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고대비물질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Establishing a system for monitoring chemical complex (화학단지 모니터링체계 구축방안 연구)

  • Lee, Jun-Woo;Chun, Young-Woo;Cho, Myeong-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02-303
    • /
    • 2016
  • 최근 화학사고는 '10년 15건에서 '15년 111건으로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이는 기존 산업시설의 노후화와 더불어 사용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사고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재난사고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위험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히 위험을 감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단지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위험물질 정보를 구축하였다. 또한 실시간 기상정보의 취득 및 처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화학단지 내 바람장 분석을 통해 지점별로 풍향, 풍속을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형, 지물을 고려한 화학사고 발생시 그에 따르는 영향범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Benzene Leakage Accidents using the KORA Program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한 벤젠 누출사고 피해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 Cha, Jeong-M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4
    • /
    • pp.112-120
    • /
    • 2019
  • Benzene is a class 4 hazard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Hazardous Substances. This study qualitatively evaluated the damage size of a "toxic" accident and "pool fire" accidents based on benzene in a virtual scenario of a fire and leakage accident during unloading at a port facility. The KORA program was used as an evaluation method, which is supported as a universal program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The range of damage effects of a benzene-induced fire and leakage accident was predicted. In the case of toxic damage range, the accident's damage effect range for the "worst case scenario" was reduced by up to 5.11% with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In the case of the leakage time, the damage effect range increased to 145.12% with a 10 min leakage time compared to that of a 5 min leakage time and went up to 20 min (212.29%) with a 20 min leakage time. In the case of pool-fire-induced damage,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was 228.8 m 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handling facility. In the "alternative scenario," the damage effect range by radiant heat was reduced by up to 8.26% compared to that in the "worst case scenario" since the size of the leakage hole was decreased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Improvement on the System of Information to the Public for Chemical Accident Emergency Response (화학사고 응급정보에 대한 주민제공 체계 개선 방안)

  • Park, Hyesong;Song, Chi-sun;Shin,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571-579
    • /
    • 2019
  • To minimize the damage from chemical accidents, a risk management plan (RMP)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5.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operators who handle more than the designated quantity of the accident preparedness chemicals should provide emergency response information to the public within the affected areas of accidents. The information, including chemicals, affected areas and evacuation instructions should be provided to the public in advance so that they can evacuate immediately in the event of a chemical accident. Currently, the information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in various methods by being registered in the notification system, sent with written documents or delivered directly to the public.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operation method, this study analyzed similar cases overseas, investigat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the number of the annual visitor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obtained survey results from some residents. This current operation method are problems because the public, who do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chemicals, do not underst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properly o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where the residents should find this information because of the convenient oper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r. In this study, measures were proposed to minimize the damage by making it easier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ommunicated appropriately in advance by dividing them into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ost manage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in the Workplace (유해화학물질 취급작업장의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Jeong, Gyeong-Sam;Baik, Eun-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1
    • /
    • pp.12-19
    • /
    • 2014
  • Workplace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are scattered, because of old-aging facilities are have been operating for more than 20 years, there is still has the risk of an accident.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 and strengthen regulation of chemicals, but the frequent leak accidents have become a big issue socially. In the case of subsequent domestic accidental chemical accident, the government and related departments for the overall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system has been checked and improved. In this study, improvements of the related system and the plan of safety management for o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and the initial response were suggested throughout the analysis of problems on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management and such as standard of the related systems for handling, management for occurring the main cause of the leak and chemical accidents from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in the workplace.

Effect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on the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Paronychiurus kimi (Collembola: Onychiuridae)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이 김어리톡토기의 사망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

  • Wee, June;Lee, Yun-Sik;Son, Jino;Kim, Yongeun;Mo, Hyoung-ho;Cho, Kij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5 no.2
    • /
    • pp.169-174
    • /
    • 2017
  •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were investigated on Paronychiurus kimi (Collembola), for evaluating the potential effects of accidental exposures of these chemical substances on the terrestrial environme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 toxicity database for these chemical substances, which was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damage. The 7-d acute toxicity and 28-d chronic toxicity were conducted using the OECD artificial soil spiked with varying, serially diluted concentration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Mortality was recorded after 7-d and 28-d of exposures, and the number of juveniles were determined after 28-d of exposure in the chronic toxicity test. In both assessments, methanol was more toxic than methyl ethyl ketone in terms of mortality ($LC_{50}$) and reproduction ($EC_{50}$). The 7-d $LC_{50}$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were 762 and $2378mg\;kg^{-1}$ soil dry wt., respectively, and the 28-d $LC_{50}s$ were 6063 and $1857mg\;kg^{-1}$ soil dry wt., respectively. The 28-d $EC_{50}$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were 265 and $602mg\;kg^{-1}$ soil dry wt., respectively. Comparison of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th literature data revealed that P. kimi was more sensitive to methanol than other soil invertebrates. However, given the high volatility of the chemicals tested in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test guideline, or to develop new test guidelines for an accurate assessment of chemicals that require toxicity databases for chemical accidents.

Analysis of impacts on domestic rivers due to exposure of radioactive materials nearby countries (인접국 방사성물질 누출로 인한 국내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Oh, Dae Min;Jung, Se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1-551
    • /
    • 2017
  • 우리나라와 동아시아는 경제 성장에 따른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증가하는 대부분의 전력수요를 원자력으로 대체하고자 원전을 통한 전력생산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 중국은 13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며, 동남 해안지대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건설 중인 원전은 27기로 전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전의 41%를 차지한다. 원전의 증가에 따른 방사능 누출에 대한 위험성 역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중국 중서부지역에서 방사능이 누출될 경우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로 이동하는 모의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전 사고 발생 시 사흘 만에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이 방사성 물질로 뒤덮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누출된 방사성물질은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이동하게 되며, 일부는 낙진으로 유역 또는 하천에 유입되고 일부는 동해를 지나 일본으로 이동 할 것이다. 그동안 중국에서의 방사능 누출사고를 통한 방사성물질의 국내유입에 의한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텐완에서 원전사고 발생시 국내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환경다매체 모형을 이용하여 방사성물질(세슘, Cs-137)의 영향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다. 중국 텐완원전에서 방사성 Cs-137이 누출되어 춘천지역에 도달하였을 때의 대기중 농도 $5,650Bq/m^3$로 가정하여 모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모의 지역은 북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7개의 중권역과 549.3 km의 하천이 포함되었다. 다매체 모형 모의를 통해 방사성물질 낙진으로 인한 Cs-137이 북한강 수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북한강수계의 팔당댐 부근의 오염농도를 모의하였다. 우리나라의 원자력시설 방호 방재법에 따른 상수원 취수기준(먹는물)은 100 Bq/L로 되어있다. 본 연구의 시나리오 모의결과, 모의 1일차에서 45 Bq/L, 모의 8일차에는 먹는물 기준 100 Bq/L를 초과하여 최대 119.56 Bq/L로 오염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따라서, 반감기가 큰 방사성물질을 유입으로 오염된 하천은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높은 처리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인접국 또는 국내의 방사능 누출로 인한 상수원 오염 발생에 대비한 초기/중 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PDF

CPQRA를 이용한 위험물질의 누출에 따른 독성인자평가

  • 이수길;이내우;최재욱;설수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59-64
    • /
    • 1997
  • 화학관련분야의 공정안전에 관하여 오랜 역사를 가진 AIChE는 관련산업분야의 안전규정을 예방적인 측면과 사고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근원적인 자료를 제시하였고 1955년 AIChE에 의해 설립된 CCPS(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는 이에 관한 기술적인 면에 더욱 발달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런 정보들 가운데 사업장의 위험물질이 지니고 있는 위험성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관하여 CPQRA(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1) CPQRA는 양적인 의미에서 위험성의 정의, 분석, 평가, 통제 및 관리방법 등에 대비해 잠재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중략)

  • PDF

Distribution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for Noxious Gas Disaster in Korea (유독가스 발생 재난을 대비한 국내 고압산소기의 배치)

  • Wang, Soon-Joo;Kang, Poor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81-382
    • /
    • 2022
  • 국내에서 1980년대까지 연탄을 에너지로 많이 사용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이 빈번하여 고압산소치료가 활용되다가 이후 연탄 사용의 감소로 고압산소치료기가 대부분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후 세월호 사고에서의 잠수사들에 대한 고압산소치료 적용, 가스누출이나 번개탄을 활용한 자살시도가 빈번해지며 고압산소치료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 부족해 적절한 치료를 제 때 받지 못하여 고압산소치료기의 필요성이 되두되었다. 국내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한해 36,266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2020년에 365명이 화재로 사망하며, 화재로 인한 손상은 1,917건이었는데. 화재 시 여러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압산소치료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규모 오염, 다양한 교통수단에서의 대형 사고, 건축물 붕괴 사고 및 대규모 지진, 화산폭발 같은 자연재해 시에도 가스 중독이 발생하며, 이는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피해자에게 고압산소치료는 필수적이나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에는 고압산소치료챔버의 숫자와 동시에 고압산소치료로 수용할 수 있는 환자수에도 한계가 있고 그 분포의 불균형도 존재하고 있어 재난 시 인명 피해 감소의 기반 장비, 시설로서 고압산소챔버의 균형있는 확산,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 전국적으로 고압산소챔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그 현황과 배치 상황을 조사하여 이를 통하여 고압산소챔버가 필요한 유독가스 발행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Eun-Bang;Yun, Jong-Hwui;Chung, Sang-T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10
    • /
    • pp.857-864
    • /
    • 2012
  • Reviewing the statistics of harbor ship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and the past spill accidents of HNS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risks of transportation of HNS through the major harbors in Korea. Ulsan, Yeosu, Daesan port are relatively evaluated high risk in fire, health and environment disaster.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preparedness to HNS accidents, the supplement of expertise resource to respond the vulnerability of the explosion, the fire and the physiological hazard, is required. Based on this risk assessment and review of the advanced case of Japan in building up HNS response system, a resource model at a national level was proposed which differentiates the sea area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resources to respond effectively to HNS acciden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