14.8%), 21개 이상(20점, 9.5%), 5~10개(12개, 5.7%), 11~15개(9점, 4.3%)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5.1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8점(88,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10개(1점, 11.1%) 순이었다.

  • PDF

매실나무와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 특성 - 예산지역 이식의 현지외보전 식물자원 - (Coloring Quality of Prunus mume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 Plant Genetic Resource of ex situ Conservation in Yesan -)

  • 강희경;이자연;강혜린;오찬식;송홍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4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매실나무 (207점)와 살구나무 (7점) 열매의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체별 과피 및 과육의 착색정도를 조사하였다. 매실나무 열매의 착색상태는 아주 약함이 65점 (31.4%)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약함 (57점, 27.5%), 아주 짙음 (56점, 27.1%), 중간 (19점, 9.2%), 짙음 (10점, 4.8%)이었다.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상태는 아주 짙음이 3점(42.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아주 약함 (2점, 28.6%), 약함과 짙음 (각각 1점, 14.3%)이었다. 매실나무 열매의 착색부위는 적음이 105점 (50.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간 (65점, 31.4%), 아주 적음(32점, 15.5%), 많음 (5점, 2.4%)이었다. 살구나무 열매의 착색부위는 아주 많음이 5점 (7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간 및 많음 (각각 1점, 14.3%)이었다. 매실나무 과육의 빛깔은 백록색이 103점 (49.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연등색 (77점, 37.2%), 등색 (25점, 12.0%), 유백색 및 암등색 (각각 1점, 0.5%)이었다. 살구나무 과육의 빛깔은 등색이 4점 (57.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등색 (2점, 28.6%), 백록색 (1점, 14.3%)이었다.

  • PDF

식물성 유지의 홀수 지방산에 대하여(호도, 복숭아씨, 살구씨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Odd number Fatty acid of Vegetability lipids)

  • 차월석;유의경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49-54
    • /
    • 1993
  • 천연식품인 호도, 복숭아씨, 살구씨의 지방산 함량 과 홀수 지방산의 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료의 조지방 함량은 호도 61.78%. 살구 씨 52.34%. 복숭아씨 48.21 %이고, 중성 지질량은 호도 62.32%, 복숭아씨 91.50%. 살구씨 88.0%이 고, 당지질은 호도 34.14%, 복숭아씨 3.25%. 살구 씨 4.78%이었고, 인지질은 호도 3.54%. 복숭아씨 5.25%. 상구씨 7.27%였다. 2. 중성지질의 지방산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 37.07%. 짝수 지방산이 36.72%.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이 5.4%, 짝수 지방산이 94.60%.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6.85%. 8 짝수 지방산이 93.92%였교, 당지질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은 53.7%. 짝수 지 방산은 46.21 %.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은 6.97% . 9 짝수 지방산은 93.03%,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은 10.5%, 짝수 지방산은 89.42 %였고, 인지a질에서의 경우는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57%, 짝수 지방산 이 96.43%, 복숭아써의 흘수 지방산이 6.51 %, 짝 수 지방산이 93.49%,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15.0 % %, 짝수 지방산이 84.2%로 각각 함유되어 었다. 3. 총 지방산중 홀수 지방산은 호도 14.47%, 복 숭아씨 1.17%, 상구씨 4.03%이고, 짝수 지방산은 호도 85.53 %, 복숭아씨 98.83%, 삼구씨 95.97% 로 각각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 있다.

  • PDF

살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Prunus armeniaca Extracts)

  • 유수정;김수현;전미선;오현택;최현진;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0-225
    • /
    • 2007
  • 살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RC50값이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각각 $48.3{\mu}g$$43.9{\mu}g$으로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살구 에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살구씨 및 과육 에탄올 추출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고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살구씨와 살구과육 에탄올 추출물 각각에서 TA100이 69.4% 및 65.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같은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TA98과TA100이 각각45.9% 및 4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살구씨 에탄올 추출물 4mg/mL첨가 시 A549, AGS, MCF-7, HeLa 및 Hep3B에서 각각 63.7, 56, 86.3, 78 및 53.7%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살구과육 에탄을 추출물 4mg/mL 첨가시 위암세포 AGS에서 58.0% 억제효과를 보인 반면 모든 암세포에서 72.8%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에 비해 인간정상신장세포 293에 대해서는 37.2%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서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지난 2004년 폭설로 인한 피해 소급 건의와 재기현장

  • 장성영
    • 월간양계
    • /
    • 제38권4호통권438호
    • /
    • pp.116-119
    • /
    • 2006
  • 본고는 현재 본회 이사로 활동 중이며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살구농장을 경영하는 안효두 사장을 찾았다. 10년 동안 높은 생산지수를 유지하는 살구농장만의 노하우를 들어보고, 육계사육에 힘쓰는 와중 지난 2004년 폭설로 인한 피해로 충청지역의 재난복구비지원에 관한 충북지역 건의사항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