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사태위험지수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the Saturation Depth Ratio by Rainfall Change (강우변화에 따른 토층 내 침투깊이를 고려한 산사태위험지수 개발)

  • Kwak, Jae Hwan;Kim, Man-Il;Lee, Seung-Ja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687-699
    • /
    • 2018
  • Understanding rain infiltration into the ground is an important feature of landslide risk evaluation. In this study, a landslide risk index for the study area is suggested, wherein the result of the landslide risk evaluation, based on the factor of safety (FS), is used. The landslide risk index is a landslide risk prediction index that utilizes the saturated depth ratio of the ground. Based on the landslide risk result for the study area, it was found that the FS was first to decrease. However, it gradually became convergent over the 50-year rainfall intensity study period, a result that i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urated depth ratio and soil thickness. Moreover, saturated depth was also found to be deeper on gentle slopes than steep slopes. As such, the landslide risk index, based on the Inhu-ri study result, is thus suggested. Additionally, the suggested landslide risk index was compared and analyzed against the rainfall intensity of previous landslide experience. Results thus revealed that almost all landslides that occurred were over 0.7, which is the second grade, based on the landslide risk index.

Estimation of Landslide Risk based on Infinity Flow Direction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Oh, Sewook;Lee, Giha;Bae,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2
    • /
    • pp.5-18
    • /
    • 2019
  •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a broad-area landslide analysis for the entire area of Kyungsangbuk-do Province based on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and root reinforcement infinity slope stability theory. Specifically, digital map, soil map and forest map were used to extract topological and geological parameters, and to build spatially-distributed database at $10m{\times}10m$ resolution. Infinity flow direction method was used for rain catchment area to produce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The safety level that indicates risk of a broad-area landslid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areas with a high estimated risk of a landslide coincided with areas that recently went through an actual landslide, including Bonghwa and Gimcheon, and unstable areas were clustered around mountainous areas. A comparison between the estimation result and the records of actual landslide showed that the analysis model is effective for estimating a risk of a broad-area landslide based on accumulation of reasonable parameters.

Landslide Hazard Evalua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V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UAV 기반의 공간정보와 무한사면해석모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Lee, Geun-Sang;Choi, Yun-Woo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2
    • /
    • pp.161-173
    • /
    • 2015
  •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rainfall patterns has triggered landslide and debris flow with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is study constructed DSM and Orthophoto by using UAV surveying technique and evaluated landslide risk area by applying GIS data into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of slope stability in a site, the slope instability has $SI{\leq}1.0$ with cover area 46,396m2, and the distribution percentage was 18.2%. The most dangerous section has $SI{\leq}0.0$ with its cover area 7,988m2, and the ratio was 0.8%. The reviews regarding the risk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by stability index and river channel analysis respectively help being able to designate the hazard zone due to heavy rainfall.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will need to reinforce soil slope and plan their safety measures in the future.

Time-varient Slope Stability Model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시변 사면안정해석 모형)

  • 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33
    • /
    • 2016
  • 산사태 발생 예측은 재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이나, 과학기술의 발전과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산사태의 발생 장소와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산사태 발생 예측 기법은 크게 경험론적 지수기법, 통계적 해석기법, 물리적 해석 기법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세 방법은 각기 장단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후자로 갈수록 많은 데이터가 요구되고, 해석에 시간이 필요하며, 보다 신뢰할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경험론적 지수 기법은 국내에서 실무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통계적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도 수행된 바 있다. 하지만 이 두 방법론은 일정량 또는 일정강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산사태의 발생 위험도를 공간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산사태의 발생 시점과 연속적인 강우량 또는 강우강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힘든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무한사면안정 모형과 토양수분침투 모형을 결합한 시변 사면안정모형들이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TRIGRS가 있으며, 이 모형에서는 선형화한 1차원 Richards 방정식의 해석해를 활용하여 토양수분량을 계산한 후 이 정보를 무한사면안정모형에 반영하여 시변적인 사면안정도를 구하고 있다. 하지만 Richards 방정식을 선형화하기 위해서 제한된 토양수분-압력 관계식이 사용되며, GUI가 제공되지 않아 전처리 및 후처리가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 Richards방정식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보다 다양한 토양수분-압력 모형과 초기조건을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GUI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해석모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Variation of Landslide Risk with Parameters (매개변수에 따른 산사태 위험도의 변화)

  • Lee, Jundae;Kwon, Youngcheul;Bae,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9 no.1
    • /
    • pp.15-23
    • /
    • 2018
  • In this study we performed risk evaluation based on parameters using the SINMAP, GIS-based extended program in order to predict ground disaster that is frequent recently. As for the risk eval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arameters, we defined that the ranges of internal friction angles and T/R values as important variables had three and four pattern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isting landslide in order to identify landslide flow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ameters. The analysis of the geomorphologic saturated zone showed that the boundary saturated zone and the saturated zone we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site of avalanche of earth and rocks and the area of underground water convergence was correlated to the area where collapse started, indicating that the geomorphologic saturated zone may serve as an index for estimating possibility of landslide when used with slope distribution, colluvial soil, and structures inducing landslide in combination. When the lower limit of the internal friction angle increased more, the upper threshold decreased by 50 to 70% and the influence on the stability index was higher, but the influence was declined within the range of lower wetness index. The analysis of changes based on wetness index range showed that all the groups have similar SI distribution, except for the one in which mean altitude values are applied, indicating that the results are susceptible more by the internal friction angle than by the wetness index.

Rainfall Analysis for Warning of Sedimentation Disaster in Mountaious Area (산지토사재해예보를 위한 강우분석)

  • Jun, Byong-Hee;Jun, Kye-Won;Jang, Chang-Deok;Oh, Chae-Yeon;Yoon, Ji-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8-248
    • /
    • 2012
  •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발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적절한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런 대책 중에서 신뢰도 높은 산지재해 예,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산림청에서는 산사태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나, 좀더 신뢰도 높은 기준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자연사면에서 토석류, 산사태를 일으키는 강우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예, 경보시스템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회귀분석,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평가하였고, 보다 개선된 기준으로서 토양우량지수를 제시하였다. 토양우량지수는 강우에 의해 지반이 어느 정도 포화되어 있는가를 계산하여, 토사재해발생의 위험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서 2009년 사이에 충북 제천시 일대의 강우자료를 조사하여 탱크모델에 적용하여 각 탱크에서의 저류량을 계산하여 토양우량지수를 결정하였다. 세 개의 탱크 중에서 두 번째 탱크에서의 저류량 (S2)과 전체 탱크에서의 저류량 (TS)을 이용하여 상위에 랭크된 이력순위를 분석한 결과, S2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한 2009년 이력이 3번째 높은 수준으로 기록되며, 산사태 미발생의 2007년 강우는 5번째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TS의 경우 2009년 강우가 2002년에 이어 3번째 높은 수준으로 기록되었으며, 2007년 강우는 9번째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토양우량지수의 이력순위는 산지토사재해의 발생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1년 발생한 우면산 산사태를 대상으로 토양우량지수를 적용하여 예, 경보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하였다.

  • PDF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nd validation using the GIS and Bayesian probability model in Boeun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2002년 강릉지역 태풍 루사로 인한 산사태 연구 (II) - 확률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교차 검증)

  • 이명진;이사로;원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81-4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산사태 발생원인을 근거로 산사태 발생 가능 지역에 대한 산사태 발생원인에 대한 등급값을 이용하여, 인접한 연구지역에 교차 적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고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 사업, 국토개발 계획 및 건설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여름철 집중호우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정하였으며, 행정구상으로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와 주문진읍 삼교리에 해당한다.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형도로부터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추출을, 정밀토양도로부터 토질, 모재, 배수, 유효토심, 지형을, 임상도로부터 임상, 경급, 영급, 밀도를, 지질도로부터 암상을,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토지이용도와 추출하여 격자화 하였으며, 아리랑1호 영상으로부터 선구조를 추출하여 l00m 간격으로 버퍼링한 후 격자화 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산사태 발생 위치 및 발생요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Frequence ratio를 이용하여 각 요소간의 분류를 산사태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취약성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산사태 취약성 지수의 기존 산사태 발생을 설명하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추정능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를 교차적용 하여 산사태 취약성도를 각각의 경우에 맞게 만들었다 이러한 평가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 사업, 국토개발 계획, 건설계획 등에 기초자료로서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다.

  • PDF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Using TPI-Slope Combination (TPI와 경사도 조합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Lee, Han Na;Kim, Gi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507-514
    • /
    • 2018
  • TSI (TPI-Slope Index)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PI (Topographic Position Index) and slope was newly proposed for landslide and applied to a landslide susceptibility model. To do this, we first compared the TPIs with various scale factors and found that TPI350 was the best fit for the study area. TPI350 was combined with slope to create TSI. TSI was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evaluation showed that TSI can be used as a landslide factor. Then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assess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by adding other topographic factors, geological factors, and forestial factors. For this, landslide-related factors that can be extracted from DEM (Digital Elevation Model), soil map, and forest type map were collected. We checked these factors and excluded those tha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 or not significant. After these processes, 8 factors of TSI, elevation, slope length, slope aspect, effective soil depth, tree age, tree density, and tree type were selected to be entered into the regression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Three models through three variable selection methods of forward selection, backward elimination, and enter method were built and evaluated. Selected variables in the three model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in common, effective soil depth, tree density, and TSI was mos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