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공간론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troducing the Another Viewpoint of Dir. Kim, giduk's Auterism in the Allegory (김기덕 감독의 알레고리적 영화작가정신 고찰)

  • Kim, Suna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2
    • /
    • pp.94-102
    • /
    • 2014
  • Dir. Kim, Giduk's first work is (1996) which was created a new character and episode which disregard the main trand movie. His emotion in his film is over the reallife and common sense. His emotion is attached to the primitive feeling. He is called the tererist of Korean film culture. This thesis studys on the allegory of kim, Giduk's film world by Kim, Sunam's 'Korean auterism' which discusses dir.'s film work on the base of the background of filmmaker and his view of life. And also to represent film image he used space, water, color, repeated same meaning oposition by the usual image of rhetoric.

A Case Study on New Product Development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CVE) : A Design Research Leveraging a Virtual Space of Web 2.0 (가사의 협업 환경을 통한 신제품 개발 사례연구 : Web2.0 가상 공간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 Kwon, Hee-Jung;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634-639
    • /
    • 2008
  • 사회적 컴퓨팅(social computing)의 현상이 Web 2.0 공급사슬(supply chain)의 변화관점에서 새로운 변화의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Web 2.0 플랫폼을 어떤 형태로 기업 활동에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제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업 활동의 변화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와 같은 다양한 Web 2.0 환경 확산에 대한 기업 활동의 변화현상 중에서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사례연구를 통하여 진행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Web 2.0 의 협업적 환경을 설계하게 될 경우, 고객의 내재적 요구사항(latent requirement)이 제품개발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process)가 기존의 제품개발방법론과 연관되어,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개선되어 발전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사례를 사례연구방법의 탐험적 경향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다루어졌던 사례는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창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를 생산하고 증가된 연세대학교 UCC의 양적 팽창에 의해서 수익모델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Web 2.0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를 보여주는 경우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의 내재적 요구사향을 Web 2.0 기술특성을 통해서 참여적 사용자, 혹은 사용자 디자이너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의해서 개선 및 구현해 가는 과정을 구체적 개발방법론의 틀로서 정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 PDF

에머지(Emergy) 개념을 이용한 산지가치의 계량화에 관한 연구

  • Kim, Nam-Guk;Kim, Jin-Lee;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4
    • /
    • 2006
  • 종래의 개발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개발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과 편리성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 및 생태계 파괴이다. 이로 인해 개발과 보전은 양립할 수 없는 상반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개발론과 보전론의 대립적 구도가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 이상이 산지이기 때문에 산지의 부분적 개발은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인 동시에, 산지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인 지역이다. 이러한 산지 개발과 보전에 대한 상반적 이해를 통합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생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사람과 생태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의 정량적인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에머지 개념을 통해 산지 본래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그 동안 생태계가치평가, 개발사업의 편익-비용평가, 환경수용력 평가, 개발대안 평가, 환경계정, 환경훼손 소송관련 비용 평가 등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통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산지뿐만이 아닌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의 선택과 이의 이행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연환경 가치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서 우리는 한층 더 자연환경 및 자원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on Digital Storytelling in the Metaverse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 Shin, Hyunho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70
    • /
    • pp.267-302
    • /
    • 2022
  •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is accelerating in each area of socie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s also having a profound effect on Christian educa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the emergence of a digital world called the metaverse. This study understands the metaverse as an expanded space for Christian education and explores digital storytelling as a method for faith formation. It is argu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torytelling through metaverse spaces are characterized by interactivity, agency, audiovisuality, sociality, and openness, and that modification through Christian educational frames is necessary in order for this approach to be appropriated to Christian educational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Anne Wimberly's story-linking approach, and Mary Hess' approach on digital storytelling, which is understood as a way of faith formation for the liberation and Christian vocation through storytelling in a digital space, focusing on authority, authenticity, and agency. It is argued that Christian education on the Metaverse should be a place for change in the Christian life and formation of vocation, and a space where participants' active responses to God's grace be practiced in a digital space in a reciprocal way. This means that learner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expressive and relational education that is practiced in the form of play and creation, responding to God's initiative in the metaverse. This study argues that for digital storytelling through the metaverse to become a process of faith 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stories of participants with the story of God's Kingdom in the expanded digital world, aim for a reciprocal space through hospitality and listening, and promote immersive participation and holistic reflection.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II ; Focus on Interface Factors' Attributes for Supporting Behavioral Participation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II ; 인터페이스 요인의 참여행태 지원 속성 분석을 중심으로)

  • Lee,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5
    • /
    • pp.185-201
    • /
    • 2010
  •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ajor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in this, we need user-centered design methodology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As the second paper of three-linked studies for the interactivity in the interactive spa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face factors' specific attributes for supporting behavioral participation. 'Interface' is one of three main factors on the interactivity(Intersubject/Interface/Interaction). Its role in the interactive space is to induce or support user's participations which bring the interactive changes into the designs. Qualitative case analysis was the main method and 30 cases were investigated. 'Individual analysis-Transitional description-Generalization' were the progressive steps for case analysis. As final results, 17 attributes for supporting behavior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tope Map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 Yang, Su-Yeong;Jung, In-Sung;Song, Gil-Jong;Yoo, Nam-Hyun;Kim, W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89-293
    • /
    • 2010
  • 21C 현대 문명사회에서는 도시의 고밀도 및 팽창으로 인하여 도시 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생물서식처의 환경 악화 및 엄청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인간과 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도시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산림 및 녹지의 감소, 녹지의 분절 및 단절화, 해안 매립 등이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됨으로써, 각종 동식물의 개체 수 감소 및 토양의 건조화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도시 생태계의 교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태계의 교란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의 질이 떨어지게 하고 많은 환경 문제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도시 내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고 생물서식공간을 종합적으로 보전하면서 복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법론의 부재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비오톱(Biotope)과 비오톱 지도화 방법이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과 휴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오톱 지도는 이미지 기반의 2차원 지도로 제공되고 있어, 거리 및 공간 분석에 취약하고 정보전달력이 부족하여,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 비오톱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가 결여된 2차원 형태의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위성영상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을 만들어 각 주제도별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영상 녹화 기능과 3차원 객체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도시의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3차원적인 모델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보 전달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Flood Discharge Estimation with Consideration of Uncertainty of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강우공간분포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홍수량 추정)

  • Seo, Young-Min;Yeo, Woon-Ki;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94-294
    • /
    • 2012
  • 홍수위험도 추정에 있어서 불확실성은 수리, 수문, 구조, 환경 및 사회경제적인 불확실성과 관련 있으며, 수리 수문학적 불확실성은 주로 수리 수문학적 현상과 그 과정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 그리고 그 과정에 포함된 매개변수들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불확실성은 홍수위험도 추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불확실성을 설명하기 위한 통계적 정보는 신뢰성 있는 홍수위험도 추정에 있어서 선행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중 강우의 공간분포에 대한 신뢰성 있는 추정은 수자원 해석 및 설계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강우장의 공간변동성에 대한 고해상도 추정은 홍수, 특히 돌발홍수의 원인이 되는 국지성 호우의 확인 및 분석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강우의 공간 변동성에 대한 고려는 면적평균강우량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며, 강우-유출모델의 모의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공간자료에 대한 공간분포예측에 있어서 공간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통계학적 기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통계학적 기법의 적용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모델 매개변수의 추정 및 불확실성 평가는 공간분포 예측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국의 경우 공간분포예측 및 모의,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평가 등과 관련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 수자원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국내의 수문설계실무에서와 같이 확률홍수량을 강우빈도분석과 강우-유출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할 경우 확률홍수량 추정에 있어서 확률강우량 및 공간분포에 대한 불확실성과 강우-유출모델에서의 불확실성이 확률홍수량 추정에서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후 연피해기대치 추정과 같은 홍수위험도 추정의 불확실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공간분포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홍수량 추정을 위하여 공간추계모의 기법인 CEM을 적용하여 강우공간분포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강우-유출모델의 입력 강우량에 대한 확률분포를 추정하였다. 강우-유출해석의 경우 유효우량 및 홍수수문곡선 산정을 위하여 국내 수자원 실무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NRCS CN 기법, Clark 및 Muskingum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로부터 강우공간분포의 불확실성 추정, 소유역별 입력 강우량에 대한 확률분포의 추정 및 재현기간별 확률홍수량의 불확실성 정량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풍수해저감대책, 유역종합치수대책 등 각종 수자원 계획 및 설계실무에서 확률홍수량 및 홍수 또는 재해위험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적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ilot Evalu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Ecosystem Accounting for Flood Control (홍수조절 생태계 계정 도입을 위한 전국 단위 시범 평가)

  • Tae-Ho Lee;Hee-Jin Moon;Gumsung Cheon;Jung-In Ki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488-502
    • /
    • 2023
  • Ecosystem service accounting must measure ecosystem supply functions, demand, and the actual service flows that occur between them. In order to measure flows,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s must be defined, and a methodology that can objectify complex connections is needed. Although various studies on ecosystem servic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but researches on accounting for ecosystem services are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od control ecosystem services by applying the EU methodology studied in the Experimental Ecosystem Account (EEA) of System of Environmental Economy Account (SEEA) and explore ways to introduce ecosystem account. To conduct the study, the ecosystem's runoff retention potential, social and economic demand for flood control, and actual service benefit flows form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modeled and quantified on a spatial basi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ctual flow of flood control ecosystem services, the total domestic service amount was calculated to be 165,595 (ha), and it was confirmed that much of it was concentrated in agricultural land. In order to account for domestic flood control services in the future, key spatial data such as land cover maps must be continuously established and managed, and researches on input data and methodologies applicable to various spatial scopes such as national, regional, and unit watersheds are expected to be necessary.

Typological System of Nature-based Solutions and Its Similar Concepts on Water Management (물관리를 위한 자연기반해법과 유사개념들의 유형분류 및 체계)

  • Woo, Hyoseop;Han, Seung-w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1
    • /
    • pp.15-25
    • /
    • 2020
  • We've compared and conceptually evaluated the newly emerging concept of nature-based solutions (NbS's), in the aspect of water management, and existing similar solutions of different naming, all of which are based on ecosystem function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bS's seem significant and meaningful both educationally and understandably in the aspect that it can comprehensively cover and include the existing methodologies and solutions using the functions of natural ecosystem to socio-environmental challenges. It, however, seems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broad-meaning of green infra, including Eco-DRR, in terms of the approaching methodologies in water management. The conceptual and spatial hierarchy of each practice in water management considered in this study can be expressed in the narrowing order of NbS-(EE)-BGI-(CRT)-GI-LID. Last, the term LID, which is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for storm water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project, can be replaced with the term GI for clarification and less confusion both in academia and practice.

A Study on Smart Eco-city and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스마트생태도시와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연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수질오염 재난방재 측면에서-)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9
    • /
    • pp.827-840
    • /
    • 2016
  • In recent years, our society, because of the arrival of a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ICT has entered into future smart society and the ubiquitous era. So it can be a notable turning point in the city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big data, aspects of the era chang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rive a desirable vision for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terms of ICT city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as preparedness for the city disaster by applying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Soon this study derived a successful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trategy as preparedness for the city disaster, for example,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It proposed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ystem with the use of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zation as big data inform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leadership strategy of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smart society and smart eco-city. Eventually in 2030 to around, in order to still remain our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as a leading ICT n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ready the advanced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and ICT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big data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