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불 감시 시스템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Satellite (위성활용 산불감시 시스템 구축)

  • Park, Beom-Sun;Cho, In-Je;Lim, Jae-Hwan;Kim, In-Ba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1
    • /
    • pp.143-150
    • /
    • 2021
  • It introduces the contents of establishing a geostationary satellite-based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monitor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24 hours a day for forest fire monitoring, and describes how to establish a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and use it in various ways. In order to establish a satellite-utilized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we will describe and draw conclusions on literature research, technical principles, forest fire monitoring means, and satellite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The satellite-utilized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can consist of one geostationary satellite equipped with infrared detection optical sensors and a ground processing station that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satellites to spread surveillance information. Forest fire monitoring satellites are located in the country's geostationary orbit and should be operated 24 hours a day, 365 days a day. Forest fire monitoring technology is an infrared detectio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national public interests such as forest fire monitoring and national security. It should be operated 24 hours a day, and to satisfy this, it is efficient to establish a geostationary satellite-based forest fire monitoring satellite system.

A Design of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센서네트워크 기반 산불감시시스템의 설계)

  • Zhang, Kai;Park, Jaebok;Park, Yoonhwan;Cho, G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843-845
    • /
    • 2007
  • 본 논문은 저비용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산불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산불감시시스템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보안하여 정확한 산불 감지를 위해 여러 센서들을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정확성을 의해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산불을 감지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산불감시를 위한 센서의 선택방법과 저전력을 고려하여 센서노드와 카메라모듈의 설계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산불감시시스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The Study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using RS and GIS (RS와 GIS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 산불방재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 변종봉;경천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56-61
    • /
    • 2001
  • 현재 산림청에서는 NGIS와 연계한 국가차원의 산림지리정보시스템(FGIS)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며, 행정자치부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국가적 행정종합정보화 차원에서 제안된 2단계 소방/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사업과 연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규모의 산림행정체계 규모의 산림행정체계에 적합하고, 국지적 기상조건 및 확산요인을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선 실무자의 행정생산성 향상차원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개별시스템으로 구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산림담당자가 산불의 사전예방 및 홍보활동을 위한 산불 다발지역을 분석하고, 광범위한 산림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산불감시카메라 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불 발생시 국지적 확산요인을 고려한 실시간 산불확산 형태 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평상시 소방시설물을 관리하고 산불발 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각종정보(예 : 최단이동거리분석)를 제공하며, 산불감지 시점으로 부터 상황종료 시까지의 종합사고보고를 위하여 위성영상과의 비교분석 등 사후관리까지의 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

  • Lee, Su-Yong
    • ICROS
    • /
    • v.16 no.4
    • /
    • pp.22-27
    • /
    • 20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각종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통신 기술, 반도체 기술, 초소형 네트워크 디바이스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매우 활성화 되고 있다. 이 기술은 홈 오토메이션, 생태 모니터링 등에 시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사회기반시설 안전 감시, 산불 감시, 산업시설 감시 국방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Wild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Image Matching (영상 접합을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 Lee, Seung-Hee;Shin, Bum-Joo;Song, Bok-Deuk;An, Sun-Joung;Kim, Jin-Dong;Lee, Hak-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6
    • /
    • pp.40-47
    • /
    • 2013
  • In case of wild fire, early detection of wild fi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inimizing the damages. In this paper, we suggest an effective system that detects wild fire using a panoramic image from a single camera with PAN/TILT head. This enables the system to detect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early stages. After converting RGB image input to color YCrCb image, the differential image is used to detect changes in movement of the smoke to determine the regions which may be prone to forest fire. Histogram analysis of fire flame is us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in the predetermined regions. In addition, image matching and SURF were used to create the panoramic image. There are many advantages in this system. First of all,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this system needs only a single camera and a monitor. Second, it shows the live image of wide view through panoramic image. Third, this system can reduce the quantity of saved data by storing panoramic images.

Detection of Active Fire Objects from Drone Images Using YOLOv7x Model (드론영상과 YOLOv7x 모델을 이용한 활성산불 객체탐지)

  • Park, Ganghyun;Kang, Jonggu;Choi, Soyeon;Youn, Youjeong;Kim, Geunah;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2
    • /
    • pp.1737-1741
    • /
    • 2022
  • Active fire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drone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is now an initial stage and requires various approach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This letter examined the detection of active fire objects using You Look Only Once Version 7 (YOLOv7), a state-of-the-art (SOTA) model that has rarely been used in fire detection with drone images. Our experiments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evious works in terms of multiple quantitative measures.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continuous monitoring of wide areas, with an integration of additional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Implement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Sensor-based Smart Eye Technology for Local Forest Fire Monitoring and Situational Response (무인기 탑재 복합형 센서 기반의 국지적 산불 감시 및 상황 대응을 위한 스마트아이 기술 설계 및 구현)

  • Shin, Won-Jae;Kwon, Eun-Jeong;Cho, Kyeong-Seop;Lee, Hyun-Woo;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04-705
    • /
    • 2016
  • 스마트아이 기술은 기존의 재난 감시 및 관리 서비스가 사람에 의한 단순 모니터링 기반의 대응을 제공하는 데 비해, 무인기를 활용해 사람의 사각에서 발생하는 재난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 및 분석을 하며,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 복합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분석을 통해 국지적 산불 재난의 감지 예측 및 상황대응을 지원하고, 통합경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국민 재난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Front to End 시스템이 개발 완료되어 실험실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실제 필드에서의 재난 감시 및 예측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필드 테스트를 준비 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구축하고 있는 스마트아이 재난 관리 플랫폼 실험실 테스트의 진행상황을 간단히 소개하고, 재난 영상의 획득, 분석, 및 예측을 수행하는 통합 플랫폼의 주요 기능들에 대해서 논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tection of Smoke Plume and Yellow Dust from GEMS Images (인공지능 기반의 GEMS 산불연기 및 황사 탐지)

  • Yemin Jeong;Youjeong Youn;Seoyeon Kim;Jonggu Kang;Soyeon Choi;Yungyo Im;Youngmin Seo;Jeong-Ah Yu;Kyoung-Hee Sung;Sang-Min Kim;Yangwon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859-873
    • /
    • 2023
  • Wildfires cause a lot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damage to the Earth over time. Various experiments have examined the harmful effects of wildfires. Also, studies for detecting wildfires and pollutant emission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have been conducted for many years. The wildfire product for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Korea's first environmental satellite sensor, has not been provided yet. In this study, a false-color composite for better expression of wildfire smoke was created from GEMS and used in a U-Net model for wildfire detection. Then, a classific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distinguish yellow dust from the wildfire smoke candidate pixels. The proposed method can contribute to disaster monitoring using GEMS images.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Disaster Drone System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Recognition and Optimal Path Planning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과 최적 경로 탐색을 통한 멀티 재난 드론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 Kim, Jin-Hyeok;Lee, Tae-Hui;Park, Jonghyen;Jeong, Yerim;Jang, Se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556-559
    • /
    • 2020
  • 최근 태풍, 지진, 산불, 산사태, 전쟁 등 다양한 재난 상황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자금 손실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현재 이를 예방하고 복구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자금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재난 상황을 미리 감시하고 재난 발생의 빠른 인지 및 대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재난 드론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감시하기 힘든 지역에 여러 대의 재난 드론을 이용하며 딥러닝 기반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해 각각의 드론이 최적의 경로로 효율적 탐색을 실시한다. 또한 드론의 근본적 문제인 배터리 용량 부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nt Colony Optimization (ACO) 기술을 이용하여 각 드론의 최적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제안한 시스템 구현을 위해 여러 재난 상황 중 산불 상황에 적용하였으며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불지도를 만들고, 빔프로젝터를 탑재한 드론이 출동한 소방관에게 산불지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드론이 최적 경로 탐색 및 객체인식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재난 드론 인프라를 구축하고 조난자 탐색(바다, 산, 밀림), 드론을 이용한 자체적인 화재진압, 방범 드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Evaluation of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Based on National Forest Eire Statistics Data (산불통계자료를 이용한 산불위험지수 고찰)

  • Kim Seon Young;Lee Byungdoo;Lee Si Young;Chung Joos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4
    • /
    • pp.235-239
    • /
    • 2005
  • An accurate fire danger rating model can contribute to effective forest fire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evaluates the national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based on forest fire statistics data from 1999 to 2002. The number of fires was related to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R^2=0.67)$, and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burned areas. A one-way ANOVA test between forest fire danger rating levels and forest fire statistics data indicated that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ires was found among 'danger', 'precaution' and 'none' levels, but 'precaution' and 'none' levels could not be delineated. In the case of a burned area,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