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Unmet Dental Needs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과 필요 치과진료 미수진과의 관련성)

  • Kim, Min-Young;Kim, Ji-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360-370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unmet dental need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argeting population of 214,861 aged 25 and over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factors related to necessary unmet dental needs visit it was confirmed.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less contact with relatives and friends, the less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relatives and leisure activities, dissatisfied with sociophysical environment(safety level,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public transportation, medical services) the higher unmet dental needs.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but also social support,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need of unmet dental needs. Future research that includes policy factors a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ill be needed as a way to increase the unmet dental needs.

Structural Model of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Social Trust, Medical Commun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사회적 자본과 건강정보, 의료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농어촌 지역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델)

  • Jang, Han-Jin;Noh, Ghee-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483-493
    • /
    • 2015
  •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caused health inequality between rural areas and cities. Health care in rural area is insufficient comparing to urban area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Health Information, and medical communication factors on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social capital has an effect on medical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and medical communication impacts on health status. Seco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has an impact on health behavior an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Lastly,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influenced by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 a mediator affects health status. As a who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determinants of health status in communities by examining structural path of the effects of social factors and communication factors on health status in rural are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 Integrative Approach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 Kim, Myeong-Suk;Ko, J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6
    • /
    • pp.246-25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a variety of health, economic, leasure activity,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a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347 old people participating in the leasure activity programs operated by 10 facilities for the ag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 as a main data analysis metho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 economic level, productive and consumptive leasure activities, spouse and children support, self-esteem and extraversion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Building capacity to promote health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after the Bangkok Charter about globalization, policy and partnerships (국가 및 지역단위의 건강증진정책 개발: 건강증진을 위한 국가차원과 지역차원의 역량 강화)

  • Wise, Marily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51
    • /
    • 2005
  • 역량(capacity)이란 진술된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목표란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역량의 구체적 요소, 양, 질, 그리고 역량의 소재를 결정한다. 건강증진이란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그리고 조직이나 사람들이 그들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응용과학으로 발전되어 왔다.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의 원인이나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고, 그리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론이 중요하다는 점도 또한 밝혀졌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건강증진의 토대가 되는 방법론은 건강을 증진을 위한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목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균 기대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요구되는 능력은 생물학적인 그리고 행동적 건강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능력과는 다르다. 그리고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또는 상해를 예방하거나 모든 사람들이 좋은 건강상태를 얻고 유지하는데 동등한 기회를 갖는 환경을 조성하는 능력도 다른 특성을 지닌다. 방콕헌장은 현 단계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건강에 대한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해결책과 더불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형평성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지난 30년간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에 대하여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역량을 기르고 확대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도전과제가 되며, 비록 우리가 성취한 것이 많지는 않을지라도, 더 많은 것들이 필요하다는 점은 명백해졌다. 우리는 좀 더 야심 찬 목적을 가져야 하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려 좀더 의욕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전문분야로서 건강증진은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발생된 문제에 대한 대책이나 반응에만 중점을 둔 이방인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가 도전해야 할 과제는 좀 더 새롭고, 더욱 야심 찬 활동계획을 설정하고 우리가 건강해지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생활환경, 작업환경, 여가환경, 영적 환경을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족,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가 있는 세계를 만드는 우리사회의 능력들을 신장하는 것이다. 방콕 헌장은 건강증진을 위한 새로운 일련의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역량을 기르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 되었다. 이는 원하는 활동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역량을 조율하고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건강증진효과성에 관한 증거들을 좀더 큰 규모의 사업으로 확대시키는 것, 공공정책을 개발하고 건강증진 상태를 평가하는 데 다양한 지역사회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능력, 언어, 인종, 성, 종교, 장애 등과 관련된 건강형평성의 문제를 파악하고 제거하는 노력, 그리고 정책결정과 인구집단의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증거수집, 국가와 지역차원에서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다른 부문과의 건강증진을 위한 협력 등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방콕헌장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역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토론과 논쟁을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명백한 것은 건강증진을 위한 역량은 전략이나 기술적인 능력 뿐 만이 아니라 정치적 능력이나 개인적인 능력도 포함된다는 점이다. 가치와 증거들이 정책이나 권력과 함께 결합되어야하며, 정치적인 논쟁 속에서 연마되어야 한다. 우리세계의 미래는 역량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 PDF

Analyses of Psycho-Social Determinants in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s for Older Adults (고령자 운동지속 행동의 사회심리적 결정요인 분석)

  • Yoo, Jin;Lee, Sun-Ae
    • 한국노년학
    • /
    • v.28 no.4
    • /
    • pp.1213-12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sychosocial variables of exercise behaviors for old adults. A major research problem identified through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t's empirical data: Do cognitive-social variables(health risk perception, self-efficacy, group conformity, exercise attitude) significantly mediate exercise behaviors(intention, action, maintenance)? A total of 453 older adults above 65 years(171 males and 282 females) who were enrolled in various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at adults centers in Seoul. Participants completed a battery of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psycho-social variables(health risk perception, self-efficacy, group conformity, exercise attitude) and exercise behaviors(intention, action, maintenance). The results of statistical procedures(e.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self-efficacy and exercise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ed exercise intentions of older adults. Exercise inten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tion, and ac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xercise maintenance. In discussion, various psycho-social mechanisms were provided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were suggested.

Characteristics of an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LA 거주 한국이민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과 특성)

  • 홍숙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8 no.1
    • /
    • pp.157-170
    • /
    • 1990
  • 본 연구는 미 L-A에 거주하는 한국이민 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기여하는 결정요소들이 무엇인지 가려내며, 그 얻어진 결과를, 동일한 시각과 접근으로 시도되었던 미국 노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1986년 12월에서 1987년 2월까지 3개월간 미 L-A 카운티에서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한국 이민노인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중 192명을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의 결과, 활동성의 제약정도, 결혼상태, 재정적인 안정, 교육정도, 연령증가 등 5가지 변인들의 특별히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강한 연관성이 있었고, 반면 자신들이 평가한 건강상태, 지인과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미국거주 년한 등은 노후생활의 안녕에 전혀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그러나 자신들이 평가하는 건강상태는, 활동성의 제약 등과 같은 다른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서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서구나 미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의 세 요인인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활동성과 비교해 볼때, 사회적 활동성과 연령증가 변인에서 서로 상반되는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즉, 백인노인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낮아지거나 혹은, 연령증가와 생활만족도 사이에 별로 유의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의 한국노인은 나이를 먹으면서 오히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활동성은, 백인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혹을 부정적으로 가장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하나임에 반하여, 한국노인들은 이것이 자신들의 생활만족에 중요한 것이라 믿고는 있었지만 실제 통계학적으로는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요인이었다. 주거환경(자식과의 동거여부) 역시, 이제껏 한국사회에서 기대되어왔던 통념과는 달리,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 PDF

Impact of Factors on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Unit Analysis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단위 분석)

  • Jeong, Yong-Rae;Hahm, Myung-Il;Min, In-Soon;Kang, Eu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
    • /
    • pp.276-285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ommunity factors on the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2012 using secondary data(n=209) of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framework was based on community factor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ce (ICSU) and community factors were categorized based on six aspects.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community factors depending on the community EQ-5D index. Smoking rate, "Good" self-rated health rate, water and wastewater coverage rate, and financial independency rate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Q-5D score. Net migration rate(more move out than move in), obesity rate, unmet needed health care rate, and community type(rural than urban)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EQ-5D score. This study identifies association for the impact of community factors on the community-level HRQOL and can provide useful evidence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olicies.

Achieving Health Equity Through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과 형평성: 건강증진을 통한 건강 형평성 제고)

  • Moskowitz, Joel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91-119
    • /
    • 2005
  • 오타와 헌장에 따르면 건강증진은 건강형평성을 성취하는 것이다. 건강격차를 감소시키고, 모든 사람들이 건강잠재력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동등한 기회와 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각 개인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결정요인들에 대한 통제능력을 가져야 한다. 미국의 조기사망은 40%가 행동양식에 의하여, 30%가 유전적인 문제로, 15%가 사회적 환경에 의하여, 10%는 의료적 치료의 부족으로, 그리고 5%는 환경위해 물질에 대한 노출로 발생한다. 건강불평등을 발설시키는 사회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야기되는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절대적 목표들과 평등관련 목표들이 모두 필요하다. 건강형평성은 인구집단의 건강과 함께 향상되는 것으로 나은 건강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악화시키면서 건강형평성을 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관심이 형평성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성과/투입의 정의를 선호하며, 소외계층은 똑같은 성과 또는 요구에 기반한 정의를 선호한다. Healthy People 2010은 미국의 국가적 예방체계를 의미하며, 가장 중요하며 예방 가능한 건강위협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위협들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들이 설정되어 있다.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삶의 질적인 면과 양적인 측면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건강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유럽의 국가들에 비해서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가 적은 이유는 재분배는 소수인종만을 위한 것이라는 믿음과, 우리는 개방되고 공정한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가난하다는 것은 가난한 사람들 자신들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재분배를 방지하는 정치체계 때문이다. 국가기관인 CDC의 예방연구센터(Prevention Research Centers)는 지역사회 파트너들과 함께 건강증진, 질병예방, 그리고 질병과 상해로 인한 합병증을 관리하게 위한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예방연구센터의 프로그램들은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와 소외된 계층에 중점을 두며, 다학제 간 접근방법을 활용하고, 교육기관, 공공보건기관 그리고 지역사회의 파트너들 간의 네트웍을 형성을 통한 협력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근거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건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형성적 연구, 개입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확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UC Berkeley의 가족/지역사회 보건센터(Center for Family & Community Health)는 1993년에 설립되었다. 사업의 대상이 되는 주요 지역사회는 한국교민사회이며,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Korean Community Advisory Board, KCAB)가 구성되어 있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Health is Strength' 사업이 시범연구사업으로 진행되었는데, 그 내용은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 프로그램이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될 'Quitting is Winning'이라는 두 번째 시범연구사업은 남성들의 금연에 중점을 둔 사업이다. 'Health is Strength'는 아시아 보건서비스 및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가 함께 협력하여 진행된 사업으로, 주요 목표는 18세 이상 여성의 자궁암 조기 검진(Pap test)과 자가 유방검진 실천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50세 이상여성의 유방 임상검사와 유방 X선촬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한 지역의 카운티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은 4년간의 개입프로그램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횡단적인 전화조사를 3번(사전, 중간, 사후)실시하였다. 개입 프로그램은 교회에서 워크샵 개최, Tell-A-Friend Form 작성하기, 포스터 및 책자 발행, 신문광고 등과 함께 자궁암 조기 검진(Pap test)과 유방 X선 촬영권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Quitting is Winning'은 지역사회 기반 참여 연구모형으로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는 흡연을 1순위의 사업으로 선정하였고, 근거에 기반한 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보편적 방법이 아닌 인터넷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무작위 임상실험으로 연구대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흡연자 2300명을 모집하였다. 이들의 1/2은 실험군인 인터넷 프로그램 집단에, 또 다른 1/2은 대조군인 인쇄책자 집단에 무작위 할당되었다. 12개월 동안 11번의 진단이 인터넷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참여와 참여유지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제공되었다.

  • PDF

The Impacts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Jeong, Ji N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489-498
    • /
    • 202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from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and social support. 429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three universities in J province were instructed to answer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software. The results reveal that job-seeking stress shows positive correlation to mental health, whereas career decision-making and social suppor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mental health are job-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Exploratory power of 48.9%.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measures that consider impact factors such as job-seeking stres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nd maintain a support system for mental health.

The Effect of Active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Yu, Chae-nam
    • 한국노년학
    • /
    • v.36 no.4
    • /
    • pp.1075-1088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active aging on life satisfaction and present an improvement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Active aging is divide into three aspects; health, participation and security. The subjects were people older than 55 years who were enrolled in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influencing effect was analyzed by a hierarchial regression. Key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aging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ere subjective health, mental health,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ncome, and housing while subjective health was a determinant factor that best describes the effect of the active aging on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bov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needs to be an effort in improve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housing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