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버 킬체인 모델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공세적 사이버 작전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모델 연구 (Research on Cyber Kill Chain Models for Offensive Cyber Operations)

  • 조성배;김완주;임재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1-80
    • /
    • 2023
  • 사이버공간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에 이어 다섯 번째 새로운 전쟁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군사작전 측면에서도 사이버공간이 핵심적인 공격과 방어 목표가 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사이버공간에 대한 공세적 사이버 작전 수행의지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어적 전략인 사이버 킬체인 모델에 합동 항공임무명령서(ATO)의 임무수행주기와 합동표적처리 절차를 융합한 공세적 개념의 사이버 킬체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사이버 작전의 합동성 측면에서 물리 작전과 사이버 작전의 통합을 통해 전략적 차원의 국가 사이버 작전 역량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PT 공격 사례 분석을 통한 사이버 킬체인과 TTP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cyber kill chain and TTP by APT attack case study)

  • 윤영인;김종화;이재연;유석대;이상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91-101
    • /
    • 2020
  • 과거 해외에서 발생한 APT 공격사례를 사이버 킬체인 모델과 TTP 모델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 킬체인 모델은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만 구체적인 방어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며, TTP 모델로 분석해야만 실질적인 방어 체제를 구비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공격을 대비하는 관점에서 심층 방어선 구축에 적합한 TTP 모델 관점에서 방어 기술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사이버 킬체인 기반 사이버 지휘통제체계 방어 및 공격 모델 연구 (A Study on Defense and Attack Model for Cyber Command Control System based Cyber Kill Chain)

  • 이정식;조성영;오행록;한명묵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1-50
    • /
    • 2021
  • 사이버 킬체인 (Cyber Kill Chain)은 기존의 군사적 용어인 킬체인 (Kill Chain)에서 유래한다. 킬체인은 "파괴를 요구하는 군사 표적을 탐지하는 것에서 파괴하는 것까지의 연속적이고 순환적인 처리 과정 또는 그것을 몇 개의 구분된 행위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킬체인은 핵무기나 미사일과 같이 위치가 변화하고 위험성이 커서 즉각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시한성 긴급 표적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기존의 작전절차를 발전시켰으며, 방어자가 파괴를 필요로 하는 핵무기나 미사일이 타격점에 도달하기까지의 여러 과정 중 한 단계라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여 공격자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도록 무력화하는 군사적 개념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이버 킬체인의 기본 개념은 사이버 공격자가 수행하는 공격은 각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버 공격자는 각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야 공격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방어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각 단계에서 세부적으로 대응 절차를 마련하여 대응하면 공격의 체인 (chain)이 끊어지므로 공격자의 공격을 무력화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공격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대응 절차를 마련하면 공격의 체인이 성공하여 공격대상을 무력화시킬수 있다. 사이버 지휘통제체계는 방어와 공격에 모두 적용되는 체계로 방어시 적의 킬체인을 무력화하기 위한 방어 대응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공격시에는 적을 무력화하기 위한 각 단계별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이버 지휘통제체계의 방어 및 공격 관점의 사이버 킬체인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방어 측면의 사이버 지휘통제제계의 위협 분류/분석/예측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을 고려한 사회공학 사이버킬체인 개념정립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Social Engineering Cyber Kill Chain for Social Engineering based Cyber Operations)

  • 신규용;김경민;이종관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47-1258
    • /
    • 2018
  • 록히드 마틴사(社)에서 제안한 사이버킬체인은 사이버 공격절차를 7단계로 표준화하고, 각 단계별로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공격자가 공격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사이버작전 수행 간 방어에 대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사이버킬체인 모델을 활용하면 기존의 방법들로는 대응하기 어려웠던 지능형 지속공격(APT)에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사이버작전은 목표시스템을 직접 공격하는 기술적 사이버작전보다는 목표시스템 관리자나 사용자의 취약점을 통해 목표시스템을 우회적으로 공격하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술적 사이버작전을 방어하기 위한 기존의 사이버킬체인 개념만으로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사회공학 사이버 작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회공학 사이버킬체인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공격 결과 기반의 웹 취약점 위험도 평가 모델 연구: 사이버 킬체인 중심으로 (A Study on Web Vulnerability Risk Assessment Model Based on Attack Results: Focused on Cyber Kill Chain)

  • 진희훈;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779-791
    • /
    • 2021
  • 보통의 웹 서비스는 불특정 다수에게 허용을 해야하는 접근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고자 기업들은 주기적으로 웹 취약점 점검을 실시하고, 발견된 취약점의 위험도에 따라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웹 취약점 위험도는 국내외 유관기관의 사전 통계 및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 산정되어 있다. 하지만 웹 취약점 점검은 보안설정 및 소스코드 등의 정적 진단과는 달리 동적 진단으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취약점 항목일지라도 다양한 공격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진단 대상 및 환경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전 정의된 위험도는 실제 존재하는 취약점의 위험도와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사이버 킬체인 중심으로 공격 결과 기반의 웹 취약점 위험도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국가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무기 모델 연구 (Cyber Weapon Model for the National Cybersecurity)

  • 배시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3-228
    • /
    • 2019
  • 최근 미국은 미국의 사이버사령부를 사이버 작전에 주력하는 통합전투사령부로 지위를 격상하고, 사이버공간에서의 작전을 강화하고 통합 관리함으로써 사이버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히는 등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다른 강대국들도 사이버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들은 조직과 전력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세계는 자국의 국경보다 자국의 이익을 위한 경제적 힘을 요구한다. 하지만 Cyber World에서는 국경이 없고 국방도 보이지 않는 세계이다. 따라서 국가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공간에서의 우세(방어, 공격)를 위해서는 사이버 무기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무기 운영을 위한 작전절차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이버전쟁에서 승리를 이끌기 위한 최고의 사이버무기를 분석하고 개발하기 위한 사이버무기를 설계한다. 또한 남북과 동서양 대립을 해결하기 위한 사이버무기에 대한 모델을 연구한다.

기업 내 생성형 AI 시스템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Security Threats to Enterprise Generative AI Systems and Countermeasures)

  • 최정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9-17
    • /
    • 2024
  • 본 논문은 기업 내 생성형 AI(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시스템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AI 시스템이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면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AI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는 보안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 AI 보안 위협은 기존 사람을 타겟으로 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과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므로, AI에 특화된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AI 시스템 보안의 중요성과 주요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기술적/관리적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AI 시스템이 구동되는 IT 인프라 보안을 강화하고, AI 모델 자체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적대적 학습 (adversarial learning), 모델 경량화(model quantization) 등 방어 기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내부자 위협을 감지하기 위해, AI 질의응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 징후를 탐지할 수 있는 AI 보안 체계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사이버 킬 체인 개념을 도입하여 AI 모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변경 통제와 감사 체계 확립을 강조한다.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AI 모델 및 데이터 보안, 내부 위협 탐지, 전문 인력 육성 등에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기업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활용을 통해 디지털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효율적인 APT 대응 시스템 운영 모델 (Efficient Operation Model for Effective APT Defense)

  • 한은혜;김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01-519
    • /
    • 2017
  • 진보하는 IT의 혁명적인 기술 발전에 따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위협과 보안 사고는 함께 증가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큰 규모의 APT 보안 사고가 국내와 해외에서 다수 발생 하였다. 특히 보안 사고에 대한 피해 사실을 해당 조직 내부에서 스스로 알기 전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알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4차 산업혁명 등 진보하는 IT 발전과 함께 생성되는 민감한 데이터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 있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고비용을 투자하여 주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접근을 통제하고, 여러 보안 장비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상 징후를 찾아내기 위한 SIEM을 구현하는 등 많은 보안 대책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극도로 지능화된 APT의 경우 내부 침투 사실을 인지하는 것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진보된 APT의 보안위협은 소규모, 대규모 기업 및 공공 기관을 포함하여 전 업계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킬체인 체계에 맞추어 주요 취약점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약점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연구하여 운영 조직의 업무 환경과 운영 인력을 고려한 효율적인 APT 대응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