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공헌 일자리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A Study on Elderly Services by Elderly in Public Libraries in A Post-aged Society: Focusing o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Public Library (초고령사회 공공도서관 노인이용자를 위한 '노노 서비스(老老 service)' 방안 연구 -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Myung Sook, Kim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1
    • /
    • pp.75-9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d present a plan for the elderly service, in which the elderly become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for the elderly who have emerged as the main library users in the face of a post-aged society. As a result of a survey of 119 elderly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an interview with a focus group of librarians at G Library, it was confirmed that the elderly service was needed. The most necessary services in terms of the beneficiaries of the Elderly Services by Elderly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computer information search help service, library usage guide service, book search method guide service, and recommended or popular book guide service. In terms of 'Elderly Services by Elderly' provider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60s, and the preferred method of participation was paid volunteer work three times a week, within four hours a day. Accordingly, it was analyzed that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employment program for the elderly and prior training was necessary.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creation of a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and the participation of retired librarians was raise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Policy in Gyeongbuk Province (경상북도 귀농·귀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Lee, Chul Woo;Park, Soon 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6
    • /
    • pp.659-675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urban-to-rural migration policy in Gyeongbuk Province, and suggests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is analysis. Gyeongbuk Province enacted local ordinances related to urban-to-rural migra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has expanded the area of its own projects in addi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 projects. Consequent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support projects in Gyeongbuk Province is higher than in other provinces. Problems of the support projects for urban-to-rural migration are the lack of role sharing between central and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and the lack of connectivity among the relevant departments; the non-refl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urban-to-rural migrants (household); and the insufficient satisfaction of policy demands by non-agricultural urban-to-rural migrants. Improvements for these problems include establishing governance that involves urban-to-rural migrant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olicy actors, and institutionalizing the project to properly embed this governance in the region. In addition to economic and physical support, diverse programs based on the adaptive cycle, 'non-agricultural rural jobs' for nonagricultural urban-to-rural migrants, and support programs for professional competency enhancement contributing to rural communities should be developed.

  • PDF

A comparison of rubber smallholder livelihoods in Cambodia and Laos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 생계에 관한 비교 연구)

  • Andriesse, Ed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4 no.2
    • /
    • pp.167-206
    • /
    • 2014
  • 메콩 경제권(GMS)의 다양한 개발 현장 속에서 고무 나무로부터 채취하는 라텍스는 캄보디아,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 차이나 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주요 농업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대형 플랜테이션은 여러 부정적인 결과들을 낳고 있다. 토지 점유, 계약 농업을 통한 착취 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농촌의 빈곤은 증가하고 있고 해외 투자자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의존이 심화되고 환경 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소규모 자작농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무 자작농은 고용을 창출하며 토지 점유를 방지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들의 생계를 비교하며 고무 호황으로 어떠한 이득을 얻고 어떠한 형태로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Tboung Khmum 구역과 Somsanouk 마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은 세 가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미시-생계 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그리고 GMS에 대한 연구들이다. 실증 분석의 초점은 생계의 변화상과 결과(고용 창출과 빈곤 탈출)이다. 전체적으로 소규모 고무 자작농은 전망이 밝았으나 앞서 언급 된 문제점들로 인해 농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중요한 유사성은 소규모 고무 자작농의 사회경제적 공헌이다. 연구 지역 두 곳에서 자작농들은 고무 농사는 생계를 개선하는 데에 좋은 수단이라고 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교육 수준은 그들의 생계 전략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양쪽 지역에서 응답자들은 다른 주민을 따라 고무 농사를 시작했다고 대답했으며 경제, 환경적인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른 유사점으로 소규모 자작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금 조달은 고무 농사의 심각한 애로 사항 중 하나였다. 명확한 차이점으로 Tboung Khmum의 자작농들은 중개 상인에게 계약 관계를 맺지 않고 라텍스를 판매했으며 Somsanouk의 경우에는 고무 가격이 국제 시장의 영향을 받음에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인에게 농민 전체가 같이 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GMS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적인 경제 현상 에 농촌 공동체들이 다양하게 연결 되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게다가 Somsanouk 마을에서는 사이짓기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작농들에게 사이짓기를 장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boung Khmum 마을의 경우 고무와 더불어 고무 이전의 주요 작물이던 카사바를 같이 재배했다. 요약하면, 자작농에 의한 소규모 고무농업은 (비록 농촌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지만) 토지점유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는 대규모 플렌테이션에 비해 유의미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래를 위한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농촌 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7년 간의 고무 생육기간 동안 농가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대안적 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