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정의론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temptation of the slippery slope argument: A research of its nature (미끄러운 경사길 논증의 유혹: 그 실체의 탐구)

  • Lee, Hye-j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9
    • /
    • pp.267-290
    • /
    • 2014
  • The slippery slope argument means that if we accept a type of action A, we are committed to accepting B, C and eventually N. Then, N is situation which we must not accept morally. It works causal mechnism that B because A is raised, C because B is raised. But in the logic textbooks and treatises, the slippery slope argument is classified as fallacy. The reason is that the argument is not a causal argument. Actually, it is a probable. Also it is argued that the argument is wrong because it fears about the future extremely. But We can not say all slippery slope argument is fallacy even though a slippery slope argument is sometimes fallacy. I think it is persuasive argument in a significant place. Therefore I argue that the argument is not simple logic as a form of thinking, but practical reasoning applied the context of dialogue. So in order to find it to be practical reasoning we demand the new understanding to fallacy theory. In traditionally, fallacy is defined to wrong reasoning logically, but according to Walton, fallacy means a verbal tactic or deceptive trick that can be used to cause someone to fall down in argument. That is to say, whether or not the argument is successful depends on how it uses as argument tactic in a given context of dialogue. Therefore I argue that whether or not the argument is successful, because of it is practical problem used in a context of dialogue, is to be approached to pragma and dialectical method, not semantic.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a Disaster through STS (과학기술학으로 이해한 재난의 자기동일성(identity)에 대한 시론(試論): 라투르와 하이데거의 접점으로서의 재난)

  • Lee, June-Se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2 no.1
    • /
    • pp.45-78
    • /
    • 2012
  • What is a disaster? And what ca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tell us about it? There might be numerous definitions about disaster. In this article, we will posit that disaster is an incident when sociotechnical system actor-network broke down against the other force in their "trial of strength". This is a process that punctualized actor-network is depunctualized, and a status that readiness-to-hand of Being recedes while pesentness-at-hand of tool-being comes forward. Using the concept of disaster as a case study, we will consider how Latourian ontology overlaps with Heideggerian philosophy of technology. This STS approach which hasn't been previously studied might provide us with new theoretical framework that enables us to construe the assemblage of technoscience and nature-society in the field of PUS or NPSS.

  • PDF

Web-based Distributed Experimental Frame for Discrete Event Simulation System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웹 기반 분산 실험 틀)

  • Jung, Inho;Choi, Jaewoong;Choi, Changbeo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2
    • /
    • pp.9-17
    • /
    • 2017
  • The problem of social phenomenon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an past decades, and the simulation engineers need more computation power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 needs of the computational resources of the mode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are increas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simulation, it is necessary to allocate computational resources flexibly so that the simulation can be performed per the available budget range. As an alternative to the simulation environment to accommodate these requirements, cloud service has emerged as an environment in which computing resources can be used flexibly. This paper proposes a web-based simulat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a front-end that reconstructs the simulation model using the web, and a back-end that executes the discrete event simulation. This paper also carried out a case study which shows web-based simulation framework has better overall runtime than standalone simulation framework.

Some Notes on the Temporal Single-System Interpretation of Marxian Value Theory (마르크스 가치론의 이시적 단일체계 해석에 대한 몇 가지 비판적 논점)

  • Park, Hyun Woong
    • 사회경제평론
    • /
    • v.31 no.2
    • /
    • pp.105-126
    • /
    • 2018
  • In this paper, I makes some critical comments on the temporal single-system interpretation (TSSI) of Marxian value theory. The first concerns the claim that the Fundamental Marxian Theorem (FMT) holds within the TSSI under completely general conditions. Based on the idea that the nominal profit does not well fit the FMT, the TSSI proponents suggest that more relevant for proving the TSSI FMT is the real profit, defined by deflating the output prices. In contrast, I propose a more general approach where three possible concepts of profit are all considered, in which case the result is that whether the FMT holds within the TSSI is indeterminate. Second, the refutation of the Okishio theorem presented in Kliman (1996) is critically examined, focusing on the criticism raised in the literature that the Kliman model ignores the cost-reduction criterion as for the technical change and therefore cannot be considered as an internal refutation of the Okishio theorem. Drawing upon the criticism, I explicitly incorporate the cost-reduction criterion into the Kliman model and show that the continuous labor-saving technical change of the Kliman model is not necessarily cost-reducing and under certain conditions is cost-neutral or cost-raising.

In Search of Narrative Science as a Convergence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 and Direction (융·복합 학문으로서 내러티브 과학의 시사점 및 방향 탐구)

  • Kang, Hyeon-suk;Lee, Ji-eu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5
    • /
    • pp.45-53
    • /
    • 2017
  • Until now, Academic disciplin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is categorization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ach disciplines. However, as time goes by, there is a need for a transition to the new trends, convergence. Therefore, to suggest the resolution for pre-existing phenomenon and problem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traits of narrative science as a convergence discipline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and tasks. Narrative Science is a human science, based on narrative epistemology, and it focuses on human's interpretation, communication, and inter-subjectivity. Narrative Science has many inner structures per trait, and it provides pre-existing disciplines with narrativistic inter-relation. It also pays attention to human's inner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Science in the future, it should be free from a misunderstanding as a narratology discipline or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Under this change, Narrative Science discipline areas should be fused in the perspective of human science, based on narrative philosophy and psychology.

Methodology for Facility Priority Assessment according to Disaster types (재난유형별 관리대상 시설물의 중요도 평가방법론 개발)

  • Park, Jae-Woo;Kim, Seok;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7-308
    • /
    • 2016
  • 자연재해에 따른 SOC시설물의 피해는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에 위험뿐 아니라 시설물을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지역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기에 재난재해 등의 위험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역 내 중요시설물이 어떤 것이 있는가를 파악하고 재난유형별로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해서 관리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물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재난재해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재난유형별로 시설물에 미치는 항목을 시설물별로 도출하여 각각의 항목별에 가중치를 적용해서 재난 유형별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Future of Work, 2019 (미래 사업의 디지털 전환)

  • Frost & Sulliva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6 no.1
    • /
    • pp.1-5
    • /
    • 2020
  •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증강현실, 가상현실과 같은 고급 기술의 융합과 사용자 행동의 변화가 미래 사업의 모습을 다시 만들고 있다. 기업이 어떻게 잠재적 변화, 작업 공간의 설계, 업무의 정의, 업무 절차를 인식하느냐가 기업이 경쟁 우위를 갖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Frost & Sullivan은 사회적 진화, 미래에도 견고한 사업 모델, 기술 혁신 등 미래 사업의 모습을 만들어갈 3개의 중요한 동인을 찾아냈다. 실제 작업 공간에서 작업자와 기계의 융합, 사람과 공간의 융합과 같은 트랜드가 사이버 작업 공간에 일어날 것으로,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과 업무의 미래 모습을 만들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을 받아들이는 와중에 기업은 숙련된 인력의 부족, 기술의 정렬, 직원 반발, 사이버 보안, 조직 구조와 사고 방식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SHARED 방법론이 기술 수용과 업무 절차 개선에 관심이 있는 기업을 위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기술 솔루션 제공자(Technology Solution Provider)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역할을 계속하는 동시에, 고객에게 인력 관리 솔루션의 필요성을 교육해야 한다. 기술 솔루션 제공자는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기업과 동반할 믿음직한 조언자이자 장기적 파트너에 기초한 사업 관계를 구축해야만 한다.

What is Mind? -A Definition of Mind in Relation to Mind Humanities ('마음'의 한 정의, -마음인문학과의 관계에서)

  • Lee, Ki-heu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3
    • /
    • pp.209-244
    • /
    • 2012
  • In this paper I undertake to define what is mind, as a partial project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o this end I ask myself, where can be found the field, to which the various or whole psychological concepts and discourses generally relate, and then I identify the correct field to be the field of existenti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as being-in-the-world. When human beings as being-in-the-world live their lives, her life is built up out of the internal biological activities, the worlds of space and time, and actions. While the various scenes of individual life of man produced by a dynamic coordination of those worldly components, the basis of the mechanism of that coordination is explained by a biological model of self-sufficiency system that I developed here. On the basis of this model, I show step by step, how and through which (logical) way organisms configures their living, as it is. With respect to those steps of the life-construction of the organism, or in light of each step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I construct different types of mind, i.e. impulsive mind, manipulative mind, meta-mind, collective consciousness/mind and finally personality, while every mind is further subdivided. Finally, I define mind, in light of its function in human life and with respect to the generalized sense of the whole processes as outlined above, as an organ which weaves (above mentioned) worldly components to Dasein, and sublimates and expands it to a better living.

Creating the Frame for the Future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 Kwon, J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6
    • /
    • pp.711-720
    • /
    • 2010
  • The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has contributed to citizenship educati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But today geography has seen crisis in th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we investigate educational implication of social change. Based on M. Poster's theory of mode of information, we examine changing nature of knowledge and its implication on school. These aspects ret1ect teenager culture and emotional aspect of geography education. However we needs support from the national ethos. We suggest a few directions of geography education, contribution of cultural landscape to korean identity, housing and land justice, future cities, geopolitics and culture area.

Building capacity to promote health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after the Bangkok Charter about globalization, policy and partnerships (국가 및 지역단위의 건강증진정책 개발: 건강증진을 위한 국가차원과 지역차원의 역량 강화)

  • Wise, Marily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51
    • /
    • 2005
  • 역량(capacity)이란 진술된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목표란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역량의 구체적 요소, 양, 질, 그리고 역량의 소재를 결정한다. 건강증진이란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그리고 조직이나 사람들이 그들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응용과학으로 발전되어 왔다.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의 원인이나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고,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론이 중요하다는 점도 또한 밝혀졌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건강증진의 토대가 되는 방법론은 건강을 증진을 위한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목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균 기대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요구되는 능력은 생물학적인 그리고 행동적 건강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능력과는 다르다. 그리고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또는 상해를 예방하거나 모든 사람들이 좋은 건강상태를 얻고 유지하는데 동등한 기회를 갖는 환경을 조성하는 능력도 다른 특성을 지닌다. 방콕헌장은 현 단계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건강에 대한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해결책과 더불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형평성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지난 30년간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에 대하여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역량을 기르고 확대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도전과제가 되며, 비록 우리가 성취한 것이 많지는 않을지라도, 더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는 점은 명백해졌다. 우리는 좀 더 야심 찬 목적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려 좀더 의욕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전문분야로서 건강증진은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발생된 문제에 대한 대책이나 반응에만 중점을 둔 이방인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가 도전해야 할 과제는 좀 더 새롭고, 더욱 야심 찬 활동계획을 설정하고 우리가 건강해지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생활환경, 작업환경, 여가환경, 영적 환경을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족,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가 있는 세계를 만드는 우리사회의 능력들을 신장하는 것이다. 방콕 헌장은 건강증진을 위한 새로운 일련의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역량을 기르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 되었다. 이는 원하는 활동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역량을 조율하고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건강증진효과성에 관한 증거들을 좀더 큰 규모의 사업으로 확대시키는 것, 공공정책을 개발하고 건강증진 상태를 평가하는 데 다양한 지역사회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능력, 언어, 인종, 성, 종교, 장애 등과 관련된 건강형평성의 문제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노력, 그리고 정책결정과 인구집단의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증거수집, 국가와 지역차원에서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다른 부문과의 건강증진을 위한 협력 등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방콕헌장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역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토론과 논쟁을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명백한 것은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은 전략이나 기술적인 능력 뿐 만이 아니라 정치적 능력이나 개인적인 능력도 포함된다는 점이다. 가치와 증거들이 정책이나 권력과 함께 결합되어야하며, 정치적인 논쟁 속에서 연마되어야 한다. 우리세계의 미래는 역량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