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구

Search Result 8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충청남도의 해안사구

  • 강대균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51-55
    • /
    • 2003
  • 해안사구는 사빈으로부터 모래를 공급받아 형성되는 지형이다. 사빈은 조차에 비해 파랑의 작용이 활발한 해안에 발달한다. 해안사구는 일반적으로 모래의 공급이 풍부하고 바람이 탁월한 해안에 광범하게 발달된다. 우리나라와 같은 온난ㆍ습윤한 지방의 해안사구는 대부분 직생으로 덮여 있다. 식생은 해안사구의 발달을 돕는다. 사빈과 해안사구는 해수욕장으로 이용되어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중략)

  • PDF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Recurrent Subungal Glomangiomyoma - Case Report - (재발성 손톱밑 사구맥관근종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 증례보고 -)

  • Lee, Sang Young;Lim, Tae Kang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 /
    • v.8 no.1
    • /
    • pp.16-20
    • /
    • 2015
  • Glomus tumors are rare benign neoplasm commonly found in the subcutaneous layer on nail bed that arises from a neuromyoarterial glomus. Histologically,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solid glomus tumor, glomangioma, and glomangiomyoma which is the most uncommon. Unlike other type, glomangiomyomas have rarely been described in the nail bed. Although glomus tumors are often diagnosed primarily by their characteristic clinical symptoms, imaging modalities, such as ultrason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be helpful. We present a rare case of a recurrent subungal glomangiomyoma that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and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 PDF

An Automatic Extraction Method of Glomerulus Region from Human Renal Tissue Image (신장조직영상에서 사구체 영역의 자동 추출법)

  • Kim, Eung-Kyeu;Lee, Cho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6.06a
    • /
    • pp.21-2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신장조직 영상에서 사구체 영역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구체 조직은 신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구체 영역의 추출은 신장 검사를 자동화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그러나 사구체 영역을 단순한 2치화 방법으로 직접 추출함은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우선, 가우스 함수에 의한 원영상의 빛바랜 영상을 동적인 임계값으로 사용함으로써 원영상을 2치화한다. 다음으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간단한 영상처리 기법에 의한 사구체 영역의 경계 에지를 포함하는 모든 에지를 추출한다. 그 다음으로 사구체 영역의 경계 에지를 판별함으로써 사구체 영역을 추출하였다. 이 방법은 다수의 샘플에 적용해서 유효성을 확인한 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Foredune by Sand Fences - A Case of Shindu Coastal Dune Area - (사구울타리 설치 후 해빈과 전사구의 지형 변화 - 신두리 해안사구를 사례로 -)

  • SEO, Jong Cheo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1
    • /
    • pp.85-93
    • /
    • 2010
  • After the notorious Taean Oil spill in Dec. 2007, a series of sand fences made of fishing net were installed in front of foredune in Shindu dune area.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foredune. About 1m high sand accumulated around sand fences for the last 2 years. While a lot of sand deposited during the winter season (from autumn to spring), small amount of sand eroded and deposited during summer season (from spring to autumn) without big morphological changes. These results mean that sand fences help nature deposit sand near beach and foredune area.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nges using RS and GIS techniques in Shinduri coastal dunefield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구지대의 지형변화 분석)

  • Seo, J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1
    • /
    • pp.98-109
    • /
    • 2002
  • The long term land-cover changes and the pattern of morphological changes in foredune ridges and unvegetated dunes were investigated for about 30 years through analysing aerial photographs in Shinduri coastal dunefield, Korea. As a result, forested dune area increased while unvegetated dune area decreased continuously since 1967. Foredune ridges retreated landward about 80m away from the former coast-line in the middle part while they advanced seaward after construction of dike in the northern part during last 3 decades. Unvegetated dunes in the middle part of the dunefield were eroded at seaward side and moved landward away. These facts mean not only coastal dune area has been affected by man-made effects such as afforestation and coastal developments but also shinduri coastal dune area has been stabilized by plants and has been negative sediment budget.

  • PDF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 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

  • Song, Hong-Seon;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3
    • /
    • pp.290-298
    • /
    • 2007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diversity, zonation of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by TWINSPAN classification and DECORANA ordination, executed with Sinduri coastal dunes of Korea, are as follows: The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of coastal dunes formed a noticeably clear zonation structure. The beach in the direction of the coastline saw a lot of appearance of Salsola komarovi and the primary dune was dominated by 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Carex pumila formed a colony at flat area of the sand hills and Calamagrostis epigeios was widely distributed at the wet slack. The secondary dune was dominated mostly by Ischaemum anthephoroide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it showed an aspect of the distribution of Vitex rotundifolia and Rosa rugosa. while the hinterland hillside in the direction of inland was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thunbergii. However, Carex kobomugi, known as the pioneer species of the coastline-bound areas at the coastal dune, dominantly occupied the secondary dune of the rear side and continentally-inclined Miscanthus sinensi and Oenothera biennis of naturalized plant were irregularly spread over the whole of the coastal dune, so the stabilization of micro-topography seemed to be uncertain. Particularly, Miscanthus sinensis was predicted to be changed into dominant species of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and slack having a commonly high species gathering inclination with the more progress of stabilization of the coastal dune. The expansion of sand hill wetlands and roads located between the primary dune and secondary dune was judged to have an effect on the zonation structure of plant distribution.

The Geomorphology and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of Sagye Coastal Dune,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사계 해안사구의 지형과 퇴적물 특성)

  • Seo, Jong-Cheol;Sohn, My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6
    • /
    • pp.631-644
    • /
    • 2006
  • The study area is a pocket beach which consisted of sandy beach, dune, agricultural land and residential area etc. The coastal dune area is classified to foredune, dune plain, secondary (or back) dune. The foredune area is covered by herbaceous dune plants(ex. Carex kobomugi, Wedelia prostrata, etc.), whereas the dune plain area is covered by herbs and shrubs(Vitex rotundifolia). The most inner area, secondary dune, is planted by pine forest(Pinus thunbergii). The mean size of the beach and dune sediments ranges from 1.1 to $1.8{\Phi}$, which mean these values are higher than normal sediments. Sorting and Skewness is $0.6{\sim}-1.2{\Phi}$ and $-2.7{\sim}1.6{\Phi}$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soil formation process in the secondary dune area has been progressed rapidly from the analysis of fine grain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and CEC.

  • PDF

Two-Level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Identify Maximal Noun Phrase in Chinese (두 단계 학습을 통한 중국어 최장명사구 자동식별)

  • Yin, Chang-Hao;Lee, Yong-Hun;Jin, Mei-Xun;Kim, Dong-Il;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53-61
    • /
    • 2004
  • 일반적으로 중국어의 명사구는 기본명사구(base noun phrase), 최장명사구(maximal noun phrase) 등으로 분류된다. 최장명사구에 대한 정확한 식별은 문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정확한 구문 트리(parse tree)를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두 단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최장명사구 자동식별을 진행한다. 먼저 기본명사구, 기본동사구, 기본형용사구, 기본부사구, 기본수량사구, 기본단문구, 기본전치사구, 기본방향사구 등 8가지 기본구를 식별한다. 다음 기본구의 중심어(head)를 추출해 내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최장명사구의 식별을 진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단어레벨의 접근방법과는 달리구레벨에서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주변문맥의 정보를 많이 고려해야 하는 최장명사구 식별에 있어서 아주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다. 후처리 작업을 하지 않고 기본구의 식별에서 25개 기본구 태그의 평균 F-measure가 96%, 평균길이가 7인 최장명사구의 식별에서 4개 태그의 평균 F-measure가 92.5%로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An Extraction method of Glomerulus Region from Human Renal Tissu Image (신장조직 영상에서 사구체 영역의 추출법)

  • Kim Eung-Kyeu;Lee Soo-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310-31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신장조직 영상으로부터 사구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구체 조직은 신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구체 영역의 추출은 신장 검사를 자동화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그러나 사구체 영역을 단순한 2치화 방법으로 직접 추출함은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우선, 가우스 함수에 의한 원영상의 빛바랜 영상을 동적인 임계값으로 사용함으로써 원영상을 2치화 한다. 다음으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간단한 영상처리 기법에 의한 사구체 영역의 경계 에지를 포함하는 모든 에지를 추출한다 그 다음으로 사구체 영역의 경계 에지를 판별함으로써 사구체 영역을 추출하였다. 이 방법은 다수의 샘플에 적용해서 유효성을 확인한 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제주도 협재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형성시기와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의 구성성분

  • Kim, Jin-Gyeong;U, Gyeong-Sik;Kim,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4-13
    • /
    • 2004
  •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협재리에는 대부분 탄산염퇴적물로 이루어진 해안사구가 분포하고 있다.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은 연체동물과 홍조류의 조각이 약 8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외에 저서성 유공충, 성게류와 태선동물의 조각, 그리고 화산암편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주도에 분포하는 여러 탄산염 해빈퇴적물의 입자조성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탄산염 입자들은 천해에 서식하던 해양생물들에 의해 생성되며, 그 각질이 해빈으로 운반되고 바람에 의해 재동되어 사구를 형성하였다. 특히 이 연구지역의 사구가 분포하는 지점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는 협재 해수욕장에는 현재에도 천해에서 생성된 많은 양의 탄산염 해빈퇴적물이 퇴적되어 있으며, 제주도의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빠른 북동${\sim}$북서방향의 바람이 불고 있어, 퇴적물을 해빈에서부터 사구형성지점으로 운반시키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구를 절개하여 그 단면을 관찰한 결과, 전반적으로 희미한 수평층리와 사층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뚜렷한 퇴적구조는 관찰되지 않는다. 퇴적물의 입자들은 주로 직경이 $0.27{\sim}0.40mm$로 중립질 모래에 해당한다. 이 크기의 입자들은 가장 침식이 잘 될 수 있는 입자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해빈으로부터 퇴적물이 운반될 때에 특히 이 크기의 입자들이 차별적으로 더 많이 운반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퇴적물 입자의 크기와 구성성분의 함량은 각 사구의 전 층준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사구가 형성되는 기간 동안 탄산염퇴적물을 운반한 바람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일정하였음을 지시한다. 해안사구의 형성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구의 기반을 이루는 고토양층과 사구 최하부와 최상부의 탄산염퇴적물에 대해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구의 형성시기를 지시하는 고토양의 연령은 $680{\sim}720\;BP\;(1,200{\sim}1,300\;AD)$로 측정되었으며,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의 연령은 전 층준에서 모두 약 3,500 BP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약 3,500 BP에 천해에서 생성된 탄산염퇴적물이 해빈에 분포하다가 $1,200{\sim}1,300\;AD$에 바람에 의해 재동되고 현재의 위치에 쌓여 사구를 형성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사구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시기는 전세계적으로 춥고 바람이 세었던 Little Ice Age ($1,300{\sim}1,820\;AD$)에 해당하며, 따라서 해빈에 분포하던 많은 양의 탄산염퇴적물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운반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