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조리간호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산후조리에 대한 임부 남편의 주관성 연구 (Sanhujori Subjectivity in Husbands of Pregnant Women)

  • 박소연;위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41-151
    • /
    • 2019
  • 본 연구는 문화적 특이성을 지닌 산후조리에 대해 한국의 임부 남편이 갖는 주관성을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탐색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임부 남편의 산후조리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207개의 Q 모집단에서 3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고, 임부의 남편인 40명의 P 표본에게 2018년 3월에서 5월까지 조사하였다. 임부 남편의 산후조리 주관성은 3개 유형인 '부부 중심의 여성건강 증진 추구형',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산모의 정서적 회복 기대형', '가족이 함께 새 가족체계 적응 노력형'으로 확인되었고, 유형의 공통된 특징은 남편에게도 충분한 출산휴가가 필요하며, 산모에게는 편안한 환경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융합적인 산전 서비스, 산후조리 프로그램, 전문가의 개입 및 남편에 대한 출산 전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관련 기관은 법령과 정책을 통해 남편의 적극적 산후조리 참여를 위한 방안을 더욱 확대하고, 부부 및 가족들의 요구에 대한 융합적 시각의 조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공공산후조리원 확대의 타당성에 관한 융합 연구: 편익-비용 분석을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Feasibility of Expanding Establishment of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s: Benefit-Cost Analysis)

  • 배현지;김진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09-418
    • /
    • 2020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산모의 산후조리를 돕는 공공산후조리원의 경제성을 평가하여 향후 공공산후조리원 확대의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개의 공공산후조리원 중 현재 운영 중인 6개를 대상으로 고정비용, 변동비용, 그리고 운영 현황에 대한 자료를 정보공개 포털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순편익과 편익/비용 비로 분석하였고, 조리원 이용 산모수 감소에 따른 산모실 회전율을 지표로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총비용은 37억 1,339만원, 총 편익은 55억7,896만원으로 추계되어, 편익/비용 비는 1.50로 1보다 큰 값을 나타냈고, 순편익은 18억 6,557만원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민감도 분석에서는 산모실 회전율 17.4인/1실 경우 B/C는 1.42이고, 15.4인/1실 경우는 1.26으로 추계하였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준비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 개원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공공산후조리원의 효과적인 확대 운영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과 민간산후조리원과의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산후 조리원 실내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terior Environment Planning of a Postpartum Care Center.)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3-262
    • /
    • 2007
  • 산후조리원은 불과 십여 년 전부터 등장한 시설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산후 조리 문화를 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 출산이 사회적 현상이 되어버린 지금 대부분의 산모들은 산후 조리원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산후조리원은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세무서에 사업자 신고만 하면 누구나 시설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지 못한 산후조리원이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나 운영면에서 일반 시설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나 보건 복지법 상이나 의료법 상에서의 시설 기준이 명확치 못한 산후 조리원의 효율적 공간 구성과 사용자의 편의을 고려한 실내 환경 계획을 제시 하였다. 진행은 서울 경기지역의 산후조리원 6곳을 선정하여 조리원 공간의 구성을 진입공간, 거주공간, 공용공간, 간호공간, 관리 및 부속공간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건립될 산후 조리원의 실내 환경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후 조리원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이 운영되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실내 건축 계획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산후조리간호 관리자 교육과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Curriculum for Maternal-Child Health Center Managers)

  • 최양자;조갑출;안은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ecialized education curriculum aimed at helping nurses prepare for running and managing a Maternal-Child Health Center (Postpartum Care Center).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 academy and industry joint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professors of Nursing, and nurses actually running a Postpartum Care Center. The group compiled job descriptions of nursing through document research, interviews and observation during site visits, surveys, and seminars. They then performed a feasibility study and developed the final curriculum. Result: The education curriculum is a 32-week(2semester) program compromised of a theory part (12 credits, 180 hours) covering maternal and infant care and business start-up and field practice (3 credits, 45 hours). Courses in the theory part include an antenatal care, overview and details of maternal care, starting a business and its management. Of these courses, the overview of a maternal care course was developed with web-based contents. Field practice is designed to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visit Postpartum Care Centers, observe the care provided, and get hands-on experience. Conclusion: The specialized education curriculum is a 32-week course comprised of 12 credits on theory of antenatal care, overview and details of maternal care, infant care, starting and operating a business and 3 credits of field practice.

  • PDF

산후조리원의 모자건강관리 현황과 제도화방안 - 지역사회중심의 모자건강관리센터(TMIC) 개발을 위한 전략 - (A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 - TMIC(transitional mother infant care center) using a Sanhujoriwon -)

  • 유은광;안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32-94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anhojoriwon; and 2) to suggest the new model for the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s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trategies of TMIC are related to Public Health policy, cost-effectiveness, mother infant care provis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o on. Method: Forty-seven workers from seventeen Sanhojoriwon participated to analyze several aspects of Sanhojoriwon.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at Korean Sanhojori Research Forum (KSARF), such as the traditional and medical concept of the Sanhojori, postpartum care,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job description on women and infant care at Sanhojoriwon, professional management, health care policy and the educational need. Results: Based on the descriptive study results, the TMIC, the community based transitional mother infants care center was suggested as a new model for the cyclic public health care system related on the reproductive health, using an already existing related center, Sanhojoriwon. Also, several strategies were presented on the TMIC.

  • PDF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이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in Puerperium Mothers)

  • 김선미;김병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87-195
    • /
    • 2019
  •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에 따른 모유수유 실천 여부를 확인하고 그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건강한 모유수유 실천을 도모하고, 더불어 수유부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산후조리원 3곳에 입실한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우울 정도에 따른 모유수유 실천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은 모유수유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Exp (B) = 0.887, p = 0.014), 산후우울이 높을수록 규칙적인 모유수유 실천율이 낮아졌다($x^2=19.556$, p = 0.000). 그러므로 산후우울과 유의성을 나타낸 변인들을 중점적으로 간호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산후우울 경감은 물론 모유수유 실천율 상승효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산후조리 개념분석 및 도구 개발 (Concept Analysis of Sanhujori and Tool Development)

  • 박형숙;정은순;이선옥;김영미;서영승;최소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1-140
    • /
    • 2001
  • As one of the important purpose of the concept is mutual communication, the concept should be defined clearly concerned concept, differed from others concept, identified intersubjectiveness, and could communicated readily and easily between researcher and practitioner through concept analysis. By analysing and synthesizing the concept of "Sanhujori" according to concept analysis of Walker and Avant. The author has tried to establish the term "Sanhujori" which gas been widly used from the past till now in Korea as a scholarly terminoloy and to develop a tool for the assessment of "Sanhujori". The conceptional attributes of the "Sanhujori" were figured out such as (1) hospitality; (2)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3) caring; (4) maternal role attainment. The assessment tool for the "Sanhujori" was constituted of 40 items of the conceptional attributes and tested on the 30 mothers more than 8 weeks of postpartal period. The reliability was that Cronbach's $\alpha$ is .9238.

  • PDF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태간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 안숙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7-4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Sample: The study subjects were 82 mothers who delivered full-term infants at 3 hospitals at P city. Data were collected for their health status at the postpartum unit and the sample was followed up to 6 weeks postpartum to collect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health status. Results: Mothers rated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s moderate to high and especially rated the maternal role attainment the highest. Mothers experienced 4 physical symptoms and moderate levels of fatigue.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moderate levels of positive affect and low levels of negative affect at both times. Canonical correlation revealed that ostpartum care performance was related to postpartum health status with 2 significant canonical variables. The first variate indicated that mothers who performed hospitality,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self-caring, and role attainment well showed higher positive affects, lower negative affects, fewer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s of fatigue. The second variate showed that the greater the performance of caring and physical and emotional recovery, the fewer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s of fatigue. Conclusion: Although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was related to postpartum health status,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Nurses need to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westernized postpartum care and Korean traditional views of postpartum approach to maintain and promote women's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