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과(沙果)

검색결과 1,633건 처리시간 0.028초

사과원에 서식하는 포식성 이리응애류(Acari: Phytoseiidae)의 종류 및 생태 (Phytoseiid Mites (Acari: Phytoseiidae) from Korean Apple Orchards and Their Ecological Notes)

  • 정철의;김시용;이순원;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5-195
    • /
    • 2003
  • 이리응애류는 잎응애류 뿐 아니라 녹응애류, 총채벌레 등 많은 해충들의 중요한 포식자이다. 최근 2년간(2001-2002) 경북과 수원지방 사과원에 서식하는 이리응애류를 조사한 결과, 순이리응애속의 12종과 대중이리응애속의 1종 등 총 13종의 포식성 이리응애류가 조사되었다. 우점도는 긴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북방이리응애(A. rademacheri), 동양이리응애(A. orientalis), 알락이리응애(A. makuwa) 순이었으며, 긴틸이리응애와 동양이리응애는 사과 잎에서, 북방이리응애와 알락이리응애는 주로 지면잡초에서 발견되었다. 사과 IPM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류의 이용에 관한 의견 및 각 종의 주요 서식처와 기초적 생태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13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2013-2014년도 경북 북부지역 사과 주요 병해 발생조사 (Survey of Major Diseases Occurred on Apple in Northern Gyeongbuk from 2013 to 2014)

  • 천원수;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61-26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주요 사과 산지를 대상으로 재배 중에 발생하는 병해의 발병상황을 조사하고 병원균을 조사하였다. 경북 북부지역의 주요 사과 재배지에서 발병하는 주요 병은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가지마름병이었다. 특히 2013년에 비해 2014년에는 갈색무늬병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10월의 강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된다. 점무늬낙엽병과 탄저병, 겹무늬썩음병도 모든 포장에서 발병되었다. 또한 P.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가지마름병의 발병이 지역에 따라 10-20% 정도 발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과 재배에 있어 주요병해에 대한 중점 방제 대상 병해를 선정하여 관리하여야 하며, 또한 근래 문제되지 않았던 P.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가지마름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및 방제 연구가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과의 총 페놀함량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 황혜정;한완수;윤광로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377-383
    • /
    • 2001
  • 사과에 분포하는 페놀계 물질의 총 함량을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4품종을 각각 5개 지역에서 수집한 20개 종류의 사과를 시료로 가장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천연재료 줌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광광도법인 Foline-Dennis법, Prussian-blue법 그리고 vanillin-HCI법을 각각 시료에 적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chlorogen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한 Folin-Dennis법이 사과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

포장재가 ‘후지’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Freshness Extension of ‘Fuji’Apple to Packaging materials)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최주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5-350
    • /
    • 2001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사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코자 사과를 포장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 기능성 MA필름과 50배로 발로시킨 EPS 상자에 사과를 15kg씩 포장하며 포장재간의 신선도 유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40일 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 EPS 상자는 0.5%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06과 2.31mg%로 EPS 포장구가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의 경우 대조구는 상자당 3-5개과가 발생했으나 EPS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펙틴의 곁사슬에 의한 유변학적 성질에 대한 모델 (Modeling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Pectins by Side Branches)

  • 신해헌;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83-589
    • /
    • 2002
  • 펙틴에서 곁사슬의 정도가 다르게 제조된 사과펙틴과 토마토펙틴을 이용하여, 낮은 층밀림속도에서부터 높은 층밀림속도까지 적용이 가능한 유변학적 모델을 구하고자 하였다. 지수법칙모델, Cross 모델, Carreau 모델을 실험값에 비교하여 본 결과, Carreau 모델이 가장 적합하였다. 모델식에서 얻어진 층밀림속도 0에서의 점도$({\eta}_0)$는 곁사슬의 정도가 큰 사과펙틴의 경우에는 곁사슬이 많은 sample II가 적은 sample I보다 크게 나은 반면에 곁사슬이 적은 토마토 펙틴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값은 사과펙틴보다 크게 나타났다. 모델식의 계수를 펙틴농도에 대한 지수함수로 표현하여 펙틴에서 곁사슬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곁사슬이 많은 사과펙틴은 토마토펙틴에 비해 유변학적 성질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스프레이국화재배지의 사과뿌리썩이선충과 침선충의 발생 및 피해 (Damage and Occurrence of Pratylenchus vulnus and Paratylenchus sp. on Spray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urm Kitamura)

  • 이재국;박병용;최동로;허재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73-478
    • /
    • 2008
  • 국화재배 포장에서 시들음증이 발생한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의 종류와 발생 밀도 및 국화의 품질과 수량 피해 정도를 구명하였다. 구미 원예수출공사의 대규모 유리온실에서 발생한 식물기생선충의 종류는 사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 침선충(Paratylenchus sp.), 환선충(Criconemoides sp.)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사과뿌리썩이선충의 평균밀도는 토양 100 g당 667마리, 침선충은 716마리로 나타났고, 토양깊이별 분포는 $0{\sim}30$ cm사이에 87%가 분포하였다. 사과뿌리썩이선충의 국화 생육 기간의 밀도 변동은 정식전 토양 100 g당 854마리에서 정식 10주후에 토양 100 g과 뿌리 1 g에서 14,985마리로 17배 증가하였다. 국화 생육은 정식 10주후 무감염구에서 비해 초장은 8%, 생체중은 24.8% 감소하여 뿌리썩이선충이 국화 품질 및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통전가열(Ohmic Heating) 처리조건에 따른 사과주스의 가열속도 변화 (Changes in Heating Profiles of Apple Juice by Ohmic Heating)

  • 김경탁;최희돈;김성수;홍희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31-436
    • /
    • 1998
  • 통전가열(ohmic heating)을 사과주스의 가열 살균에 적용해보기 위하여 가열기 형태와 전압, 파형, 주파수 등 전기적 요소가 사과주스 모델용액의 통전가열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00 VAC, 60 Hz의 상용전류를 이용한 통전가열시 컬럼형 가열기에서 전극간의 간격이 29, 22, 17 mm로 줄어듬에 따른 모델용액의 가열속도는 $7.8,\;21.0,\;47.4^{\circ}C/min$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전극의 수를 병렬로 1, 2, 3쌍으로 증가시킬 시에도 $29.2,\;49.8,\;74.6^{\circ}C/min$으로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전극의 간격이 작을수록, 전극의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가열속도는 크게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0\;Hz{\sim}60\;kHz$ 범위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가열속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파형에 따른 가열속도는 positive saw tooth wave를 제외하고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전압을 40에서 100 VAC로 높임에 따라 가열속도는 $9.5^{\circ}C/min$에서 $83^{\circ}C/min$로 크게 증가하여 전압과 가열속도는 정비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전가열과 상업적 살균방법으로 제조한 사과주스 간에는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가 없었다.

  • PDF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사과 주스의 Patulin 감소 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Decreases in the Patulin Level of Apple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백창호;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4-9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사과의 주스 가공과정에서 patulin 함량 최소 방법을 모니터링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으로 ascorbic acid 첨가량(100, 200, 300 및 400 ppm)과 활성탄 사용량(50, 100, 150 및 200 ppm)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건에서 사과주스를 제조한 결과 patulin 잔류량은 ascorbic acid 함량 237.77 ppm, 활성탄 함량 106.58 ppm에서 최소점을 나타내었다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활성탄 사용량보다는 ascorbic acid 첨가량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성 물질 함량의 정상점은 안장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나타나 ascorbic acid와 활성탄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사과주스 가공시 patulin 잔류량은 ascorbic acid 246~274 ppm (v/v), 활성탄 93~122 ppm (v/v)에서 최소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과주스 가공 품질인자의 $R^2$는 모든 구간에서 1~10%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사과의 Hemicellulose가 Ca-Pectate Gel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e Hemicellulose on the Ca-Pectate Gel Formation)

  • 김영지;김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7
    • /
    • 1988
  • Fuji 사과의 hemicellulose가 사과 Ca-pectate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hemicellulose를 $HF_1$(1N KOH 가용성), $HF_2$(2N KOH 가용성), $HF_3$(3N KOH 가용성), $HF_4$(4N KOH 가용성)으로 분획한 후 다시 gel여과 정제하여 사과 Ca-pectate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uji hemicellulose는 KOH의 농도가 1N에서 4N로 증가됨에 따라 hexose peak은 점차 저분자쪽과 고분자쪽의 용출이 증가되었으며 pentose peak는 특히 고분자쪽의 용출이 증가되었다. Gel여과에 의하여 분획된 hemicellulose는 분자량 1만${\sim}$143만에 이르는 $8{\sim}10$개의 peak로 구분되었으며 사과 Ca-pectate gel 형성시에 첨가시킨 결과 고분자보다 저분자쪽이, pentose보다 hexose와 uronic acid가 많이 함유된 쪽에서 gel의 hardness, adhesiveness 및 gumminess 가 증가되었다.

  • PDF

수확 후 과실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 및 방제 II. 사과, 배, 귤, 포도의 저장중에 발생하는 Penicillium 독소 검출과 방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Fruits. II.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Penicillium Mycotoxins Producing Pathogen in Storaged Fruits (Apple, Pear, Citrus and Grape))

  • 백수봉;정일민;유승헌;김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4
    • /
    • 2000
  • 1. 저장 중 Penicillium에 이병된 사과, 배, 귤, 포도를 TLC 및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patulin만 검출되었고,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patulin 독소는 사과에서 $5.68\;{\mu}46.81\;{\mu}g/g$, 배에서 $3.48{\sim}84.71\;{\mu}g/g$, 귤에서 $0.16{\sim}0.27\;{\mu}g/g$검출되었으나 포도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2. 과실류 Penicillium 저장 중 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과, 배, 귤에 대하여 sodium hypochloride gas처리나 열처리$(37^{\circ}C)$에 의하여 방제효과가 켰으며 특히 열처리$(37^{\circ}C)$는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처리에 의한 장해를 보면 열처리$(37^{\circ}C)$에서는 장해가 발생하지 많았으며 sodium hypochloride gas 처리에는 배, 귤에서 장해가 나타났으나 사과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