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성 백토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식물성 압착오일의 흡착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Oil by Using Adsorben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6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된 호박씨, 동백씨, 고추씨 그리고 땅콩에서 오일을 압착 추출하여 오일의 정제과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인 활성탄, 산성백토, 백도토를 사용해서, 흡착제 사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지방산 및 활성성분의 조성을 비교분석했다. 각 오일의 성분 분석 및 흡착제에 따른 변화는 가스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했고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능력을 비교했다. 흡착제 처리 시, 실험에 사용된 4종의 국내산 식물성 오일에 포함 되어 있는 대부분의 지방산 및 항산화 능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호박씨 오일은 세 종류의 흡착제가 linoleic acid과 erythrodiol 성분을 감소시켰으며, 동백씨 오일의 경우 지방산들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산성백토로 정제한 군에서는 vitamin E의 손실이 없었고, 고추씨 오일의 매운 성분에 관여되는 capsaicin 화합물은 산성백토로 정제 시 53.33% 감소되었고, 땅콩 오일의 경우 활성탄을 처리한 군에서 sitosterol 화합물의 손실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호박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동백씨 오일(산성백토>백도토>활성탄), 고추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그리고 땅콩 오일(활성탄>산성백토>백도토)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고추씨 기름의 정제와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 김재철;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2
    • /
    • 1980
  • n-hexane으로 추출한 고추씨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붉은 색과 매운 맛의 제거를 시도하였다. 예상한 대로 붉은 색은 탈색 및 탈취 공정중에서 제거되었으나 매운 맛을 내는 capsaicin의 제거에는 탈취 공정은 별 영향이 없었고 탈색 공정이 아주 효과적임을 알았다. 4 %의 산성 백토를 가지고 탈색을 했을 때 capsaicin은 완전히 제거 되었다. 또한 기름 중의 capsaicin의 산성 백토에의 흡착은 산성 백토의 양을 증가함에 따라 대수적으로 감소했고 다음과 같이 Freundlich 식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frac{x}{m}}=1.1\;c^{0.31}$, 여기서 x는 백토에 흡착된 capsaicin의 양 ((mg/ml), m은 산성 백토의 양 (%), 그리고 c는 탈색 후의 잔존 capsaicin의 양 (mg/ml)이다. 고추씨 기름의 중성 지질의 구성을 보면 95.87 % triglyceride, 1.55 % sterol ester, 1.45 % monoglyceride, 0.78 % 유리 지방산, 0.2 % diglyceride와 0.15 % sterol이었다. 또한 HPLC에 의한 고추씨 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리놀산 (78.79 %), 팔미틴산 (15.27 %)과 올레인산 (2.93 %)이 주 지방산이었고 리놀린산은 0.63 %로 극히 적은 량이었다.

  • PDF

국산산성백토(國産酸性白土)의 정제붕양제(錠劑崩壤劑)로서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Korean Acid Clay as the Tablet Disintegrator)

  • 노태선;임창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권1호
    • /
    • pp.31-39
    • /
    • 1972
  • 국산산성백토(國産酸性白土)를 정제(錠劑)의 붕노제(崩努劑)로 개발(開發)하고자 종내(從來) 붕해제(崩解劑)로 사용(使用)해 오든 corn starch, calcium methylcellulose, kaolin, calcium silicate 및 Pectin과 국산산성백토(國産酸性白土)를 붕해제(崩解劑)로하고 정제(錠劑)의 주약성분(主藥成分)으로서는 불용성(不溶性)인 Ca-PAS KP II 를 택(澤)하였다. 이상(以上)의 각(各) 붕해제(崩解劑)의 一錠當(일정당) 함양(含量)을 0%에서 25%까지 7종(種)으로 달리하고 이것을 각각(各各) 사용(使用)하여 만든 과립(顆粒)의 입자도(粒子度)도 각각(各各) 4종류(四種類)로 분류(分類)하였다. 여기에 활택제(滑澤劑) 로서 0.5% mg-stearate를 공통(共通)으로 첨가(添加)하였다. 이상(以上)을 각각(各各) 동일(同一)한 조건하(條件下)에서 타정(打錠)하여 수종(數種)의 정제(錠劑)를 만들었다. 이들 정제(錠劑)에 대(對)하여 경도(硬度)및 붕해도시험(崩解度試驗)을 하여 비교검토(比較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Corn starch는 우수(優秀)한 붕해제(崩解劑)이나 그첨가량(添加量)이 8%이상(以上)이 될 때 는 타정시(打錠時) 압력(壓力)을 받지 않어 정제(錠劑) 붕해제(崩解劑)로서 사용(使用)할 수 없었다. 2. Ca-Mc는 붕해제(崩解劑)로서 첨가량(添加量)이 8%이상(以上) 일때에도 사용가능(使用可能) 하였으나 15%이상(以上) 일때는 타정시(打錠時) 압력(壓力)이 약(弱)해졌다. 3. Kaolin 붕해제(崩解劑)로서 부적당(不適當) 하다고 사려(思慮)되였다. 4. Ca-silicate도 붕해제(崩解劑)로서 적당(適當)하였으나 Pectin은 가장 부적당(不適當)하였다. 5. 산성백토(酸性白土)는 정제붕해제(錠劑崩解劑)로서 타정시(打錠時) 25% 첨가시(添加時)에도 압력(壓力)을 잘 받어 정제(錠劑)의 경도(硬度)를 유지(維持)할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붕해도(崩解度)도 양호(良好)한 성적(成績)을 나타내여 가장 우수(優秀)한 붕해제(崩解劑)임을 확인(確認)하였다. 6. 일반적(一般的)으로 타정(打錠)에 사용(使用)되는 과립(顆粒)의 size가 적을수륵 붕해시간(崩解時間)은 짧았으며 정제(錠劑)의 경도(硬度)가 높을수록 붕해시간(崩解時間)은 길었다. 그러나 정확(正確)한 비예성(比例性)은 찾기힘들었다.

  • PDF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 평가 (Bleaching of cold-pressed rapeseed oil using activated clay)

  • 이영화;박원;이태성;김광수;장영석;이경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60-567
    • /
    • 2016
  • 최근 건강기능성 식용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저온압착(cold-pressing) 유채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온압착 유채유는 정제유에 비해 기름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과정에서 산성백토의 첨가량, 처리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른 탈색 후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차(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조사하였고, 품질특성은 chlorophyll-A 와 carotenoid 함량,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alpha}$, ${\beta}$, ${\gamma}$, ${\delta}$), 및 식물성 스테롤(${\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을 분석하였다. 먼저 산성백토(DC-SUPER)의 첨가량(1, 2, 3%)에 따른 저온압착 유채유의 색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DC-SUPER 첨가량 2%에서 탈색 1시간 후 유채유의 색도가 갈색에서 연노랑으로 옅어졌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총 3종의 산성백토(DC-SUPER, DC-A3, 및 P1)에 대해 첨가량 2%를 기준으로 처리시간(20, 40, 60, 80분)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 20분 경과 후부터 대조구 대비 명도(L)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성백토 DC-SUPER 2% 첨가 후, 반응온도(40, 80, $120^{\circ}C$)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L값과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b값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반응온도 $40^{\circ}C$에서 처리시간 20분 이내에 클로로필 A와 카로티노이드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토코페롤 함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탈색 전 저온압착 유채유의 총 토코페롤 함량은 46.62mg/100g이나, 탈색 후 총 토코페놀은 12.67mg/100g(20분 탈색), 15.31mg/100g(40분 탈색), 13.56mg/100g(60분 탈색)로 나타나, 약 50% 이상 감소하였다. 탈색 후 ${\alpha}$-토코페롤과 ${\delta}$-토코페롤의 함량 감소가 매우 컸고, ${\gamma}$>${\beta}$>${\alpha}$>${\delta}$-토코페롤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탈색 전 후에 저온압착 유채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 이용 저온압착 유채유 탈색시 색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총 토코페롤 등이 감소한 바 향후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활성 백토를 이용한 수중의 인산성 인(PO43--P) 흡착에 관한 연구 (Study on Adsorption of PO43--P in Water using Activated Clay)

  • 황지영;진예지;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197-202
    • /
    • 2021
  • 본 연구에서, 산성 백토를 황산(무게 비로 20%)와 90 ℃의 온도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처리 한 활성 백토를 수중의 인산성 인(PO43--P)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사용하였다. 흡착 실험에 앞서 X-선 형광분광기와 표면적 분석기로 활성 백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3--P 흡착은 0.25 시간 이전에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4시간에 이르렀을 때 평형에 도달하였다. 5 mg/L의 낮은 PO43--P 농도에서, 대략 98%의 흡착효율이 활성 백토에 의해 성취되었다. PO43--P의 흡착 데이터를 흡착 등온선과 반응속도 모델에 도입하였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3--P 흡착거동은 Freundlich와 Langmuir 등온선 모두에 잘 적용되었다. 활성 백토에 의한 PO43--P 흡착에 관해서 Freundlich와 Langmuir의 등온선 계수인 KF와 Q는 각각 8.3과 20.0 mg/g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과 활성 백토 계에서의 PO43--P 흡착은 더 높은 상관계수 R2와 실험값 qe,exp과 계산값 qe,cal의 근접으로 인해서 유사 일차 보다는 유사 이차 반응속도식에 적합하였다. 연구의 결과들은 활성 백토가 수중으로부터 인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인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삼기층중(三紀層中)에서 산출(産出)되는 산성백토(酸性白土)에 관(關)한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 및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하여 (Some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ller's Earths from Tertiary Sediments in South Korea)

  • 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3호
    • /
    • pp.149-161
    • /
    • 1983
  • 경상도(慶尙道) 지역(地域)의 삼기층중(三紀層中)에 배태(胚胎)되어진 산성백토(酸性白土)는 주(主)로 Ca-몽모리로나이트로 구성되며 이의 조성비(組成比)는 95%까지에 이른다. 이에 수반되는 광물(鑛物)은 크리스토발라이트, 석영(石英), 장석(長石), 삼정석광물(三井石鑛物) 및 비결정질(非結晶質)이 있다.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 적외선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特性)을 기재하였고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을 섭성한계(涉性限界) 및 양이온교환능을 측정기재하였다. 이들 자원(資源)의 이용가능한 용도범위를 고찰하였다.

  • PDF

옥수수 기름의 제조공정별 벤조피렌 함량 변화 (Changes in Benzo(a)pyre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Cor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81
    • /
    • 2009
  • 옥수수기름의 제조공정 단계별 공정유 및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B(a)P 함량을 측정하고 이의 제거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옥수수기름에서 높은 수준의 B(a)P가 검출되는 원인은 옥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B(a)P의 80% 이상이 옥수수 배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따른 현상이었다. 이로부터 얻어진 원유를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거칠 경우 최종 탈취유에서는 $2.15{\mu}g$/kg가 검출 되었다. 따라서, 옥수수기름에서 일반적인 정제공정에 의해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식용유 중 B(a)P 함유량 $2.0{\mu}g$/kg 이하의 법적 규격을 충족시키기 어려움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이에 탈색공정에서 사용하는 2%(w/w) 내외의 산성백토 대신 산성백토:활성탄소=90:10(w/w)의 혼합분을 처리하여 $0.09{\mu}g$/kg 수준의 탈취유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활성탄소의 처리량은 산성백토 대비 10% (w/w) 수준이 적정하였으며, 이의 증가에 따른 B(a)P 제거율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처리하는 활성탄소의 입도가 B(a)P 제거에 미치는 영향이 컸는데, $50{\sim}100$ mesh 수준의 입도를 갖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염기 처리된 montmorillonite를 이용한 다이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Synthesis of Dimer Acid Methyl Ester Using Base-treated Montmorillonite)

  • 육정숙;신지훈;김영운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5권2호
    • /
    • pp.132-138
    • /
    • 2019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acidic properties of montmorillonite (MMT), which is commonly used as a catalyst, on the conversion and selectivity of the dimer acid methyl ester (DAME) synthesis. We synthesize DAME by the dimeriz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methyl ester (CLAME) and oleic acid methyl ester using MMT KSF. Incidentally, trimer acid methyl ester was formed as a by-product during the DAME synthesis. There is a necessity to adequately adjust the strength and quantity of the acid site to control the selectivity of DAME. Therefore, we vary the pH of the MMT acid by using various metal hydroxi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yield of monocyclic dimer acid methyl ester, which is a substance with adequate physical propert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e.g., lubricant and adhesive, etc.), using a heterogeneous catalyst. We report the dimeriz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 by using base treated-KSF, and apply it to conjugated soybean oil methyl ester. Then, we transmute the acid site properties of KSF, such as pH of 5 wt.% slurry KSF and various alkali metals (Li, Na, K, Ca). Characterization of base treated-KSF using a pH meter, x-ray diffrac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 Brunauer-Emmett-Teller surface analysis, and temperature-programmed desorption. We conduct an analysis of CLAME and DAM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gas chromatography,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acidic properties of KSF on the conversion and selectivity of the DAME synthesis, and evaluate its industrial potential by application to waste vegetable oil.

H-스멕타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생성관계 (Mineralogical Properties and Paragenesis of H-smectite)

  • 노진환;홍진성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7-393
    • /
    • 2010
  • 제3기 마이오세 화성쇄설성 퇴적층인 범곡리충군의 주요 구성 암층인 부석질 응회암의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으로서의 자원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그 응용광물학적 특성 및 그 규제 요인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장기 지역 범곡리층군에서 주된 암상을 이루는 부석질 응회암은 속성변질되어 저품위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이룬다. 이들은 부석편의 존재로 인한 성분적 특수성에 기인하여 일부 광석들은 양이온치환 능력, 비표면적 및 산성의 pH 농도와 연관된 우수한 흡착기능성을 나타낸다. 이 흡착기능성 광물질에서 낮은 pH 농도를 유발하는 것은 주로 결정구조상 층간에 수소 이온을 갖는 H-스멕타이트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H-스멕타이트는 층간 교환성 양이온으로서 수소 이온의 존재에 의해 결정구조상 불규칙성이 야기되어 엽편상의 결정 가장자리가 다소 말린 형태를 보이고, X-선회절 분석에서는 (001) 회절선을 비롯한 주요 기저 회절선들이 일반적인 Ca-유형의 스멕타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보이는 것이 특정이다, 이 H-스멕타이트의 원물질 해석과 광물 공생관계를 토대로 이 독특한 점토광물의 생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부석질 유리편이 속성과정 동안에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수화 변질의 결과로 규산이 해리되면서 생성된 수소 이온에 의해 공극수의 pH가 감소되어 단백석이 생성됨으로써 스멕타이트의 생성을 조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강한 산성을 유발하는 이같은 H-스멕타이트의 존재에 의해서 범곡리층군의 저품위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의 산업적 효용도, 특히 산성백토나 상토 부문 등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