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문화학적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3초

사회학적 측면에서의 목재문화에 관한 연구 (Sociological Approach of Wood Culture)

  • 허경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63-76
    • /
    • 2005
  • 목재문화는 시멘트문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목재문화가 학문적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는 공학적 연구만이 아니라 사회학적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아직 국내외적으로 전혀 시도된 바가 없는 목재문화의 사회학적 측면을 구조 기능적, 체계 기능적, 갈등적, 사회 변동적 측면에서 사회학적으로 연구하고 우리나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목재문화의 사회학적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사회체계는 최상위의 인식체계, 그 다음의 제도체계, 생활체계, 기술체계의 4가지 부분체계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분체계는 목재문화 전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당위성 타당성 현실성 발전성의 기능을 발휘한다. 체계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목재문화체계는 목재 효용성의 인지와 전파과정에 따라 개인적 체계와 조직적 체계, 이 두 가지를 망라하는 사회적 체계의 3가지로 구성되며, 갈등측면에서 볼 때 사회는 목재문화와 시멘트문화의 갈등양상에 따라 고유의 목재문화는 쇠퇴하고 시멘트문화가 확산되는 사회, 시멘트문화가 쇠퇴하고 목재문화가 확산되는 사회, 고유의 목재문화와 시멘트문화가 균형을 이루는 사회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목재문화의 유형을 문화변동의 측면에서 분류하면, 목재문화에서 시멘트문화로의 변동, 시멘트문화에서 목재문화로의 변동, 목재문화 자체의 변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변동수준에 따라 분류하면 미시적 변동, 중간적 변동, 거시적 변동으로 분류된다. 이상과 같이 목재문화를 사회학적으로 조명하는 새로운 접근방법과 공학적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 빠른 시일내에 학계에서 "목재문화론" 또는 "목재문화학"이 체계적으로 정립되기를 바란다.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Tasks and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 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spc호
    • /
    • pp.163-174
    • /
    • 2005
  • 이 글은 본 특집호에 게재된 여덟 편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대한 연구의 과제를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제안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문화에서 신뢰는 혈연을 기초로 맺어진 부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적 관계에서 배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계약에 의해 맺어진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시장적 관계에서 배태된 서양의 신뢰와는 서로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 가족 관계가 급하게 해체되어 가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신의 사회가 아니라 신뢰부재의 사회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는 이런 한국적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배려한 토착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접근- (The Qualitative study about parent's in law of multiculture family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logy -)

  • 김영숙;이근무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1-70
    • /
    • 2011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로 시부모들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시부모들과 외국출신 며느리들과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는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으로 접근했으며 6명의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과 문서기록 수집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분석 결과 83개의 의미단위 22개의 범주 그리고 9개의 해석학적 주제를 구성했으며 해석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들은 해석학적 주제와 연구내용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 가정 시부모들과 며느리들의 문화접변 과정을 ① 자기의 영역 고수하기 → ② 전략적 수용 → ③ 상호이해에 기초한 공존의 그늘 만들기 → ④ 자기의 해체와 재구성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다문화 가족의 가족 안정성과 관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으로 「문화 유능성 강화를 위한 시부모·며느리 연계 프로그램」을 제언했다.

보건사업이용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Alternative Views on Health Care Utilization)

  • Suh, Kitac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66
    • /
    • 1982
  • 본문은 보건사업이용문제를 취급한 국내외의 문헌을 조사하여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사회문화적(사회심리학적, 조직적 그리고 사회제도적)인 입장에서 보건사업이용문제를 어떻게 설명하는가를 보고저 했다. 사회인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연령, 성별, 교육수준, 결혼관계, 직업별, 종교, 거주지, 가족의 크기 가족구성등의 요인들이 일면외 연구중에서 정도를 달리하며 보건사업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경제적 입장에서는 가구수입, 의료비, 의료보험비와 경제적지위에 관한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이 직접적으로 보건사업활용행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입장에서 생각할 때 보건사업이용행위는 사회계급과 문화적 가치, 인종적차이와 의료적 태도의 상이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사회심리학적으로서는 보건에 관한, 태도, 믿음 및 지식과 지병으로부터 오는 정신적 압박감과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작용등의 요인들이 보건사업이용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느냐에 그의 초점을 두는 바 이러한 주요인들이 다소나마 보건사업이용행위에 영향을 가하고 있음을 관계문헌은 말해주고 있다. 조직적 견해로서는 보건사업구조의 어떠한 조직적 변화는 보건사업이용행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며 사회제도적 입장에서는 한 개인은 여러 요소들이 상호관계되어 있는 한 제도의 일부요소로 보고한 개인의 보건사업이용행위가 다른 관계된 요소들에 비해서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밝히려 하고 있다. 끝으로 보건사업이용에 관한 조사연구자들은 이상에서 말한 여러가지 견해의 접근방법중 단순히 한가지 접근방법만을 접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종합적인 접근방법에 의해서 보건사업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워 질 때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위험행동 발달적 접근이론을 적용한 여자 청소년의 자살생각 구조모형 구축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Model on Woma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ased on Developmental Approach Theory of Risk Behavior)

  • 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04-3814
    • /
    • 2013
  •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의 생물학적 위험성향, 사회문화적 위험요인, 자기통제, 사회적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부합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12월 3일부터 2013년 3월 28일까지 D광역시의 여자 중고등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해 생물학적 위험성향, 사회문화적 위험요인, 자기통제 및 사회적지지는 직접효과, 생물학적 위험성향과 사회문화적 위험요인은 간접효과가 있었다. 여자 청소년의 생물학적 위험성향과 사회문화적 위험요인은 자기통제와 사회적지지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여자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생물학적 위험성향과 사회적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고 자기통제와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컬러시대의 새 문화 일궈내는 '색채 이미지'

  • 배은희
    • 출판저널
    • /
    • 통권173호
    • /
    • pp.17-17
    • /
    • 1995
  • 색채는 이제 현대 산업사회의 핵심이다. 색채의 영향력과 활용 국면을 다룬 책들의 등장은 그 자체로서 의미를 지닌다. 최근 출간된 "색채심리"와 "우울한 블루, 그리운 파랑" "색으로 승부하는 21세기"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등은 색채와 인간의 관계를 생물학적.사회심리학적 혹은 산업적 영역의 다양한 시각으로 풀이하고 있어 흥미롭다.

  • PDF

놀이환경 변화를 통해 본 디지털문화심리학의 방향 모색 (Search for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Cultural Psychology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in Plays)

  • 이장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131-154
    • /
    • 2011
  • 급격한 디지털화로 우리 사회의 변화는 적응과 대처라는 새로운 심리학적 과제를 만들어냈다. 이런 변화의 핵심에는 놀이가 자리한다. 놀이는 전통사회와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노동의 부수적인 활동이었으나, 생산성과 효율이 극대화된 디지털 사회에서는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을 포괄하는 핵심 활동이 되었다. 그러나 놀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여전히 산업사회기반의 분석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였다. 이런 점을 분석하면서 디지털 문화의 핵심적인 특성인 멀티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 및 이들이 결합된 디지털 게임 이용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심리학적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심리학과 디지털 문화 심리학의 차이점을 자아개념, 정보처리방식, 성역할 등을 통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문화심리학의 미래 방향, 기존 심리학과의 차별성과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 PDF

남성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소비가치와 의미변화 분석

  • 박길순;박수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38
    • /
    • 2003
  • 본 연구는 남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외모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사회적 배경에 따라 남성의 메이크업문화가 형성되어온 과정을 고찰하고 사회의 의식, 가치, 이념을 반영하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사회 문화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는 남성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가치관과 사회적 의미의 변화를 고찰,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의 메이크업문화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인 연구방법인 문헌고찰을 통해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화장품광고 텍스트를 분석하는데는 내용분석과 기호학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결과를 객관화 하고자 하였다.

  • PDF

조직신뢰와 오류관리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사회복지이용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Error Management Culture across Social Service Agencies)

  • 이상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83-105
    • /
    • 2015
  •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연구에 있어서 개념적 중요성이 높은 조직신뢰와 오류관리문화와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오류관리문화의 이론적 위치를 검증한다. 둘째,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수성을 반영하는 일가치감과 측정의 타당도 제고를 위한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력에 주목하면서 연구모형 적확성 제고를 위한 제언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사회복지이용시설 즉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된 564명의 자료를 활용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핵심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의 증분설명량이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측정의 타당도 제고를 위해 제3변수 효과에 의한 체계적 편향방지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수성을 나타내는 일가치감의 증분설명량이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 연구모형구성의 적확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조직신뢰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 사회적 바람직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오류관리문화의 증분설명력은 사회복지이용시설별로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오류관리문화의 이론적 함의와 오류관리문화 정착을 위한 실천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