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 복지

Search Result 6,3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국제사회복지 역량중심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 Un, Sun K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508-51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ocial workers. Due to the changed circumstances of social welfare agencies, the demand for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and the need for suitable training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agencies has increased. This study explored the job competency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and suggest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Researchers analyzed the social welfare NCS,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job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ies and presented a combine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ocial welfar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re subjects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are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NGO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North Korea Development Projec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ODA", "PCM (Project Cycle Management)", "Evaluation and Monitoring", "Seminars in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Practicum",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Internship",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for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Ethics and Philosophy",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overty and Social Welfare", "Social Enterprise and the Third Sector", "Social Problems", etc.

사회복지사들이 말하는 531 지방선거

  • Park, Yong-Deuk
    • Social Workers
    • /
    • no.5 s.49
    • /
    • pp.4-11
    • /
    • 2006
  • 사회복지계의 정치 참여를 위한 각종 후보자 토론회를 통해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정치참여와 각 후보자들의 사회복지 공약에 대한 점검을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들의 정치참여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현장탐방-사회복지사들의 새로운 현장, 국회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4 s.48
    • /
    • pp.28-29
    • /
    • 2006
  • 국회 안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위풍당당 그녀들. 사회복지사들의 새로운 진출 영역 중에 하나인 국회. 과거에도 물론 사회복지전공자들이 있었겠지만 과거의 사회복지전공자들이 전공과 무관하게 이 길을 택했다면 그녀들은 자신들의 전공을 살린 사회복지사 비서관이라는 것이다. 국회 진출한 사회복지사들의 정확한 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녀들은 대략 5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 PDF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 및 불이익 영향요인 연구: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사례 분석

  • Gwon, Hyeon-Jin;Lee, Yong-Gap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57-81
    • /
    • 2017
  •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74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및 7월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 사회복지사들이 겪은 인권침해와 불이익 경험 여부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인권침해는 상사나 동료 및 클라이언트의 폭언, 폭력, 성희롱의 경험으로, 불이익은 임금과 수당, 복리후생, 기관운영에서의 차별로 구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자일수록,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일수록, 근로시간은 길수록 인권침해와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 소지 사회복지사의 경우 불이익 경험 보다 인권침해 경험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은 인권침해 경험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에서 이를 문제로 제기한 경우는 10.3%에 불과한 것도 확인하였다. 전국 및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근로환경과 인권침해에 관한 조사연구가 있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광역지자체차원에서 이를 분석한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와 불이익의 예방과 피해구제를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 Bae, Na-Rae;Kim, Ji-W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301-310
    • /
    • 2021
  •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with an aim of assessing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 student enroll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the major negative answers of responders were the work-study imbalance of the student, the institution's concern for spread of infection, limited experience due to low-quality-of supervision, the difficulty on choosing institution, and worries on stop of practi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econd, the key positive answers of responders were awareness of true meaning of social welfare, a major of them, significance of field practice, importance of human rights in their field, and finally, dearness of rapport building between social workers and clients in social welfare practice settings.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적 요인과 조직요인을 중심으로)

  • Hyoung-Ha Lee;Sun-Hi Kim;Hoang Thi-Hien;Yun-Gy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91-19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조직요인의 주요변수를 검증하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17년 사회복지 종사자의 보수수준 및 근로여건 실태조사 패널데이터 중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갖고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8,075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이상(3.40점)이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대, 결혼지위, 이직의도로 나타났고, 조직요인으로 총 보수액, 노동강도 대비 보수수준, 인권보장정도, 시설안전도, 시설유형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기업의 사회적 기부행위 분석 : 기업외부에 대한 사회복지활동을 중심으로

  • Han, Dong-U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8.10a
    • /
    • pp.288-302
    • /
    • 1998
  •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기부행위를 분석하였다. 222개의 조사대상기업들 중 37%인 83개 기업이 기업 외부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기부행위를 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매출액이 많은 기업이 사회복지활동에 기부하는 금액도 많았으며, 평균 기부금액의 규모는 10억4천6백만원 정도이다. 이는 조사대상 기업의 평균매출액의 0.06%에 해당한다. 기업 사회복지활동 중 가장 지적빈도가 높은 사업부문은 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장학금지급사업이었으며, 기부금의 규모면에서는 사회복지기관 지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활동의 방법에 있어서는 기업이 직접 사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이나 단체를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기부금의 지급형태에 있어서는 현금지급이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활동을 위한 재원으로는 매출액이나 순이익의 일정비율을 예산으로 편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Social Workers's View Regarding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사회복지사의 복지테크놀로지 개념 인식과 적용 사례)

  • Park, Dong-Jin;Kim, Hae Sung;Choi, Hee-Chul;Choi, Kwon-Tae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387-399
    • /
    • 2021
  • Welfare countries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actively use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welfare technolog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not only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workers perceive welfare technology, how welfar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what future prospects are. In January, 2018,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13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ial. Data were collected an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categories and twelve sub-categories and 24 concepts were derived, namely,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necessity of welfare technology', 'utilization of welfare technology' and 'future prospect of welfare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discussed and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welfare technology in social welfare field.

A Study on the Formation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 focused on writings of Social Welfare Studies and Genealogical Perspective - (일본 사회복지학의 형성에 관한 이해 - 사회복지학 저술과 계보학적 관점 중심으로 -)

  • Choi, Ok-Chai;Kuroki, Yasuhir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3
    • /
    • pp.129-153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based on Michel Foucault's Genealog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power-knowledge relationships. Namely, this study reveals that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has been built through interactions of power-knowledge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scholars' individual experience and social circumstances. For the study, 40 literary works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written by 26 authors have been selected to construct the resourceful main data. From the main data, 671 concepts have been abstracted and shortly introduced in 3 parts: authors' individual experiences, social circumstances related with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mposed contents of Social Welfare Studies. The resulted Genealogy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from the categorization is emerged and analyzed as follows: 1) scholars' individual experience and dichotomous formation of Social Welfare Studies, 2) missionary's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3) searching essence of social welfare and formation of scholars' genealogy, 4) prosecution of wars including ups and downs of economy and social welfare, and 5) expansion of social welfare and enlarging of Social Welfare studies.

  • PDF

A Study on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mmunity Practice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Choi, Ok-Cha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2
    • /
    • pp.301-324
    • /
    • 2003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mmunity practice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Especially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question; how do social workers experience community practice? For the study, data is collected from 11 social workers by depth interview. Using the Grounded theory, the data is analys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inally the core category is become known that community practice is the piled up process of developmental experience throw willful efforts and various strategies under poor circumstan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d social workers seriously consider residents, community,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as the core participant in community practice. (2) the experienced community practitioners use various strategies on the whole process. (3) a system needs to be built to train community practitioners based on the cooperation of universities and community cen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