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빗물자원화시설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경사지 빗물자원화 시설의 안정성 검토방안 연구 (Stability Analysis of Rainwater Resources Facilities on the Slope)

  • 윤용철;윤성욱;임재운;오태한;김영주;서원명;유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79-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빗물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여 대상 단면에 대해서 그 운영과정을 가정하여 안정해석 방안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안정해석에서는 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인 상황을 가상하여 실제 지반조사 자료를 근거로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이상상황에 대한 해석결과보다는 정상상태로 운용하는 경우에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조의 규격결정시 토질조사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뇨처리방법의 비용 및 에너지소비 비교 (Comparing Night Soil Treatment Processes in Aspects of Cost and Energy Consumption)

  • 유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3호
    • /
    • pp.38-45
    • /
    • 2008
  • 서울에는 아직도 생활하수와 빗물이 함께 흘러가는 합류식 하수관거가 많다. 합류식 관거 지역의 모든 건물은 화장실 세정수로부터 고체상 물질을 분리해서 저장하는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다. 정화조는 연 l회이상 청소를 해야 하며 수거된 분뇨는 처리시설을 필요로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분뇨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에는 1일 3,549kL의 시설이 부족하다고 한다. 이 부족한 부분을 어떤 시설로 확보할 것인가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현재와 같은 하수병합방식에 의해 1일 3,549톤의 분뇨를 처리할 때는 연간 64억원의 비용이 소요되고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준으로 처리하면 연간 700억원으로 비용이 급격히 증가한다. 전력량소비량에서는 각각 연간 260만kWh, 8,161만kWh로 비용보다 더 큰 차이가 예성된다. 결국 하수처리시설에서의 분뇨의 병합처리는 비용적 환경적 측면에서 크게 유리한 방법이었다.

  • PDF

분뇨수거량 평가방법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Sludge's Volume Collected from Septic Tank Cleaning in Seoul)

  • 유기영;조인성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4호
    • /
    • pp.138-146
    • /
    • 2007
  • 서울시에는 아직도 생활하수와 빗물이 함께 흘러가는 합류식 하수관거지역이 많다. 이들 지역의 모든 건물들은 화장실 세정수로부터 고체상 물질을 분리해서 저장하는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다. 정화조는 연 1회 이상 청소를 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분뇨가 수거된다. 수거분뇨는 처리시설이 필요로 하며, 과부족이 없는 처리시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래에 발생할 분뇨수거량을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분뇨수거량의 예측방법을 검토하였다. 여러 가지 예측인자 중 건물연면적이 가장 신뢰할 수 있었고, 수거분뇨는 처리 시설이 필요로 하며, 과부족이 없는 처리시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래에 발생할 분뇨수거량을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분뇨수거량의 예측방법을 검토하였다. 여러 가지 예측인자 중 건물연면적이 가장 신뢰할 수 있었고, 분뇨수거량이 꾸준하게 증가해서 2020년 서울시에서는 1일 13,149kL이 발생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BOD의 변화도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