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선택권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ategorizing Web Image Search Results Using Emotional Concepts (감성 개념을 이용한 웹 이미지 검색 결과 분류)

  • Kim, Young-Rae;Kwon, Kyung-Su;Shin, Yun-Hee;Kim, Eun-Y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62-56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system to categorize web image search results using emotional concepts and to browse the results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The proposed system can categorize search results into 8 emotional categories based on emotion vector, which obtained by color and pattern features. Here, we use Kobayashi’s emotional categories: {romantic, natural, casual, elegant, chic, classic, dandy and modern}. With search results for a given query,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categorized images for each emotional category. With 1,000 Yahoo! search images, we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Yahoo! image search engine in respect of satisfaction, efficiency, convenience and relevance with a user study.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Music Exploring Interface using Emotional Model (감성모델을 이용한 음악 탐색 인터페이스)

  • Yoo, Min-Joon;Kim, Hyun-Ju;Lee, In-K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07-710
    • /
    • 2009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interface for exploring music using emotional model. First, we survey arousal-valence factors of various music and calculate a correlation between audio fefatures of music and arousal-valence factors to build an AV model. Then, various music is aligned and arranged using the AV model and the user can explore music in this interface. To select the desired music more intuitively, we introduce new fade in/out func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s mouse point. We also offer several mode of selecting music so user can explore music using most suitable mode of interface. With our interface, the user can find the emotionally desired music more easily.

  • PDF

Smart Mirror for Styling (스타일링을 위한 스마트 미러)

  • Kang, Su-Bin;Kwon, Seung-Ha;Kim, Yun-Ho;Lee, Soo-Ik;Han, Young-Oh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271-1278
    • /
    • 2021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smart mirrors that virtually select and experience eyeglasses and hair styles on user faces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recommend weather-specific clothes to guide various styles. In addition, makeup is possible while watching the video while looking at the screen. Raspberry Pi, acrylic plate and half mirror film were used to reduce the cost of conventional smart mirrors. It also added basic information such as weather, dates, calendars, and news, and increased user convenience by using a touchscreen.

A Study o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al Reg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를 이용한 문화유적지 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Kim Kam-Rae;Kim Hoon-Jung;Kim Myoung-Bae;Lee Ka-H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353-358
    • /
    • 2006
  • 지자체에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적에 대한 현황이 표시된 종이도면에 대해 스캐닝을 통한 벡터라이징을 수행하여 자료를 전산화하고 지적도와 중첩 표시 되어있는 현황에 맞게 동일좌표계로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러한 기초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의 질의 및 이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도구는 Visual C++, Visual Basic과 지도에 대한 질의 및 화면도시를 위한 기초엔진을 Map Object를 통해 최적화 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의 중요기능으로는 문화유적에 대해 지번 및 반경입력을 통해 유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권 분석, 선택지번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문화재 검색, 최단경로 분석, 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관리대장에 대한 관리기능 등의 주요기능이며 부수적으로 다양한 검색 및 출력을 위해 지번 및 소유자검색, 대장검색, 문화재검색, 도면 및 대장출력, 출력물 연동, 화면이미지 저장 등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An ergonomic evaluation of the computer car (컴퓨터차의 인간공학적 평가)

  • 권영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04a
    • /
    • pp.483-492
    • /
    • 1993
  • 미래의 차의 선택사항이 될 여행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그 성능의 인간공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시스템을 실제로 GM자동차 Oldsmobile Toronado형 100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쉽게, 빨리 그리고 안락하게 갈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좀 더 이것을 인간공학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가를 연구하였다. 100대중 23대는 대학교에서 연구를 하고 나머지는 AAA회사의 회원권을 가진 지역사용자들에게 AAA회사와 AVIS회사를 통하여 대여를 하여 컴퓨터차(TravTek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시험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차에 부착된 컴퓨터의 컬러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도로를 보여주고, 컴퓨터가 최단거리를 제시하여 운전자에게 컴퓨터음성과 화면으로 길을 안내한다. 그 파급효과로 도로 체증현상을 막고, 기름의 낭비도 절약하고, 밤에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처음보는 거리라고 하더라도 컴퓨터가 안내하면서 목적지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러한 시스템을 설치한 차를 타고 여행할 때, 여행자가 과연 얼마나 안락하게 여행할 수 있으며, 도로의 체증현상을 줄이고, 사고를 예방하며, 차의 설계와 목적이 인간공학적으로 합당한 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인간공학적 평가 인자들은 (1) 운전자의 수행도, (2) 사용자 선호도, (3) 사용자 인식, (4) 운행정보등이다. 그리고 컴퓨터음성을 사용하였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두가지 경우와 (1) 움직이는 컴퓨터지도를 사용하였을 때 (2) 단순화한 도로안내를 사용하였을 때, (3) 컴퓨터 지도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종이지도사용)에 관해 위의 4가지 인간공학적 인자들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아직도 진행중이라 발표하고자 하는 논문역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표하는 것이므로 완전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고, 진행과 정의내용과 토의사항과 잠정적인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

  • PDF

FinDID : A DID service supporting the standard service scheme for the financial sector

  • Lee, Young-Eun;Kim, Hye-Won;Lee, M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5
    • /
    • pp.127-138
    • /
    • 2022
  • In this paper, we present FinDID (Financial Decentralized IDentity), a blockchain-based DID(Decentralized IDentity) service that can flexibly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or credentials through a systematic verification method while complying with the standard service scheme of decentralized identity for the financial sector. DID is an identity management system used in a decentralized environment without a specific certification authority, and as a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control their own information, it can realize self-sovereignty over users' own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FinDID, users receive credentials that authenticate their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issuer, select only the claims required by the target financial service using their personal electronic wallet, create presentations from credentials. Then they submit it to the financial service, leading to their qualification from the service. FinDID consists of electronic wallet, credential issuer, credential storage, DID service including DID management contract and credential management contract, and financial services using this service scheme. The DID service manages each user's DID and supports all verification processes of the associated identity management scheme.

User Behavior Model Based on Shooting Photograph Interaction for Funology ; Focused on 'PhoDoSee' Kiosk (퍼놀로지를 위한 사진 촬영 인터랙션 기반에서의 사용자 행태 모델 ; '포도씨'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 Kim, Hanjae;Kwon, Jie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6
    • /
    • pp.643-667
    • /
    • 2014
  • Recently, shooting photographs have become highly popular among general public and been used by various media such as digital camera, mobile, and kiosk. We could find that users prefer to Funology which is combined by fun and hardware technology on emotional point of view. Shooting photographs attracts user participation and makes effect of design to exp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user actions in a electronic kiosk which includes digital photography func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Funology and to bulit user behaviors model. Therefore user group model will be defined, and then interaction design guidelines of shooting photographs will be proposed.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Funology and user interaction with taking photographs are classified to three types which is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Secondly, "Phodosee" kiosk is examined with Funology design elements which have been categorized beforehand. Then user's behaviors which are shown their interaction with "Phodosee" kiosk a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video ethnography based on Funology perspectives. Finally, four persona models are suggested based on user's behaviors as follows; 1) to avoid being taken photography, 2) to try to shoot photography, 3) to participate shooting photography and 4) to lead others to take photography. To summarize this study, effects and limitations of Funology design elements using digital photography are discussed and guideline is suggested to improve user experience design.

A Study on the Interaction Smart Space Model in the Untact Environment (언택트 환경에서의 스마트 인터랙션 공간 모델 연구)

  • Yun, Chang Ok;Lee, Byung Chun;Kwon, Kyung S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89-97
    • /
    • 2021
  •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forced indoor living has increased in the untact era, th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pace environments is increasing. That is, the smart interaction environment for providing services in various spaces collects and processes a number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ensors to provide desi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place and time. In this environment, a new type of interaction paradigm is needed for the user to select and focu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vide guidelines based on models and patterns for designing various interactions around space. Through interaction model-based technology, we provide guidelines for space-oriented interaction design. We propose an ideal interaction environment through guideline-based patterns and templates. Finally, by providing a space-oriented interac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smart interaction, users can freely obtain desired information.

Enhancing harmony of color theme by changing the order of colors (색의 순서 변경을 이용한 색의 조화 개선 방법)

  • Yoo, Min-Joon;Lee, In-K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8 no.4
    • /
    • pp.9-15
    • /
    • 2012
  • Color harmony is affected by order of colors or orderly arrangement as well as harmonious colors themselves. In this paper, we show people perceive the degree of harmon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rderly arrangement of colors. Especially, we use the order of colors in color themes, or color schemes which have been largely used for color selection. We first present the method for harmony calculation of Ou's researches[1][2] and then suggest a method considering minimum color distance of component colors. For a design consisting of multiple colors, we show overall harmony of colors is more important than each harmony of adjacent component colors. By user study, we conclude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enhance the harmony of color theme.

Model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ainwater Management in Building Complexes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 개발)

  • Kim, Ree-Ho;Kim, Young-Min;Lee, Sang-Ho;Kwon,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19-323
    • /
    • 2009
  • 최근 대체수자원 개발, 도시 비점오염과 물순환 체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분산식 빗물관리기술에 대한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수 목적의 빗물이용시설, 치수목적의 우수유출 저감시설, 택지개발사업의 재해저감시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설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치수용 시설에 있어 설계강우에 따른 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외하고는 이수 및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계획, 설계기술은 현재까지도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수목적의 경우 집수면의 토지이용 특성, 용도별 사용수량 및 경제성에 대한 검토 없이 집수면적이나 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 계획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RainCity v1.5 Beta)을 개발하였다. 강우자료는 5분 간격의 설계강우, 시우량 및 일 강우자료를 DB나 사용자 파일로부터 호출하도록 하였으며,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유출계수를 고려한 수문학적 집수면적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현재 버전은 이수 및 치수용 저류조, 침투통, 침투트렌치, 침투블럭 등 장치형 침투시설과 투수성포장 등 지표면 침투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설조합의 설치에 따른 유입/유출량, 침투량 및 사용수량 등 물순환 과정을 모의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시설조합은 규모 시나리오에 따라 목표 기능에 맞는 시설규모들을 선정하고,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경제적인 시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GUI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도를 높이고, 식생형 침투도랑, 생태연못, 중수이용시설과의 연계 등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므로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의 계획 설계 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