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림탄소상쇄사업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산림을 이용한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해외 사례 고찰 (Study on Forestry-Based Carbon Offset Programs)

  • 이승은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7
    • /
    • 2010
  • 산림의 조성 및 경영, 목제품 활용, 전용방지 등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고정 사업은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생태적, 경제적인 부가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산림 관련 활동을 통하여 획득된 이산화탄소의 순흡수량에 대하여 배출권을 발행하고 거래하는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이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나 자발적 배출량 감축, 배출규제의 준수 등에 활용되고 있고, 국내에도 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주요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기준, 방안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대상 사업 및 기준, 추가성 분석 방법, 배출권의 발행 형태,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정 및 모니터링, 비영속성 관리 방법, 부가 편익에 대한 요구사항 등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운영기관, 가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외의 선진사례들을 참조로 국내 산림 탄소상쇄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면서도 국제적 수준의 품질을 가지는 배출권을 생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한 방향성과 기본 조건 등을 파악하였다.

산림 탄소상쇄 사업의 비영속성 처리 방안 -버퍼 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Solution of Non-permanence Problem of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Buffer System)

  • 차준희;이종학;한기주;배재수;설미현;주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83-90
    • /
    • 2012
  • 산림은 온실가스의 흡수원이자 배출원으로 지구 기후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산림탄소 상쇄사업으로 발생하는 배출권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영속성(non-permanence)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주요 산림탄소 상쇄표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비영속성 처리 방법을 분석하고 국내 산림탄소 상쇄제도에 적용 가능한 비영속성 문제 해결 방안으로 버퍼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버퍼 제도는 주요 산림탄소 상쇄제도에서 비영속성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방안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문가 역시 가장 선호하는 방안이었다. 따라서 국내산림탄소 상쇄제도의 영속성 보장 조치로 버퍼제도의 도입 및 운영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기타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는 산림인증제, 보전지역권, 산림보전 의무기간의 장기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산주들의 참여와 배출권의 영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산림사업별 위험도를 표준화하고 위험도에 따라 버퍼 양을 차등화하는 표준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산림탄소사업의 이행 가능 요건에 관한 연구: 사유림 벌기령 연장형 산림경영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ditions for Facilitating Forest Carbon Projec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 Forest Management Project Case with E xtended Rotation Age in Private Forests)

  • 박민영;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40-452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탄소상쇄사업에 참여한 사유림 산주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산주가 벌채 시기를 연장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늦추는 벌기령 연장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지속할 가능성은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보상가격이 높을수록, 산림의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익적 가치를 더 생각하는 산주일수록, 그리고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수용가능 보상가격(Willingness To Accept, WTA)을 다중양분형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바, 벌기령을 60년까지 연장할 경우 17,039원/tCO2이었으며, 벌기령을 100년으로 연장할 경우 23,070원/tCO2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사유림의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와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산림탄소상쇄사업을 통해 공편익을 제공하는 사유림 산주가 부담할 수 있는 기회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숲의 공익가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 초기에 진입한 산주들이 WTA에 대한 수용 및 참여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초기 진입 산주의 지속적 참여를 이끄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대북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 모니터링 여건평가 (Evaluating Monitoring Condition for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to Demonstrate CSR in North Korea)

  • 주승민;허만호;김종달;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1-20
    • /
    • 2015
  • 모니터링은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핵심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여건에 대한 모니터링이 잘못되었을 경우, 입증수단과 방법을 사전에 점검하여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증책임에 관련된 쟁점들을 사전에 점검하고자 백두산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여건(사업대상지의 적합성, 산림 바이오매스 성장에 따른 탄소축적, 바이오매스의 손실, 삼림 전용 및 훼손 여부, 환경, 사회, 경제적 영향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였다. 인공위성 영상은 백두산의 산림현황을 가시적인 기록으로 제시하였는데, 대북 산림탄소상쇄사업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표를 대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에서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수행하려는 한국기업에게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신규조림·재조림 활동의 산림탄소흡수원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the Forest Carbon Sink Index on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Activities)

  • 송민경;배재수;설미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37-146
    • /
    • 2014
  • 2013년 3월에 발효된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 제26조에서 규정한 신규조림 재조림 활동의 산림탄소흡수원 지수를 개발하였다. 특정 시점에서의 개별 산림탄소상쇄사업의 실적을 평가하여 상호 비교하고자 하는 법적인 목적에 따라 점수화 방법을 사용하여 산림탄소흡수원 지수값을 산출하였다. 탄소흡수원법을 바탕으로 하여 '탄소'(온실가스 감축), '인간'(사회경제적 영향), '자연'(환경적 영향)의 3대 기준을 설정하였다. 각 기준에 속하는 9개의 지표를 top-down 방식으로 선정하였고, 전문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준과 지표의 정합성을 검토하고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사회공헌형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국내 산림탄소상쇄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준과 지표 간 가중치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점수가중치 부여 방식을 적용하였다. 국내에서 시행중인 5개 산림탄소상쇄사업을 대상으로 개발된 지수를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낮은 '인간' 및 '자연' 기준이 실제적으로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저감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산림탄소흡수원 지수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 사업자에 대한 포상이 가능하며, 이는 국내 산림탄소상쇄사업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유인수단이 될 것이다.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사업참여자 인식 및 현황 분석 (Investigation of Korean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 Current Status and Cognition of Program Participants)

  • 사예진;우희성;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65-176
    • /
    • 2022
  • 국제사회가 산림을 이용한 탄소 흡수에 주목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3년부터 산림탄소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등록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인증을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모니터링 실적은 부진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운영에 한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탄소상쇄제도 운영체계 파악과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의 장애요인을 파악 및 분석하였으며, 운영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문항 및 장애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문헌조사, 면담,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심층면접은 반구조화로 실시하였으며, Irving Seidman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니터링 이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거래시장 시스템 부족으로 인한 거래 가능성 우려', '사업계획서 작성 및 인증 절차의 복잡성',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운영기관, 컨설팅업체) 부족' 등 6가지 장애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사업자의 전문지식 부족'이 모니터링 이행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운영 개선 방향으로 주기적인 실무담당자 파악을 통한 해당 사업 정보 안내, 통합 거래정보 시스템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를 위한 주요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 (A Study on the Baseline Carbon Stock for Major Species in Korea for Conducting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Forest Management)

  • 김영환;전어진;신만용;정일빈;이상태;서경원;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39-4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베이스라인 흡수량의 산정을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토대로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에 위치한 4개 시험지 14개 간벌 처리구에서 조사된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델 예측치와 실측치의 편차가 5% 미만의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수종별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생장량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하고,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한 결과, 상수리나무의 베이스라인 흡수량이 83.01tC/ha로 가장 높은 반면, 리기다소나무(32.17tC/ha)와 중부지방소나무(39.09tC/ha)는 흡수량이 낮았다. 따라서 수종갱신을 통한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리기다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 임분을 대상지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과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탄소상쇄 사업의 흡수량 증대를 위한 대규모 산림경영형 사업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진안군 선도 산림경영단지를 중심으로 - (Developing a Large-scale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 In Case of Jin-An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 -)

  • 김영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42
    • /
    • 2016
  • To achieve large-scale carbon removals, a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was designed and its carbon stock change was estimated in this study. The project was designed for 874 hectares of forests in the Jin-An Leading Forest Management Zone. For estimating the carbon stock change of the project, the Korean Forest Carbon Standard and VCS (Verified Carbon Standard) methodologies were applied. Three types of management options were considered in the project : extension of rotation age, conversion to productive forests, and conversion to selective harvesting. The estimated carbon removals from the project designed in this study were $259,936tCO_2$ ($8,664tCO_2$ annually), which is 98% of estimated carbon removals from the entire 69 projects currently registered to the Forest Carbon Offset Registr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large-scale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could have a huge potential to produce carbon offset credits.

산림탄소상쇄 사업계획서를 이용한 산림탄소 배출권 분석 (Analysis of Forestry Carbon Offset Credits Using Project Design Documents)

  • 박진택;조용성;장진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5-191
    • /
    • 2016
  • Since 2013, the forest carbon offest scheme is operated by 'ACT ON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ARBON SINK'. Most of projects account for afforestation, reforestation and restoration. This study analyzed what is affected to pricing factors for the registered 71 project of forest carbon offset in Korea Forest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plans of forest carbon offset scheme and aid to understand the process from registration to issuing offset credits. Also it is meaningful to proposing a policy for price competitiveness and how to enable forest carbon offset schemes to produce activation by measur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orest carbon offset scheme. The results showed forest carbon credit price is 92,827 won per ton on average, it could see less price-competitive than emission rights market when compared with the price.

국내 산림탄소상쇄 운영표준 및 VCS 방법론에 따른 산림경영 사업의 산림탄소흡수량 차이 분석 - 벌기령 연장 사업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orest Carbon Offset Credits from Forest Management Project based on to th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and the VCS Methodology - Case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Forest Management through Extension of Rotation Age -)

  • 김영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9-375
    • /
    • 2017
  •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ompare the two methodologies for forest management project through extension of rotation ag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KFOS) and Verified Carbon Standard (VCS). The amount of carbon removals and offset credits based on the two methodologies and their trend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ologies were found at the process of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s. For instance, average carbon stock during the project period was used for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s in KFOS, while average carbon stock change during the 100 years was used in VCS. Due to the different approach for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 the estimated offset credits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two methodologies. In this study, 15 project scenarios were considered for comparison of two methodologies : 5 major coniferous stands in Korea (Pinus densiflora in Gangwon region, Pinus densiflora in Central region,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Chamaecyparis obtusa) with 3 project periods (30, 35, 4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estimated carbon offset credits based on the KFOS methodology were higher for all 15 scenarios compared to those based on the VCS methodology. The KFOS showed a steep decline in the annual offset credit as project period gets longer, thus it is not desirable for projects with longer period. VCS is more acceptable for longer projects with a smal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ject period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Pinus densiflora in Gangwon,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are more desirable species for forest management project through the extension of ration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