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학

검색결과 16,893건 처리시간 0.036초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excellen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ordinator)

  • 홍은영;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107-118
    • /
    • 2014
  • 산학협력의 성공요인 중의 하나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를 통하여 기업은 대학 연구기관과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수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산학연관 각 주체간에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의 개인역량으로서 업무적극성은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와 기술DB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관의 지원의지로서 센터직원 수의 확보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코디네이터 과제도출,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 교류 정도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기술DB 발굴,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개인적인 역량 중 조직유지와 센터장의 리더십, 지자체의 지원의지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관심과 확대를 통하여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분석 (DACUM Job Analysis of Management Teacher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종욱;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6-9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컴(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협력 부장 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긴 후,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정하고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다. 데이컴 직무분석을 위한 워크숍은 Level-I 자격증을 소지한 데이컴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8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이틀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란 특성화고 산업수요 맞춤형고 등에서 취업진로지도, NCS 기반 현장실습운영, 산학관관계구축, 대외사업운영, 산학협력행정업무, 담당교과교수 등을 수행하는 보직교사로 정의하였다. 둘째,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의 임무(duties)와 80개의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7개 임무는 '취업 진로 지도', 'NCS 기반 현장 실습 운영', '산학관 관계 구축', '대외 사업 운영', '산학 협력 행정 업무', '담당 교과 교수활동', '자기계발'이다. 이들 임무 중 가장 많은 작업은 '담당 교과 교수활동'으로 17개의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데이컴 직무분석 차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도출하고, 작업자의 태도와 산학협력부장 교사의 장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 창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Professor and Start-up of Undergraduate Students)

  • 정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28-234
    • /
    • 2020
  • 빠른 기술발전과 더불어 기업가적 대학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이 지난 10년 동안 급증해 왔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임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생을 위한 창업 지원은 산학협력교수의 주요 업무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교수의 대학생 창업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년제 203개 대학을 대상으로 산학협력중점교수, 대학생의 창업 관련 활동, 대학의 창업지원 현황 및 대학의 특성에 대한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대학생의 창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비율은 대학생의 창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은 반면, 창업전담조직에 배치된 전임교원은 대학생의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창업캠프에 참여한 대학생의 비율과 창업을 위해 지원되는 금전적 자원이 대학생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정부 재정지원이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n the Perform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cus on LINC Program)

  • 문형진;이희상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29-52
    • /
    • 2016
  • 정부는 국가의 지속적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산학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정책 및 지원 등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의도한 성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지원 여부가 대학의 기술이전 건수와 교원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기술이전 수입료와 학생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지만 성과의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신(新)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Research for activation of new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김태영;설원식;이영일;고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77-8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학협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현황과 정부의 지원사업을 진단하고, 해외 주요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전반적인 산학협력 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은 양적으로는 충분하나, 부처별 중복지원 문제, 산학협력 지원의 양극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주요 대학의 특징은 지역산업과의 연계가 높다는 점이며, 대학이 적극적으로 창업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적 산학협력으로, 미래수요에 기반한 신교육과정 개설과 교육방식 혁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능동적 산학협력으로 창업교육 확대와 대학보유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주체와의 적극적 협력으로 지역혁신의 앵커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수익 창출형 산학협력 모델을 개발하여 대학 재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 연구 - 광교테크노밸리 산학협력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f the Gwanggyo Technovalley -)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54-257
    • /
    • 2012
  •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 추진의 전략방향 설정을 위해서 클러스터 현황을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광교테크노밸리의 발전단계에 따른 협력현황 파악을 위하여 산학연 협력체계 분석과 진단을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광교테크노밸리내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경험은 67.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기업과는 연구개발, 연구기관과는 장비활용 중심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의 지원정책수요는 협력기관 현황제공, 기술별 정보취득지원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전략이 도출되었다. 첫째, 혁신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조속히 제시하고 단지인근에서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혁신클러스터 단계별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근의 타 혁신거점과 정책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서 타 혁신클러스터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망 구축이 필요하다.

  • PDF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장애의 극복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cusing on the I-U Relationship Strength and Overcoming I-U barrier)

  • 홍은영;최종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10-422
    • /
    • 2018
  • 본 논문은 정부지원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산학협력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산학협력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찾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산학협력의 누적된 경험과 다양한 채널의 폭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상호 인식의 차이, 제도적 장벽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장애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산학협력장애를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대학행정의 노력 및 산학간의 신뢰를 살펴본다. 국내 산학협력프로그램 중 오랜 역사를 가진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학협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표본의 명확성을 위하여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단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56개 조직의 응답을 이끌어 냈다. 연구 결과, 산학협력관계의 폭이 클수록 지속가능성은 높아지고, 산학협력장애의 제도적장벽이 클수록 지속가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학행정의 노력과 산학간의 신뢰를 통해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결국,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즉, 대학과 기업과의 Link의 다양성, 즉 산학협력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계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끝으로 대학행정서비스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대학핵심조직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전통사상과 협동방식을 이용한 산학협력의 방향연구 (Tradi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approach of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 조규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374
    • /
    • 2011
  • 산학협력은 대학과 기업이 사회 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고 상호간의 이익을 공유하기 위해 구성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단기성 또는 일회성이 그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 이유는 연구 결과 또는 연구여건, 내용 등 여러 문제가 있겠지만, 대부분이 산학협력에 대해 참여주체별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 갈등 및 불만족이 주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오래전부터 우리의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전통의식과 공동체적 협동방식에서산학협력의 문제점 발생요인에 대한 원인 및 해결방안을 파악하여 산학협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출판포럼 -출판 산학협동, 어떻게 할 것인가

  • 이창경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7호
    • /
    • pp.142-145
    • /
    • 2005
  • 한국출판연구소(이사장 임홍조)는 대한출판문화협회, 한국출판학회, 한국대학출판관련학과협의회와 공동으로 지난 6월 3일 "출판 산학협동,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출판포럼을 개최했다. 이종국 한국출판학회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서는 '21세기 산학협동의 현황과 좌표' 에 대해 정기성 강릉대 경영학과 교수가, '출판 산학협동 발전방안' 에 대해 이창경 신구대학 출판미디어과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으며, 문화관광부 출판산업과 허윤 과장, 교육부 산학협력과 이상돈 사무관, 대한출판문화협회 강희일 부회장, 서일대학 정보출판과 이은국 교수가 토론자로 나서 토론을 벌였다. 다음은 이창경 교수가 발표한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 PDF

산학협동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강일구
    • 과학과기술
    • /
    • 제29권1호통권320호
    • /
    • pp.88-90
    • /
    • 1996
  • 산학협동연구는 장기적이고 독자적이어야 하는데 지난동안 우리는 극히 단기적인 제품기술이나 생산기술에서의 산학협동에 주력해 왔다. 비교적 과학기술 도입이 늦었던 일본도 이미 1백년 이상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진 바탕위에서 산학협동이 이루어진 것을 볼때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기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이 글은 과총주최로 구랍 7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95 산학협동워크숍에서 강일구씨가 발표한 내용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