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화방지

검색결과 759건 처리시간 0.034초

볶음공정과 산화방지제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Process and Antioxidants on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s)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9-38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볶지않은 들깨와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몇가지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다. $190^{\circ}C$에서 20분동안 볶은 들깨와 볶지 않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alpha}$-토코페롤, ${\delta}$-토코페롤을 100, 200, 300과 400 ppm, BHA, BHT와 TBHQ를 50, 100, 150과 200 ppm으로 농도별로 첨가하여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antioxidative index (항산화제를 첨가한 들기름의 유도기간/항산화제를 첨가안한 들기름의 유도기간)로 환산하여 산화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볶지 않고 착유한 들기름보다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뛰어나, 볶음공정이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약 4배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토코페롤류는 들기름의 산화를 촉진하였다. 합성산화방지제인 BHA는 산화방지 효과가 없었고, BHT는 미약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BHQ는 강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때 TBHQ를 법적 허용 기준치인 200 ppm이내에서 첨가하였을때 들기름의 저장안정성을 약 5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TBHQ가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향상에 가장 적합한 산화방지제로 판단되었다. 또한 볶음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열처리가 칡가루 및 이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aekseolgi made with arrowroot flour)

  • 염주희;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3-9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i) 열처리에 의한 칡가루의 산화방지 활성 변화와 (ii) 칡가루 첨가 백설기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칡가루의 기능성이 열처리 가공식품에 실질적으로 부가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쌀가루의 일부(3, 6, 9, 12, 15%)를 칡가루로 대체하여 제조한 백설기는 수분 함량이 대조군(0%) 백설기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쌀가루에 비해 칡가루의 수분 함량이 낮아 칡가루 속 식품섬유에 의한 우수한 물 결합력이 일부 상쇄된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수분 보유 정도와 비례하는 백설기의 경도, 점착성, 씹힘성 등 기계적 물성 값들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칡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백설기의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져, 칡가루의 색 특성이 백설기에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확인해주었다. 또한 백설기의 총 환원력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칡가루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칡가루 추출물에서 관찰된 산화방지활성이 백설기 제조를 위한 열처리 공정 후에도 백설기에 실질적으로 남아있음을 확인해주었다. 그러나 열처리 칡가루에서 측정된 산화방지 활성 값으로 백설기의 산화방지 활성을 계산한 예측치와 비교할 때, 칡가루 첨가 백설기에서 실제로 측정된 산화방지 활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는 페놀성 및 비페놀성 환원물질의 총량을 반영한 총 환원력에서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열처리가 칡가루 속 페놀성 물질과 비페놀성 물질에 대해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던 결과로 설명되었다. 즉 칡가루를 $100^{\circ}C$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하였을 때 플라보노이드는 증가, 총 환원력은 감소한 현상이 관찰됨에 따라, 칡가루를 첨가한 식품은 열처리 공정에 의해 페놀성 물질보다는 비페놀성 환원물질들이 상대적으로 더 손실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한편 칡가루 첨가 백설기는 칡가루 고유의 색, 떫은 맛과 쓴맛, 조직의 거친 정도가 칡가루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전반적 기호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9% 첨가군까지는 기호도에 부정적 영향없이 칡가루의 산화방지 활성을 열처리 식품인 백설기에 실질적으로 부가할 수 있었다.

폴리프로필렌의 내방사선성에 미치는 산화방지제와 열처리의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 and Thermal Treatment on the Radiation Resistance of Polypropylene)

  • 박성현;김형일;강필현;노영창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10-13
    • /
    • 2006
  • 의료용 등급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내방사선성에 대한 산화방지제와 열처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여러 종류의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이를 시이트 형태로 제작하여 질소분위기에서 25 kGy로 감마선 조사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한 폴리프로필렌 시이트에 대해 산화방지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색도 변화와 기계적 강도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감마선 조사 후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라디칼 잔존량과 산화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페놀계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보다는 인계 산화방지제를 폴리프로필렌에 혼합하였을 때 감마선 조사 후 색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130\;^{\circ}C$에서 30분 동안의 열처리에 의해 산화의 원인이 되는 자유라디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어 열처리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보다 낮은 산화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MO 이론에 의한 반응성의 결정 (제17보).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관한 이론적 연구 (Determination of Reactivities by MO (ⅩⅦ). Theoretical Studies on Phenolic Antioxidants)

  • 이익춘;전용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37-341
    • /
    • 1980
  • 페놀계 산화방지제들의 라디칼 생성반응을 분자궤도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전자공여성인 알킬기의 치환으로 phenoxy 라디칼 생성이 용이해지며, 따라서 산화방지 능력이 증가함을 알았다. 이것은 electrophilic 라디칼의 작용으로 형성되는 양이온을 안정화시켜 주기 때문임을 밝혔다

  • PDF

산화방지제 종류에 따른 천연고무 배합물의 내열성 및 내크랙성 (Heat and Crack Resistance of Natural Rubber(NR) Compounds According to the Type of Antioxidants)

  • 노종대;신정은;김진태;허재영;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4호
    • /
    • pp.341-34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산화방지제의 종류에 따라 천연고무 가황물이 어떠한 내열성과 내크랙성을 가지는지를 평가해 보았다. 가교시스템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촉진제/황 비율을 0.25로 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페닐렌디아민계 산화방지제는 가교에 참여하여 가교밀도를 증가시킴으로 가황물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산성의 차이에 의해 인열강도는 산화방지제에 따라 거의 2배의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인열에너지는 인열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불규칙한 크랙경로를 나타낸 페닐렌디아민계 산화방지제가 첨가된 가황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Pure shear test에서도 페닐렌디아민계 신화방지제가 첨가된 가황물이 낮은 크랙 성장 속도와 높은 탄성율에 따른 높은 변형에너지 완화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배합물 속에서 뛰어난 분산성과 높은 가교밀도를 보인 페닐렌디아민계 산화방지제가 첨가된 가황물이 우수한 내열성과 내크랙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발아 및 발아온도가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and temperatur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 임예서;신용국;김도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8-202
    • /
    • 2018
  • 커피 생두의 발아 유무와 발아온도에 따른 커피 내 산화방지물질과 산화방지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2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DPPH와 ABTS 제거능 또한 높게 나타났다. $40^{\circ}C$ 발아 커피는 $20^{\circ}C$ 발아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특히, $4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와 비교했을 때에도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 내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산화방지 활성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40^{\circ}C$ 발아 커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DPPH 제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ABTS 제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 연관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커피 생두의 발아는 커피 내 산화방지 물질과 산화방지 활성을 높이며, 적절한 발아온도의 설정은 이러한 커피의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강의 수소 확산 방지막 효과에 대한 수치 해석

  • 하태균;최호선;박종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1.1-111.1
    • /
    • 2016
  • 진공 중 산화처리 방법으로 스테인레스강 표면에 형성한 크롬 산화막에 의한 수소 기체방출 저감 효과를 수치해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스테인레스 강 진공 용기를 진공 중 산화처리하면 표면의 확산 방지막 효과에 의하여 수소 기체방출률을 낮출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구체적인 원리는 명확하지 않다. 표면 크롬 산화막의 수소 확산계수가 스테인레스 강 내부의 확산계수보다 작으므로 수소의 확산을 지연시켜 기체방출을 낮춘다는 설명이 가능하지만, 크롬 산화막의 두께 및 확산계수가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예는 없었다. 본 발표에서는 스테인레스강 진공용기의 크롬산화막과 모재 내부에 서로 다른 확산계수를 부여한 후 기체방출에 관여하는 확산 방정식을 수치해석으로 풂으로써, 표면의 확산 방지막에 의한 기체방출 저감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 김이은;조은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43-548
    • /
    • 2018
  • 본 연구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CTP)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인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를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산화방지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방질 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산화방지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은 산화방지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윤활 오일에서 재가 생기지 않는 산화방지제, 구리 반응 억제제와 부식 방지제의 이용에 관한 고찰

  • 강석춘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6권2호
    • /
    • pp.1-15
    • /
    • 1990
  • 본 해설에서는 윤활 오일에서 구리 반응 억제제와 철의 부식 억제제에 관한 내용을 검토한 것으로 자동산화 화정의 초기 생성과 연쇄적인 전파, 확산 및 종료 그리고 1차 및 2차 산화 억제제에 관해서 서술한 것이다. 구리 반응 억제제와 부식 억제 성질 및 작용이 고려되고 첨가제로써의 응용에 관해 조사하였다.

Renal epithelial cells에서 oxidant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황금(黃芩)의 영향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on Oxidant-Induced Apoptosis in Renal Epithelial Cells)

  • 이동준;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85
    • /
    • 2004
  • 목적 : 黃芩(황금)과 黃芩(황금)의 주요 flavonoid 성분인 baicalein이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에서 산화제에 의한 apoptosis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신장세뇨관 상피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 세포를 유기산화제인 t-butylhydroperoxide (tBHP)에 노출시켜 apoptosis를 일으킨 후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tBHP는 농도에 의존하여 apoptosis를 유발시켰는데, 이러한 효과는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지 되었다. tBHP에 의한 OK 세포사는 항산화제인 Trolox와 N-acetylcysteine에 의해 방지 되었다. tBHP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subfamily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를 활성화시켰다. ERK 억제제인 PD98059와 U0126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ERK 활성화는 U0126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黃芩(황금)과 baicalein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철착염제인 deferoxamine은 tBHP에 의한 세포 사망과 ERK 활성화를 방지하였다. tBHP에 의한 세포 사망은 casopase 억제제인 BOD-U-FMK와 zDEVD-FMK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黃芩(황금)은 산화제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는데, 이는 kinase 억제, 항산화제 역할 및 철착염제의 작용에 기인하지 않았다. 黃芩(황금)의 이러한 효과는 산화제에 의관 신부전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