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례수정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3초

무강수일수와 강우효과를 고려한 개선된 표준강수지수 개발 (Development of a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by Considering Effects of the Dry Period and Rainfall)

  • 이준원;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4호
    • /
    • pp.409-4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무강수일수를 고려하고, 강수에서 기인하는 지표면유출 효과를 반영한 가뭄해갈에 유효한 강수를 산정하여 기존의 SPI3을 개선한 Modified SPI를 제시하였다. 1973년부터 2009년까지 각종 보고서 및 문헌자료를 통해 실제 발생한 가뭄사례를 수집하여 행정구역별 가뭄공간정보를 생산하고, 동일기간 전국 69개지점에서산정된 가뭄지수를 우리나라 전체 공간으로표현하여각종 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ROC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가뭄지수 제시를 위하여 총 강우량 중단기적인 유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절삭하여 유효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월단위의 무강수일수를 십분위, 누적분포함수로 변형하여 기존의 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분석결과 유출량을 고려한 강우의 절삭은 기존의 SPI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뭄감지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무강수일수를 고려한 가뭄지수의 개선은 누적분포함수의 수치를 고려함으로서 상당히 개선된 가뭄감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기초(基礎)아래 지반(地盤)의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有限要所) 해석(解析)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Behavior of Soil under a Footing)

  • 이영생;김명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67-17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구성 모델인 hyperbolic모델과 Cam-clay모델을 적용하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hyperbolic모델에서는, 전단중의 체적 변형을 고려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기초 아래 지반의 밀도 증가로 인한 매개 변수값의 변화를 고려하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보다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Cam-clay모델을, 연구 사례가 많지 않은 모래질 흙에 적용함으로써 모래질 흙의 거동을 한계 상태 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압밀 배수 삼축 압축 시험과 모형 기초 재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정 hyperbolic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모델보다,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극한 지지력의 50%일때, 기초의 침하량 예측에 있어서 약 60% 정도, 결과의 향상을 기할 수 있었다. Cam-clay모델을 모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과압밀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모델 및 변형률 연화를 고려할 수 있는 계산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초기 포아송비의 크기는 Cam-clay모델의 경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hyperbolic모델의 경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초기값의 선정에 신중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Tool in Higher Education -A case of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 university-)

  • 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33-50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의의 질 제고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강의평가 문항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의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영역 및 요소, A대학의 현행 강의평가 도구의 내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제안된 개선안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문항의 구성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강의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좋은 강의의 특징을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도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요소 등과 관련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넷째, 강의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산술평균으로 결과를 제시할 수 없더라도 관련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현행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페르마 점'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using Fermat Point -)

  • 윤준호;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35-3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페르마 점'을 활용하여 중학교 일선에서 영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 담당 교사들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그 적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영재 교수 학습 모형, 영재프로그램의 유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 후 교수 학습 자료의 소재 및 주제로 페르마 점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를 현장에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과학수업 자기비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반성 수준의 변화 (Changes of the Reflec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a Self-review in Science Class)

  • 김향숙;최병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89-40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수업 자기비평 과정에서 초등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경험에서 드러난 반성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로써, 2인의 초등 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자신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를 통하여 자기비평 과정을 거쳤다. 연구에 참여한 두 초등교사는 반성적 글쓰기를 통한 수업비평을 경험하면서 비평의 관점과 빈도에서 어느 정도의 변화를 보였는데, 그러한 변화는 각 교사의 수업 경험과 자신이 처한 교육적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비평에 따른 피드백에 의해 나타나는 반성의 수준은 두 교사 모두에게서 높은 수준으로의 큰 변화를 보였는데, 수업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변화나 학생에 대한 이해, 동료 교사의 수업 관찰과 같이 수업의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인식은 수업 중 반성 혹은 수업 후의 반성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반성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PDF

공공개방데이터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 박고은;김창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35-146
    • /
    • 2015
  • 공공데이터 개방은 민간을 포함한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이용하여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신(新) 산업, 일자리 창출로 창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공공데이터 개방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정책이며, 개방의 성공 사례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공공개방데이터는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품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와 표준화의 미흡으로 인한 오류데이터 발견 및 활용성 저하 문제가 제기되며,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데이터 품질과 공공데이터 품질, 공공 서비스 품질에 관한 복합적 시각을 적용한 연구를 통해 개방 공공데이터가 갖춰야 할 품질 특성에 대해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모델을 수정 및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특성으로 공공성, 활용성, 신뢰성,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활용 활성화를 위해 갖춰야 할 품질 특성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어신문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과 적용 연구 (Metadata Elements Design and Application for Japanese Newspaper 'Chosunsibo' Issued in Colonial Korea)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37-1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어 신문 중 자료의 방대한 양이나 사료로서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문기사 검색이 불가능한 『조선시보』의 메타데이터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일제강점기 신문DB구축 현황과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2) 『조선시보』의 형태적·내용적 특성을 파악한 다음, (3)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한 기본원칙을 정한 후 『조선시보』에 적용할 메타데이터 요소 및 인코딩 스킴, 통제어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설계(안)은 (1) 데이터 입력 테스트를 통한 검토 및 수정, (2) DB 전문기관의 자문, (3) 관련 표준 및 관련 사례와의 crosswalk 작성 등의 과정을 거쳐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보』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요소의 개발 및 이를 토대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기 개발까지로 설정하였다.

정보통신 서비스 확산의 대체, 보완현상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인터넷, 휴대전화, 유선전화를 중심으로 (A Cross-country Study on Diffusions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 The Internet, Mobile Phone, and Telephone)

  • 이종수;이민규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1-16
    • /
    • 2006
  • 인터넷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서 기존의 통신 서비스 시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서 음성 중심의 통신 서비스에서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로 이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표적인 정보 통신 서비스인 유선전화, 휴대전화, 인터넷 서비스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선전화, 휴대전화와 인터넷의 확산과정을 기술들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여러 국가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75년부터 2002년까지의 국가별 시계열 자료(time series data)를 이용하여 수정된 로지스틱 성장모형(modified logistic growth model)을 통해 통신 기술의 확산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통신기술 간의 상호관계가 국가적으로 어떤 형태를 보이고 있는 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통신 서비스의 확산과정을 토대로 신규 통신 서비스가 출현했을 때의 수요예측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를 도출하며, 인프라 투자의 비중이 높은 네트워크 산업의 시장진출 전략에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쏘일네일의 토압분담효과를 고려한 그린월 시스템의 설계 및 시공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Green Wall System considering Distribution Effect of Earth Pressure by Soil Nail)

  • 박시삼;조성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7
    • /
    • 2006
  • 1960년대 초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그린월(green wall)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국내의 경우, 옹벽 전면 가로보 사이의 공간에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장점이 있어, 1999년 이후 국내실정을 고려 원지반의 토공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쏘일네일 등으로 보강하여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린월 옹벽과 배면에 보강된 쏘일네일이 합벽시공될 경우, 네일에서의 토압분담효과 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Rankine 토압으로 설계, 시공하여 이중으로 보강공사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ddot{a}$ssler(1988)가 제안한 'Two-Body Translation Mechanism(TBTM)'을 이용한 안정해석기법을 수정하여, 네일의 토압 분담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기법을 적용하여 그린월의 보수, 보강공사 비용을 상당부분 감소한 현장설계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기법을 토대로 계산된 토압을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 PDF

지속 가능한 개발 : 규모와 적절성의 문제들 (Sustainable Development : Issues of Scale and Appropriateness)

  • Buttimer, Anne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1-556
    • /
    • 1997
  • 유럽의 한 연구 프로젝트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란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생태학적이 가치관을 지속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환경정책의 적절한 규모의 기준을 세우기 위하여 지난 40년간의 경험으로부터 배우려고 하였다. 독일, 아일랜드, 네덜란드 및 스웨덴 연구팀으로 구성된 이 프로젝트는 1950에서 1990년 사이에 사람들의 사는 방식과 경관이 지역적, 기능적, 사회정치학적인 면에서 어떤 규모로 변화했는지를 조사연구하였다. 그 프로젝트의 중심 주제는, 경관변화, 지역성에 기초를 둔 생활양식과 분야별 (직업)계층에 기초를 둔 생활양식간의 마찰 (긴장), 및 재량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의 변화를 포함한다. 이 강연은 아일랜드의 Tipperary지역의 사례연구에서 얻어진 실례를 설명함으로써 외부관계정책 및 시장주도에서 생겨나는 영향력을 요약하려 한다. (이 강연에는) 비교문화적인 연구가 암시하는 점들과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환경정책을 입안하는 것이 요약되어있고, 유럽연합의 차원에서부터 개별국가라면 국가네의 지역이나 소지역 차원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알맞게 수정수용하도록 하는 제안이 포함되어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