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존재감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9초

유튜브 실시간 방송 시청자의 지속시청 및 유료후원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O-R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Watching and Paid Sponsorship Intentions of YouTube Real-Time Broadcast Viewers: Based on the S-O-R Framework)

  • 권지윤;양선욱;양성병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285-31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S-O-R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인에 대한 자극(유튜브 채널의 영상 특성, 유튜버 특성, 실시간 방송 특성)이 어떻게 유기체(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사회적 존재감)를 형성하고, 이것이 시청자 반응(지속시청의도, 유료후원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유튜브 실시간 방송 환경에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구성하였고, 유튜브 플랫폼의 실시간 방송 채널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369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영상 특성, 유튜버 특성, 실시간 방송 특성이 시청자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사회적 존재감에, 더 나아가 지속시청의도, 유료후원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성별 차이에 따른 악성댓글 중화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malicious comments neutralization by gender difference)

  • 김한민;박경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817-826
    • /
    • 2018
  • 악성댓글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악성댓글을 이해하고 예방하기 위해 여러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 중 기존 연구에서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는 악성댓글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아직까지 성별에 따른 중화 정도의 차이는 크게 고려되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온라인은 현실과는 다른 환경적 특성들이 다수 존재함에도 악성댓글과의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악성댓글과 중화의 관계에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악성댓글에 온라인의 환경적 요인들(익명성, 사회적 실재감 부족)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발견되지 않은 반면, 악성댓글에 대한 중화는 강한 직접적 영향력과 성별 차이의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한다.

패션 명품 구매에 있어 사회적 배제 유형과 타인의 존재가 구매진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Impact of Social Exclusion Type and Presence of Others on On-going Purchase Intention When Purchasing Fashion Luxury Goods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박현희;전중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78-892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type and presence of others on consumers' on-going purchase intention when purchasing fashion luxury goods. This study also identifies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which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exclusion type and presence of others on on-going purchase intention. For the experiment, 2(social exclusion type: being ignored vs being rejected)×2(presence of others: presence vs absence)×2(self-efficacy: high vs low) factorial design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n-going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social exclusion type.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exclusion type and presence of others. Thir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exclusion type, presence of others, and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which direction is needed to mitigate negative consumer behavior caused by social exclusion at the service interface.

사회적자본찾기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on Career Identity and Empowerment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57-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하위 영역가운데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존재의식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주장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 가운데 개인내적, 대인관계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치사회적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 및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와 공감의 상대적 효과 (The Relative Effects of Emotion and Empathy on Altruistic Behavior)

  • 조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52-665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서 지켜가야 할 이타행동의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예측하는 정서와 공감요인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이론들에 따르면, 긍정적 정서와 공감이 높은 사람들이 이타행동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타행동의 예측요인들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타행동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정서와 정서적/인지적 공감의 효과를 각각 심리적 안녕감, 우울감, 공감적 관여, 조망수용의 차원에서 확인해보았다. 학부생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타행동에 심리적 안녕감은 영향을 미친 반면 우울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타행동에 공감적 관여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망수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타행동에는 공감적 관여, 심리적 안녕감 순으로 효과를 미치는 반면, 우울감과 조망수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타행동에 미치는 정서와 공감의 영향을 재검증하고 요인들의 상대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등을 함께 고찰해보았다.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성별 및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ics Anonymous Affiliation and Alcohol Recovery)

  • 백형의;조수민;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98-7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이 회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A.A.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 55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A.A.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A.A.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그들의 회복 정도도 큰 것으로 나타나 A.A.몰입이 회복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존재하였다. 둘째, A.A.몰입도는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단주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셋째. A.A.몰입도가 단주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에 이르는 경로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을 때, 남녀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A.A.참여를 통해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방안들에 대해 제시하고 특히,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개입전략을 논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A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90-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초 4)부터 중학교(중 3)까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어떤 발달궤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동일 시점에서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 1년 전의 과거 시점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1년 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개년도 자료를 분석했으며, 분석 대상은 1,296명이다. 분석 결과, 첫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했을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은 증가하다가, 중학교 시기에서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초기치, 1기 변화율, 2기 변화율에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기치가 높을수록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의 증가폭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가 높을수록 중학교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 감소폭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의 동시효과는 6개년도 모두, 친구 지지의 동시효과는 중 3시기를 제외한 5개년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족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4, 초 5, 초 6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친구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6, 중 2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 지지의 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서는 가족, 친구,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Way)

  • 전형도;김준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호
    • /
    • pp.490-492
    • /
    • 2001
  • 현대인들은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시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채 항상 바쁘고 정신없이 살아간다. 이를 극복 못하는 것은 곧 실직을 의미하며, 그것은 자신의 사회적 존재가치를 상실했다는 의미가 아닐까 생각된다. 현대 물질 문명이라는 현실의 거대한 체제 아래서 물질이 종속적으로 인간을 지배함으로서 생기는 비인간화${\cdot}$익명화${\cdot}$공허감은 누구나 한 번쯤 느끼게 된다. ‘길(Way)' 이라는 것은 인생을 하나의 상징적 의미로 표현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성공이라는 인생을 목표를 향해 뒤돌아 볼 시간도 없이 너무 빠르게 앞으로 나아간다. 인생의 종착점은 누구나 알 수 없다. ’길(Way)' 이라는 작품을 통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삶을 한 번 돌이켜 보고자 한다.

  • PDF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 귀인정서이론 적용 - (Process of Social Stigma on Behavioral Addictions -The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applied -)

  • 박근우;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241-26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이 행위중독의 치료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전제하에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을 검증하여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정신장애에 대한 대중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는 귀인정서이론과 수정된 귀인정서이론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즉, 행위중독의 원인을 성격이나 의지, 생활습관 등 개인적으로 통제 가능한 것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행위중독의 원인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귀인할 경우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이 나타나거나(귀인정서이론), 오히려 위험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두려움이 증가하여 사회적 거리감이 가중되는(수정된 귀인정서이론) 두 가지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경상남도의 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모의 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사례가 보이는 문제의 원인, 그들에 대한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질문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다. 따라서 개인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두 경로 모두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으나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은 행위중독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건강의 문제임을 강조하는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 PDF

중국대학생들의 미니블로그 이용과 충족 연구: 컴퓨터와 모바일기기 기반 웨이보(微博)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of Micro-blog between PC and mobile for Chinese undergraduates students)

  • 도정;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6
    • /
    • 2013
  • 중국 대학생의 미니블로그 이용 시, 이용동기에 있어서 두 매체 모두 '정보공유', '자아존재감', '대인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요인이 나타났으며, 모바일에서는 '유명인 접근성'요인이 추가적으로 나타났다. 충족요인에 있어서 두 매체 모두 '콘텐츠', '사회적 교류', '관계형성' 요인이 나타났으며, 두 매체의 차이로 PC의 '기능성', '편리성' 요인에 반해, 모바일에서는 '정보공유', '엔터테인먼트'요인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