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뿌리구조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초

노니(Morinda citrifolia L.) 부정근의 효능평가와 지표물질 탐색

  • 김명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8
  • Morinda 속 식물은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관목으로서 전세계 8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그중 노니는 2000년 전부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식품, 향신료, 음료, 자양강장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뿌리, 줄기, 잎, 열매의 식물체 전체 부위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열매는 주스 등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배양된 노니 부정근을 재료로 하여 항알러지의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지표물질로 rubiadin을 선정하였으며 이물질에 대한 정제방법 및 구조분석을 통해 정성, 정량적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항알러지 효능에 대한 측정 결과 노니 부정근 조추출물 $100{\mu}g{\cdot}mL^{-1}$에서 약 85%의 높은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고 이를 분획 추출한 후 분획물별로 histamine 및 $TNF-{\alpha}$ 발현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층 분획물에서 효과가 우수하였다. 노니 부정근 조추출물이 함유한 유효성분들 중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한 후 preparative LC로 분취하여 항알러지 효과가 높은 분획물을 얻었다. HPLC로 분취한 화합물을 GC/MS/MS, LC/MS-IT-TOF,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rubiadin을 확인하고 이 화합물을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니 부정근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몇 가지 식물(植物) 중(中)의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에 관(關)하여 (IV)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in Some Plants (IV))

  • 김종균;최두문;문형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4-222
    • /
    • 1989
  • 석회암(石灰岩)지대의 두 지점(地點)에서 채집(採集)한 103종(種)(41과(科))의 식물뿌리 표본(標本) 중에서 9종(種)(95.1%)에서 VA mycorrhizae가 발견되었다. 그 밖의 5종(種)에서는 균근(菌根)구조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 종(種)들은 다음과 같은 과(科)에 속하는 것들이다 : Equisetaceae, Davalliaceae, Amaranthaceae, Ericaceae. 이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석회암(石灰岩)지역이 아닌 두 지점(地點)에서 채집(採集)한 124종(種)(51과(科))의 표본(標本) 중에서 99종(種)이 VA mycorrhizae였다. 25종(種)은 Nonmycorrhiza였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은 16과(科)에 속하는 것이었다 : Equisetaceae, Pteridacaea, Davalliaceae, Cyperaceae, Commelinaceae, Polygonaceae, Chenopodiaceae, Phytolaceaceae, Amaranthaceae, Aizoaceae, Portulacaceae, Caryophyllaceae, Fumariaceae, Cruciferae, Ericaceae and Rubiaceae.

  • PDF

석회암 지대 참나무속 식물에 공생하는 외생균근균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Ectomycorrhizal Fungal communities Colonizing Quercus spp. in Limestone Areas of Korea)

  • 이종철;박혁;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9-118
    • /
    • 2021
  • 국내 석회암지대에 서식하는 참나무류의 뿌리에서 외생균근균(ectomycorrhizal fungi, ECM)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분자분석을 통해 참나무류에 공생하고 있는 45속의 ECM을 확인하였다. ECM의 종 다양성 지수는 pH, 칼슘 농도, 유효인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질소 함량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군집분석 결과 석회토양의 특징인 pH와 칼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ECM은 Sebacina, Tomentella, Tuber, Densospora, Inocybe, Suillus, Piloderma속에 속하는 균주들 이였으며, 이들은 토양 안정성이 약화된 석회암지대의 생태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피복 인자의 수문물리적 영향 (Hydrophysical effect of vegetation cover factors on soil erosion)

  • 신승숙;박상덕;손상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3-343
    • /
    • 2023
  • 식생피복(Vegetation cover)은 대기 중의 강우와 토양 사이에서 침식으로부터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낙하하는 강우의 물방울은 식생을 통과하면서 차단(interception), 수관통과(throughfall), 수간유하(stemflow)의 형태로 변화한다. 식생은 강우입자의 운동에너지와 수량을 감소시키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지표유출(overland flow) 저감에 기여한다. 유출수의 흐름과정에서 식물의 줄기, 낙엽, 뿌리 등은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토양침식은 감소한다. 토양침식은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지수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식생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잎의 모양 등에 따라 수문물리적인 반응이 달라진다. 캐노피를 갖는 지상식물(canopy cover plant)은 물방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면, 지피식물(ground cover plant)은 낙하고가 작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적으며, 특히 낙엽층은 지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침식의 저감효과가 더욱 크다. 산불지역의 식생피복에 따른 토양침식 측정 자료에 따르면, 강우운동에너지는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피복(canopy cover)에 의한 감소보다는 지면피복(ground cover)과 낙엽피복(litter cover)에 의한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식생피복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의 손실량보다 침투량 증가에 의한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낙엽피복에 대한 강우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낙엽의 피복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토양침식량은 감소하였다. 낙엽 피복율의 40% 이상은 토양침식량을 현격이 감소시킨 반면, 피복율의 70% 이상은 지표유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낙엽 피복율이 70%이상이면, 유출계수가 33%가 감소하였으나, 토양침식민감도는 94%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지오콤 비탈면 보호공법의 활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d Slope with Geocomb)

  • 안원식;김철문;김억기;김영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7-43
    • /
    • 2012
  • 일반적으로 수면과 접해 있는 호안이나 제방의 법면은 강우 침투로 인해 지반이 포화되어 침식에 약하고 유수로 인한 붕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사면 및 호안 제방을 축조할 경우, 비탈면 침식 및 세굴로 인해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보호용 보강재를 설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법면보호 보강재 중에서 기존의 3차원 지반보강재인 지오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보강재로 개발된 지오콤의 원지반과의 마찰특성, 수평투수능력, 식생의 뿌리활착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중형전단시험 결과, 지오콤 보강지반의 내부마찰력은 기존 보강지반의 강도정수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평투수시험에서도 기존의 보강재보다 수평투수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셀 끝단의 구조가 기존 보강재와 달리 날카로운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셀의 내부표면이 망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 연구 - 경기지방 모래하천의 사례 -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 A Case of the Sand Streams in Kyonggi-Do District-)

  • 김혜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5-230
    • /
    • 2005
  • 모래하천의 물리적$\cdot$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연환경이 유사한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조사$\cdot$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결과 청미천과 양화천의 생태성은 "양호$\sim$보통", 복하천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대상하천은 공통적으로 사행과 퇴적작용이 활발한 반면 침식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하천의 중점조사구에 대한 식물조사결과물과 가장 인접한곳(정수역)으로부터 갈풀$\rightarrow$달뿌리풀$\rightarrow$갈대$\rightarrow$버드나무$\rightarrow$물푸레나무$\rightarrow$아까시나무$\rightarrow$신나무 군락 순으로 발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 공통종은 청정지 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무의하루살이, 검은 물잠자리 등이며, 우점종은 실지렁이와 깔따구과 sp. 1이었다.

콩과(科) 식물(植物) 주변(周邊)의 토양(土壤)에서 발견(發見)되는 VA-mycorrhizae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ound in the Soils around the Roots of the Leguminous Plants)

  • 김준태;김종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1-182
    • /
    • 1992
  • 콩과(科)식물 주변의 토양에서 발견되는 VA-mycorrhizae를 동정(同定)하기 위하여 공주대학교 주변에 서식하는 10종(種)의 콩과(科)식물들을 대상으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집된 뿌리를 염색한 결과, 10종(種)의 콩과(科)식물 모두에서 균근(菌根)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VAM 포자(胞子)의 현미경적 형태와 포자벽 구조 및 부착 균사의 특징을 중심으로 포자를 동정(同定)한 결과, 4속(屬) 12종(種)의 포자를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 Acaulospora denticulata, A. scrobiculata, Gigaspora margarita, Glomus australe, Gl. constrictum, Gl. convolutum, Gl. diaphanum, Gl. flavisporum, Gl. glomerulatum, Gl. manihotis, Gl. tortuosum, Sclerocystis microcarpus. 이들 중 3속(屬) 7종(種)은 국내에서 미보고된 종(種)으로 새로이 기재하는 바이다 ; A. denticulata, Gl. australe, Gl. constrictum, Gl. convolutum, Gl. diaphanum, Gl. flavisporum, S. microcarpus.

  • PDF

페루 남동부 아뿌리막주 트라피체 동-몰리브데늄 광상의 지질 및 광화작용 (Geology and Mineralization in Trapiche Cu-Mo Deposit, Apurimac State in Southeastern Peru)

  • 양석준;허철호;김유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525-536
    • /
    • 2015
  • 트라피체 프로젝트는 현재 탐사단계 중 후기(Advanced exploration)단계의 프로젝트이며 안다우아일라스-야우리 광상구 연변에 나타나는 다양한 반암 광상 중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이 광상은 몬조나이트 반암의 관입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올리고세 각력 파이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광상이다. 광화작용은 일차 유화광물인 황철석, 황동석, 반동석 및 휘수연석으로 구성된다. 2차 유화광물인 휘동석, 코벨라이트, 다이게나이트가 산출되며 산화동으로서 공작석, 흑동석, 적동석등이 산출된다. 침출작용(lixiviation)이나 부화과정 결과로서, 광화작용은 비전형적인 누대구조를 보여주기도 한다. 각력과 반암이 나타나는 구역에서는 수직적인 누대구조를 보여주는데, 북쪽 인근에서는 침출대, 2차부화대, 전이대 및 초생광화대가 나타나고 광상의 서쪽에서는 산화대 및 혼합대가 좁게 나타난다. 광상의 추정자원은 920 Mt @ 0.41% Cu이며 한계품위는 0.15%로 산정하고 있다.

이천 도자기 산업의 이원적 공간 형성 및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Dualistic Space and Networks of the Ceramic Industry in Icheon, Korea)

  • 주기완;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6-572
    • /
    • 2015
  •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전통도자기를 재현 및 계승하는 전승도예 공간과 대학 도자공예 교육에 기반을 둔 현대도예 공간이 혼재되어 나타나 이원적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천 도자기 산업의 발달경로와 네트워크 실태 분석을 통해 전승도예와 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점차 전승도예 공간에서 전승-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전승도예의 발달경로는 점차 쇠퇴하는 한편, 기존의 전승도예 발달경로를 기반으로 새로운 현대도예 발달경로가 창출되어 점차 이천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둘째, 전승도예와 현대도예는 기업 간 관계와 기업 외 관계 측면에서 상이한 양상을 띤다. 셋째, 정부는 대학교와 이천 도자기 업체(주로 전승도예 업체)간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 행정적 지원 역할과 네트워크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PDF

인삼(Panax ginseng)에 존재하는 Calcium Oxalate 결정체의 분포, 유형 및 미세구조 (Occurrence, Type and Ultrastructure of Calcium Oxalate Crystals in Panax ginseng)

  • 이상욱;권우생;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13-218
    • /
    • 2002
  • 본 연구는 인삼에 존재하는 calcium oxalate 결정체의 분포 위치, 형태 및 미세구조에 관하여 밝히고자 광학현미경, 조직화학적 방법 및 주사 전자현미경적 방법 등을 사용하여 연구 하였다. 인삼의 결정체는 calcium oxalate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결정체는 몸통뿌리, 지근, 뇌두, 줄기, 장엽병, 소엽병, 꽃대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지상부는 잎에서,지하부는 뇌두에서 가장 많은 결정체가 관찰되었다. 인삼에 존재하는 결정체는 silver nitrate-rubeanic acid를 사용한 조직화학적 반응을 실시한 결과 calcium oxalate치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삼각뿔 형태의 결정체가 다수 모여서 형성된 유형, 프리즘 형태의 소결정이 모여서 형성된 유형 및 얇은 판상의 소결정이 모여서 형성된 유형 등 3가지 형태로 구분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