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 생태계 관리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ryness Evaluation of A Mountain Wetland Using Drought Index (가뭄 지수를 이용한 산지 습지의 건조화 평가)

  • Lim, Jong Hun;Kim, Jung Wook;Kim, Soo J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6-396
    • /
    • 2019
  • 습지는 가장 생산적인 생태계 중 하나이며, 인류에게 수문학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로도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인간의 영향으로 수위저하와 건조, 수문체계에 변화를 주어 습지의 건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산지습지는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고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불규칙한 강수패턴 및 무분별한 개발은 습지수문환경에 영향을 미쳐 습지의 건조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으로 습지의 면적이 감소하고 식생의 패턴 변화로 다양한 생물들과 보호가 필요한 종들이 사라질 것이므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건조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 내 지하수위 저하 또는 유입 유출량의 변화로 습지 토양의 수분이 감소하여 말라가는 현상을 습지 가뭄이라 정의하고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현재 산지습지를 대상으로 가뭄을 지수화 시킨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향후 산지 습지의 가치를 보존하고 생태계 관리의 목적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nalysis of Discharge Variation considering Water Balance Method in Mountain Wetland (물수지 방법을 고려한 산지습지 유량변동 분석)

  • Oh, Seung Hyun;Kim, Jung Wook;Kim, Jae 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4-174
    • /
    • 2017
  • 습지는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며 범람원, 수문저장, 오염원의 분해 및 침전의 기능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인간의 복지에 매우 유용한 자연공간이다. 습지의 생태적,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지 내 유량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습지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량 변동을 분석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지습지는 주변과 고립되어 있어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고, 특이하며 다양한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양산지역 산지에는 고산습지가 많아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이 살고 있는 청정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야생생물이 분포하는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습지인 경남 양산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내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유지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습지유역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의 차이를 분석하는 물수지 방법을 적용하여 습지 내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Study on Conversion Permission Standard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Ecological Location of the Mountain Areas (산지 지형 및 생태적 입지를 고려한 산지이용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Jung-Sun;KWAK, Doo-Ahn;KWON, Soon-Duc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59-71
    • /
    • 2019
  • In Mountainous Districts Management Act of Korea Forest Service, slope and elevation criteria are operated to regulate the indiscriminate use of risky land parcels when forestland is converted to other land use typ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considering topographical variation with only such two indices in the land parcel. Therefore, in order to supplement insufficient criteria, the slope type standard was developed using Catena, and the ecological condition improved terrain standards. Firstly, the ratio of 'risky slope' in a target forestland parcel was defined to decrease the risk of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Secondly, the standard of the ecological location condition was proposed as ecological score by integrating age, diameter and soil depth classes in the target forestland parcels. Thereby, we could prepare reasonable standards that can reduce forestland disasters and ecological damages, as suggesting new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assessment methods for forestland use conversion.

Ecoregion Classification using Multi-Hierarchy of Environmental Factors (환경요인의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

  • Jeong, Gwan Yong;Yang, Hee Moon;Kim, Suk Kuwon;Park, Soo 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5
    • /
    • pp.654-67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coregion classification using a multi-hierarchy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spatial patterns in the capacities and potentials of ecological systems in mountain reg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dentify the multi-hierarchy of these factors using spatial statistics. Lastly, we assess ecosystem-units using both a forest type map (yung & kung) and a forest soil map in order to present a ecoregion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at a $1,168km^2$ area in Gangwon-do, Korea. Sedimentary rocks, particularly limestone (36.6%) exist in high proportions in the research area. While higher mountains are present in the north and central Korean peninsula, plain areas show large proportions along Odae and Pyeongchang river. In a multi-hierarchy, geology and elevation are identified as upper levels and landform classification (surface curvature, upslope area) is considered as a lower level. 'Geology+elevation+landform' shows equally higher ${\chi}^2$ values than that of other classifications and we map ecoregions based on this result. Uniquenes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 area such as high proportions of sedimentary rocks and higher elevations influences our ecoregion classifica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considering this study as an effective approach to integrating various ecological themes for mountain ecosystem management.

  • PD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Village Wetlands in Mountainous Rural Area - Case on Geumsan-gun, Chungnam - (산지 읍면지역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금산군을 사례로 -)

  • Park, Mi-Ok;Seo, Joo-Young;Yang, Seung-Bin;Koo, Bon-Ha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6
    • /
    • pp.37-4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village wetlands in Geumsan County, an inland mountain zone, and comparing with Seocheon County, a coastal plain area with different ec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Using Arc-GIS (v10.1) the village wetland code was extracted to derive the possible location of the village wetland, and the final distribution of the village was obtained by performing indoor judging work based on satellite images, aerial photographs, topographical maps,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land use level, land cover degree (division), and land use status by local surveying and indoor analyzing. Although Geumsan County (576.66km2) is more than 60% larger than Seocheon County (358.04km2), 607 villages in Geumsan County and 570 villages in Seocheon County are capable of making similar levels of 106.5% of wetlands, but only a fraction of those in Seocheon County were found to be 67.6%. The density of the village wetland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Seocheon County, a coastal plain area, because there were many mountainous areas in Geumsan County, and most of the wetlands temporarily created for water supply were removed during the analysis phase of the Jeongsa Image, so the actual wetlands of the village were judged to be only two-thirds different from those of Seocheon County.

Analysis Actual Conditions of Arid Progress and Prevention Management of Hwaeom Wetland in Yangsansi (양산시 화엄늪의 산지화 진행실태 및 예방관리 방안)

  • Lee, Soo-Dong;Kim, Sun-Hee;Kim, Ji-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4
    • /
    • pp.498-511
    • /
    • 2012
  • Mountainous wetland have many species such as II grade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Drosera rotundifolia) and environmental indicator species(Utricularia racemosa, Habenaria linearifolia, Parnassia palustris, Molinia japonica, etc.). Accordingly, the mountainous wetlands is very important. However, most mountainous wetlands will disappear by natural or artificial aridness processes. Thus, it needs to manage mountainous wetland for protecting from aridness.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wetland status of the environmental ecology and aridness processes moreover, it has suggested ways of improving wetland conservation plan and wetland aridness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opography structure survey, Hwaeom wetland's altitude is ranged within 750~810m(87.4%), and slope is less than $10^{\circ}$. There was ideally suited mountainous wetland. However, the water supply(1.6 meters depth and 0.8 meters wide) was built on under the wetland. For that reason, there was concerned about the aridness processes by sweeping away peat layer and dropping the water level. The distribution area of hygrophyte was narrowed to 6.7% whereas, woody plants and xerophytic plants was achieved a dominant position. If it leaves the situation as it is, the mountainous wetland will be developed next succession as forest ecosystem. Therefore, in order to sustain the mountainous wetland from aridness, it is set to the base direction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s main schemes. Moreover, we have suggested that setting the veget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rea which considering a ecological vegetation characteristics, managing the ecotone vegetation, setting the buffer zone for protection of ecological core areas, protecting the mountainous wetland indicator species and designating the management vegeta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sustain and maintain a soundly wetland ecosystem, it needs to several management of wetlands damage factors. 1) suppression of the excessive groundwater to basin, 2) stabilization of wetland via hydrologic storage, 3) suppression of changing and transforming wetland into forest by succession via management of xerophytic plants.

A Landscape Ec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Watershed Focusing Landcover Types (경관생태학적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유형 분류)

  • Oh, Jeong-Hak;Jung, Sung-Gwan;Kwon, Jino;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4
    • /
    • pp.22-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watershed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identifying the groups of watershed with similar landcover patterns by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tatist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using cluster analysis tool in the ArcGIS 8.3 program, 22 sub-watershe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orest watershed", "Agriculture watershed", and "Urban watershed". In the forest watershed that has the least potential of ecological disturbances by human, a forest management approach based on geographic conditions and coverage types, etc., should be developed to sustain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unctions of forest. For the agriculture watershed,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techniques should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enhancement of riparian buffer zone to the prevent direct inflow of soils, fertilizers, and other chemicals into the stream network. Finally, in the urban watershed, an environmental-friendly plan that may increase the ratio of pervious surface and amount of green-space to should be reserved.

  • PDF

Estimate of Flood Discharge using Fuzzy Regression in Mountainous Watershed (Fuzzy Regression 기법을 이용한 산지하천 유역 홍수량 산정)

  • Kim, Seung-Joo;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25
    • /
    • 2011
  • 우리나라는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산지하천 유역에서 발생한 홍수와 토석류 등에 의해 많은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산지하천 유역은 유량자료에 비해 강우관측 자료는 비교적 많이 축적되어있으며, 최근에는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관측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강우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에 비해서 산지하천 유역의 하천 유량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거나 자료가 있더라도 결측치가 많고 보유연한이 분석에 필요한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산지하천 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강우관측 자료와 수위자료로부터 환산된 유량자료가 필수적인 인자이나 산지하천 유역의 수위관측소는 설치 및 유지관리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유량자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단 시간 내에 해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유역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임의의 지점의 설계홍수량을 손쉽고,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면 산지유역의 홍수와 토석류에 의해 발생하는 홍수 피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반적인 통계적 회귀분석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산지하천 유역의 강우-유출해석의 경우 관측자료의 수가 적고 발생하는 사상이 애매한 경우가 많아 일반적인 통계학적 선형 회귀분석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fuzzy regress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Fuzzy regression 기법의 하나인 possibilistic 모형을 사용하여 주어진 관측값과 산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모형의 fuzziness를 최소화하였다. fuzzy regression 기법을 사용하면 변수들 간의 애매한 관계를 쉽게 해석하고 관측값과 산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연구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산지유역에서 발생하는 홍수는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뿐 아니라 사회 및 경제적 측면, 환경 및 생태계 그리고 인간의 정신적인 측면까지도 깊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fuzzy regression 기법을 사용한 홍수량 산정기법을 통해 임의 지점의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산정하여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하면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atus of Eco-environments of Goryeong (고령군의 생태 환경)

  • Seo, J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6
    • /
    • pp.698-708
    • /
    • 2008
  • The status of eco-environments of Goryeong is evaluated from the result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The areas, designated by the 1st class, are only 0.16% of total areas of Goryeong. Most of them are the regions which vegetation preservation status is well. Location of the 1st class region is mostly distributed around the summit and ridges of high mountains. The naturalness of Goryeong region is excellent, thus the status of eco-environments of Goryeong will be rapidly improved.

  • PDF

Estimation of regional Low-flow Indices Applicable to Unmeter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지역에 적용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 산정)

  • Jeung, Se Jin;Kang, Dong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39
    • /
    • 2020
  • Low-flow 하천에서의 최저수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유황곡선의 갈수량(Q355)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Low-flow는 물 공급 관리 및 계획, 관개용수, 생태계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Low-flow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토의 70%가 산지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하천과 1급하천을 제외한 산지유역은 수위관측소가 부재하거나 결측으로 인해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Low-flow분석에 한계가 있다. 이에 과거에는 미계측지역의 갈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ARIMA 모형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지만, 최근들어 머신러닝 모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DNN기법은 ANN기법의 단점인 학습과정에서 최적 매개변수값을 찾기 어렵고, 학습시간이 느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통해 미계측지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를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Low-flow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인자들간의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여, 머신러닝 모형에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 예측기법인 다중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