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자수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최근에 발생한 외국의 식중독 사례 분석

  • 김종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8.06a
    • /
    • pp.23-36
    • /
    • 1998
  •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고 환경위생상태가 양호한 최근에도 세계 도처에서 끊임없이 식중독이 발생되고 있다. 세계보전기구에 의하면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인간의 건강상의 위해 요인은 식중독을 포함하여 오염된 식품으로 인한 질병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출처에서부터 오염된 식품에 의한 것이며, 그 나머지는 식품을 부주의하게 취급함에 의한 것이다. 실제로 지구상 인구의 일부는 생존을 위해서 먹는 음식물에 의하여 식중독이 야기되어 불필요하게 사망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의 식생활에 있어서 음식물의 취급과 섭취에 주의를 기울이고 올바른 위생 행태를 실천한다면 식중독 발생과 사망,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식중독으로 보고되는 공식적인 추계는 선진국에서조차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이 세계적 전문가들의 지론으로서 대개 실제 발생사례의 10% 정도만이 보고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보고된 통계자료에 의하면 1965년부터 1986년까지의 식중독 경향은 사망자수는 상당히 감소 (연간 40여명에서 10여명 수준으로) 하였으나 이는 아직 급성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자수를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최근 10년간 (1987-1996)에는 발생수가 연간 31-104건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사망자수는 아직도 연간 5-12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감염병 발생정보 등). 1977년에 발생하였던 학교급식 식중독 사례 (1977년 9월, 초등학교 점심급식, 발병자 5,500명 이상, 사망자 1명, 원인식품=크림빵, 병인물질-포도상구균)는 아직도 커다란 교훈으로 남아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이와 같이 공식적인 식중독 통계자료의 결과가 제시되고는 있으나 식중독 사례에 대한 면밀한 사안이 밝혀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OFFICE빌딩공사의 가설공사에 대한 적정비용산정에 관한 연구

  • 진영운;박종근;이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99-205
    • /
    • 1998
  • 최근 우리나라는 건설업의 산업재해자수가 '91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지만 선진국에 비해서 아직 높은 편이다. '96년 건설업의 평균 재해율은 0.81%이며, 사망자수는 전 산업에서 29.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심각한 건설업의 산업재해는 공사 자체의 위험성이 높은 특수성도 있지만, 가설공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낮은 투자가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건설현장의 재해를 줄이고 시공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설공사의 적정한 투자비용을 근원적으로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A Prevention Policy of Significant Explosion Accidents (대형 폭발사고의 예방대책)

  • 차순철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7 no.3
    • /
    • pp.38-41
    • /
    • 2004
  • 지난 4월 22일 발생한 북한의 룡천역 폭발사고로 인하여 사망자수 150여명, 부상자수 1,300여명에 달하는 엄청난 재해가 발생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룡천역을 중심으로 반경 500m 파일이 완파되었으며, 폭발 영향권도 4km에 달하였고 반경 500m 안에는 역사와 학교 및 4-5층 규모의 아파트가 다수 있었기에 피해 규모가 더욱 컸다고 알려 졌다. 1990년대 들어 우리나라도 심대한 대형 재난사고를 당하였다. 성수대교 붕괴(1994), 대구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1995), 삼풍백화점 붕괴(1995), 대구지하철 화재(2003) 등 잇따른 대형 참사는 우리의 위기관리 현실을 되돌아보게 하였고, 국민들은 언제 발생할지 모를 재난에 대한 불안감으로 그 어느 때보다 안전한 나라에 대한 열망이 강한 것이 사실이다.(중략)

  • PDF

An analysis of air a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대기중 총분진과 사망자수에 관한 분석)

  • Kim, 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3 no.2
    • /
    • pp.265-274
    • /
    • 2000
  •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mortality and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for the period of 1996-1997 was examined in Seoul, Korea. Generalized additive model was adapted for the analysis to allow the seasonality and long-term time effect in the air pollution and the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weather variable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 increase of 100 Ji9/m') TSP corresponds to 0.8-5.2 percent increase of the daily mortality Unidirectional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case-crossover design results in large bias of the estimates. Bidirectional method gives relatively unbiased estimates but the standard errors are larger Case-crossover design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data have seasonal trends like air pollution study.

  • PDF

Application of ETA(Event Tree Analysis) to the Performance-Based Design of fire protection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ETA 기법 활용 고찰)

  • Kim, H.B.;Lee, S.K.;Song, D.W.;Kim, K.S.;Kim, J.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54-4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의 성능위주의설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ETA(Event Tre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ETA기법에서는 화재시나리오를 사건(Event)의 인과관계로 된 각 단계의 사건으로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ETA에서 구성된 시나리오에 따른 심각도를 화재시뮬레이션과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행으로 사망자수를 도출하는 방안을 적용하였고, 각 시나리오의 빈도(확률)은 FTA(Fault Tree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분기 확률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ETA에서 도출한 사망자수와 빈도를 이용하여 F-N 커브를 작성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여 소방설계의 보완 및 대책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renewal infrastructure for safe city construction (안전한 도시구축을 위한 도시재생 인프라 개발)

  • Song, Wan-Young;Kim, Jong-Bae;Choi, Jun-Ho;Lee,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1-112
    • /
    • 2017
  • 최근 교통사고 화재 자살 감염병 등 4대 분야는 최근 3년간(2012~2014) 평균 사망자수(26,292명) 대비 '18년까지 4,201명(16%)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지역안전지수 공개에 따라 지자체별 안전사고 사망자수 감축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이 추진 중이다. 안전한 도시구축을 위한 안전 인프라 사업을 지자체별로 도출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사업 콘텐츠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로 사업추진의 성공모델(Best Practice)을 창출할 수 있도록 안전 인프라 사업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안전도시 구축의 전국확산을 위한 지역별 안전관리 대상지를 선정하고 효율적인 국가 및 지자체 예산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Road Accident Trends Analysis with Time Series Models for Various Road Types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추세분석 및 시제열 분석모형 개발)

  • Han, Sang-Jin;Kim, Kew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3
    • /
    • pp.1-12
    • /
    • 2007
  • Road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ir responsible authorities. For example, Motorway is constructed, managed, and operated by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s in charge of National Highway, and Province Roads are run by each province government. Urban/county Roads are run by corresponding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nalyses the trends of road accidents for each road type. For this purpose, the numbers of accidents, fatalities, and injuries are compared for each road type for last 15 years. The result shows that Urban/County Roads are the most dangerous, while Motorways are the safest, when we simply compare the numbers of accidents, fatalities, and injuries. However, when we compare these numbers by dividing by total road length, National Highway becomes the most dangerous while Province Roads becomes the safest. In the case of road accidents, fatalities, and injuries per vehicle km, which is known as the most objective comparison measure, it turns out that National Highway is the most dangerous roads again. This study also developed time series models to estimate trends of fatalities for each road type. These models will be useful when we set up or evaluate targets of national road safe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