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불방재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2초

산림화재의 발생빈도와 발화장소 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저감을 위한 방안 도출 (Development of Measures to Reduce Forest Fire by Analyzing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Ignition Point of Forest Fire)

  • 이재영;김영민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9-440
    • /
    • 2022
  • 우리나라 건기에 해당하는 봄철에는 산불화재에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시기에는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하여 산불화재 피해에 대한 소식을 전해 들어야만 하는 것이 사실이다. 2022년 울진군에서 발생한 산불화재는 국내에서 2000년 동해안 산불에 이어 역대 2번째로 피해 규모가 큰 산불화재이다. 산불화재은 건축화재와 달리 피해면적에 광범위하기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며, 언론매체를 통한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산불의 위험성을 증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통계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불화재의 발생빈도와 발화장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대규모 산불화재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화재안전대책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강원 영동지역 봄철 산불대형화 영향 기상요소 분석 (A Study on Meteorological Elements Effecting on Large-scale Forest Fire during Spring Time in Gangwon Young-dong Region)

  • 이시영;김지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7-43
    • /
    • 2011
  • 봄철은 강수량이 연평균의 13% 정도로 적어 건조한 계절이며, 영동지역에 대형 산불이 많이 발생했던 해는 풍속은 강하고 공중습도가 봄철 평균보다도 낮고 강수량도 상대적으로 적어 더욱 건조했다.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날은 평균풍속, 최대풍속, 최대순간풍속이 5.9 m/s, 11.3 m/s, 20.9 m/s로 산불 발생일의 평균값보다 1.8 m/s, 3.0 m/s, 6.9 m/s 크게 나타나, 산불의 대형화와 기상요소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다.

영농 소각 활동에 대한 영농인의 의식 분석 (Agriculturist Opinion Analysis of Forest Fire by Farming Activities)

  • 박홍석;이병두;이시영;이명보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2-72
    • /
    • 2010
  • 영농소각은 한국에서 산불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농소각행위에 대한 당사자들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농소각의 시기, 소각장소, 소각물질 등에 대한 의식을 구명하였다. 조사결과, 전국적으로 종사자들은 영농활동이 시작되는 3월과 4월 흐린 날 오후 산림연접 100m 이상의 지역의 논, 밭두렁에서 잡초제거를 위해 영농소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러한 영농소각의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해 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을 통해, 소각허가제, 마을 별 공동소각과 같은 정책을 통해 현재의 영농인 요구에 부응하면서, 정책의 홍보와 신기술의 교육 강화, 친환경적인 쓰레기 처리 방법의 보급을 통해 장기적으로 영농소각을 대치시키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불방재방안 - 청주시 우암산 지역을 중심으로 - (A Forest Fire Prevention Mechanis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case of Mt. Uam in Cheongju -)

  • 신영철;안상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34
    • /
    • 2000
  • 전국토의 70%가 산림지역인 우리 나라의 경우 1990년대 들어와서 산불발생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산불의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여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많은 인력과 경비를 들여 산불의 예방과 진화 및 산불지역의 복구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시 자연진화에 의존하거나 과거의 경험적 방식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산불방재에 관해 기술한다. 기상과 지형요인을 통한 산불발생과 관련된 예측모델을 만들었고, 산불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시설물 적지선정 및 산불과 관련있는 자료를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산불관리가 되도록 하였다.

  • PDF

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한 산불위험성 평가 -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of the Royal Tomb Eureung in the Mountain Cheonjang - Estimation on Forest Fire Risk Considering Forest Type and Topography -)

  • 원명수;이우균;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5
    • /
    • 2010
  • 본 연구는 산불로 부터 안전한 천장산 일대 의릉 문화재 방재대책 수립을 목적으로 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하여 산불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천장산과 의릉 문화재의 방재대책 수립을 위해 공간특성자료($100m{\times}100m$)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모형(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천장산 일대의 산불발생위험성 평가와 임상에 따른 산불위험성 및 산불확산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천장산 일대에서 산불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특성으로는 경급, 남동향, 남서향, 남향,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인자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 산불발생확률[1+exp{-(-4.8081-(0.02453*경급)+(0.6608*남동향)+(0.507*남서향)+(0.7943*남향)+(0.29498*침엽수)+(0.28897*활엽수)+(0.17788*혼효림))}]$^{-1}$을 추정하였다. 산불 발생 후의 산불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을 위해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여 문화재 보호를 위한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산불 등 재해관리에 있어서 산불발생위험이 높은 지역과 대형화 위험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수립은 물론 진화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통해 산불로 인한 문화재 소실을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