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랑경험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소통으로서의 사랑 - 듀이의 미적 경험을 중심으로 - (Love as Communication: Focusing on Dewey's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 주선화
    • 철학연구
    • /
    • 제130권
    • /
    • pp.337-361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듀이의 미적 경험을 통해 오늘날의 사랑 관념을 재구성해 보려는 데 있다. 사랑을 과학화하거나 이상화하는 근래의 사랑담론은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사회학자들의 진단을 경험적으로 입증한다. 전자는 생물학과 생리학에 토대를 두고, 사랑을 두뇌의 화학적 작용으로 다룬다. 후자는 미디어가 만들어낸 가상을 사랑의 원형으로 간주하고, 현실의 사랑을 대체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주체가 대상을 파악하거나 이해하거나 갈망하는 것으로 사랑을 간주하는 것은 협소한 경험 개념에 기초를 둔다. 그것은 경험을 구체적인 상황에 공동으로 참여함으로써 겪고 행하는 문제가 아니라, 인식하고 이해하는 문제로 보는 것이다. 그러한 경험 개념 속에서는 각각의 사랑 경험이 갖는 고유성과 질성이 간과된다. 각각의 사랑 관계의 고유성과 질성이 간과될 때, 사랑은 자본주의의 논리 위에서 작동하는 앞선 두 양식에 포섭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듀이의 미적 경험에 주목하면서, 사랑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모색해 보려고한다. 필자는 사랑이 정서적 소통에 기초한 미적 경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경험될 때, 사랑의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경험이 우리 삶의 실제적 변화와 성장의 동력이 된다고 본다. 나아가 이러한 소통적 경험은 사적영역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동체의 변화도 이끌 수 있다고 제안한다.

대학생의 사랑경험 조사 분석 (The Survey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Experiences)

  • 정민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59-7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experiences for this research, 1000 students participated by cyber lectures "marrige & families" and "sex & l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ir first romantic experiences started in middle school(18.5%), high school(32.7%), or university(39.4%). Their first romantic experiences disappeared after one year. University students' first romantic experiences were universal and were made into a proximity principle. (2) University students' one-sided romantic experiences were 78%, but they loved someone senior to them or friends. They fell in love by attraction to character or appearance. University students' one-sided loving processes were made into friendship and the higher eye-level liking. (3) University students dated every day. They experienced the following sexual behaviors: kissing(90.2%), embracing(94.7%), or intercourse(34.7%.) Their dating life was made into a proximity principle. (4)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an emotional change from break-ups: solitude, longing, or regret, but their coping strategies were immersion in study or leisure, or meeting friends. They(70%) got over it and dated some body else.

청소년의 성관계와 피임

  • 배진솔
    • 레드리본
    • /
    • 통권59호
    • /
    • pp.36-37
    • /
    • 2004
  • 성관계를 경험하는 연령이 점차 어려지고 있다. 사랑한다면 '성관계'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요즘 청소년들,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로 임신, 성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을 하는 걸까?

  • PDF

'아해 사랑' 어머니 양육 공동체 이야기 (Story of Mothers' Child Rearing Community, "Love of Children")

  • 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99-3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어머니들이 만든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다. '아해 사랑'은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시소와 그네'의 '어머니 학교'에 참여했던 어머니들이 만든 양육 공동체로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1기~ 5기 어머니 51명 중 연구에 참여를 원하는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및 집단 인터뷰, 영상자료 및 기타 데이터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 어머니들은 공동체 모임의 구성하고, 운영하는 과정에 어머니들은 '시소와 그네'의 '어머니 학교' 출신이라는 것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으며, 양육 공동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들은 친목도모, 정보공유, 유아들과 어머니들을 위한 봉사활동, 그리고 더 나은 양육을 위한 학습을 하였다. 어머니들은 양육 공동체 '아해 사랑'이 생각하고 반성하는 나로 바꿔주고, 어머니들과의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고, 삶의 주도권을 회복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 어머니들이 능동적으로 만든 양육 공동체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머니의 양육경험 이야기 :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양육을 중심으로 (The Story of Grandmothers' Experience Raising Children)

  • 김윤숙;전연우;조희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5-208
    • /
    • 2012
  • 본 연구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을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의 양육을 경험한 세 할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할머니의 양육경험은 양육 환경의 변화, 양육 문화의 변화, 양육가치관의 변화로 크게 3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양육 환경의 변화는 '혼자 하는 양육에서 성인 자녀와 함께 하는 양육으로', '체력으로 이겨낸 양육에서 체력이 달리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양육문화의 변화에서는 '전통을 답습하는 양육에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는 양육으로', '보편적인 양육에서 차별화된 양육으로', '계획되지 않은 양육에서 계획된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가치관의 변화에서는 '무조건적 사랑의 양육에서 사랑과 훈육이 조화된 양육으로', '학습최우선의 양육에서 건강최우선의 양육으로', '조바심 내는 양육에서 기다려주는 양육으로'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 환경, 양육 문화, 양육 가치관에 따라 과거와 현재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경험이 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경험적 지식과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영역 검출 (Face detection using heuristic knowledge and neural network)

  • 서원택;조범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228-231
    • /
    • 2003
  • 본 논문은 그레이 영상에서의 사람얼굴 영역추출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얼굴영역 추출은 얼굴인식이나 사람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비디오 감시시스템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전처리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해서 얼굴영역을 추출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사랑얼굴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여 후보영역을 획득한 다음에 두 번째 단계에서 후보영역을 웨이블릿 분해 후, 신경망을 이용하여 후보영역 중에서 얼굴영역을 검증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얼굴영역을 검출하였다.

  • PDF

세계의 결혼 풍속

  • 허용선
    • 건강소식
    • /
    • 제30권2호통권327호
    • /
    • pp.34-36
    • /
    • 2006
  • 결혼하여 가정을 갖는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는 한 구성단위를 이루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종족을 이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결혼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이다. 나라마다 결혼 풍속은 다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신랑과 신부에게 축하하는 마음은 똑같고 두 사람이 사랑과 행복으로 가득한 가정을 이루기를 기원한다. 그동안 90개국을 두루 다니며 여행을 하는 동안에 지구촌의 흥미로운 결혼 모습을 여러 번 보았다. 경험했던 흥미로운 결혼 풍습을 소개한다.

  • PDF

무엇이 유능한 수학교사를 만드는가 -예비 초등교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127-128
    • /
    • 2003
  • 본 고에서는 교육대학의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들이 학생으로, 교생으로의 자신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그들의 관점에서 본 수학에 대한 생각과 유능한 수학교사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보면 유능한 수학교사는 수학교과에 대한 수학 지식은 물론이고 수학교수에 대한 열정과 함께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 PDF

성교통

  • 황경진
    • 건강소식
    • /
    • 제28권9호통권310호
    • /
    • pp.12-13
    • /
    • 2004
  •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하는 성교 시에 오히려 통증을 느낀다면 참 난처한 일이다. 성교통은 성교 전후나 혹은 성교 시에 성기뿐만 아니라 하복부에서 불쾌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인데 심한 경우엔 성교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증으로 인해 성교 기피증으로까지 진행된다. 2/3의 여성에게 한 번 쯤은 경험 할수 있는 것으로써 병원에서 상담하는 가장 많은 성문제 중 하나이다.

  • PDF

여성 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대상화된 전형화를 넘어서기 (A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Marriage Immigrants' Marital Life: Beyond Objectified Typification)

  • 박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73-1784
    • /
    • 2015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관점에서 결혼생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론적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결혼이주민의 결혼생활 경험의 의미는 '사랑, 그 다양한 빛깔의 끌림', '남편, 참 좋은 사람', '맞닥뜨린 현실', '자녀, 안정과 기쁨 그리고 버거움',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내라는 남편', '부대끼고 아련한 시부모와 친정부모', '결혼은 나의 힘: 노력하게 하는 원동력', '결혼생활을 넘어 공동체로' 이렇게 8가지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결혼생활의 의미는 사랑에 끌려 결혼한 참 좋은 사람과 낯설고 두렵지만 부대끼면서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나가기였다. 이는 결혼이민자를 대상화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전형화를 넘어서는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