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빗물받이 막힘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sign of Street Grate Inlets with Consideration of Clogging Condition (막힘 현상을 고려한 도로의 격자형 빗물받이 유입구 설계)

  • Jang, Suk-Jin;Song, Ju-Il;Kim, Jung-Soo;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51-1255
    • /
    • 2006
  • 도로 조건에 따른 빗물받이 유입구의 설치간격, 적정크기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빗물받이 설계 시, 빗물받이 유입구의 통수능력을 저하시키는 빗물받이 유입구의 막힘 현상을 고려한 빗물받이 유입구의 합리적인 설계와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빗물 배제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시 홍수피해의 경감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리식을 이용하여 우수유출량을 계산하고, 빗물받이 차집효율 실험을 통하여 산정된 빗물받이 규격별 차집유입량 경험식을 이용하여 빗물받이의 차집유입량을 산정하였다. 막힘 현상을 고려한 빗물받이 유입구의 찻집효율 분석 실험을 실시하여 제시되어진 막힘 계수를 이용하여 빗물받이 유입구의 막힘 현상을 고려한 도로의 격자형 빗물받이 유입구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Excel을 이용하여 간략하게 프로그램화 하였다. 제시된 설계방법은 실무에서 도로 조건의 변화와 빗물받이의 막힘 현상을 고려한 빗물받이 유입부의 설계에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Clogging Factors Estimation of Grate Inlets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 빗물받이의 막힘계수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Jung Soo;Kwon, In Sup;Yoon, Sei Eui;Lee, Jong T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B
    • /
    • pp.179-186
    • /
    • 2006
  • Effective interception area of street grate inlets was decreased by clogging with trash, debris, and sand. It also decreased the interception capability of grate inlets and increased the inundation area in stre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logging characteristics and interception capability change by clogging for appropriate design and management of grate inlets.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be changed the gutter transverse slopes, longitudinal slopes of street and clogging condition of grate inlet ($40{\times}50cm$) was installed for this study. 81 tot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8 different clogging condition. The interception capacities of grate inlets clogged curb direction are smaller than those of clogged flow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slopes of street increase, the interception capacity of grate inlet decreases due to splash-over phenomena. This is also observed at grate inlets which has no clogging condition. In general, 50% of clogging factor was selected in design of grate inlet in foreign country. The clogging factor for same clogging condition are suggested 0.25~0.65 in domestic urban area.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stimation of Clogging Factors at Stormwater Grate Inlets with Consideration of Urban Area Characteristics (도시 지역특성을 고려한 빗물받이 유입구의 막힘계수 산정)

  • Kim, Jung-Soo;Song, Ju-Il;Yoon, Sei-Eu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5-598
    • /
    • 2007
  • Urban storm water collection and conveyance systems are critical components of the urban infrastructures. During a storm event, street grate inlets are usually loaded with debris by the first-flush runoff volume. Grate inlets are subject to clogging effects. Effective interception area of grate inlets was decreased by clogging. It also decreased the interception capacity of grate inlets and increased the inundation area in stre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logging characteristics and interception capacity change by clogging for appropriate design and management of grate inlets. In this study, field surve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debris and clogging pattern of grate inlet in 9 areas. The clogging factor with consideration of urban area characteristics was estimated with the field survey results.

  • PDF

Risk Evaluation of Tree Root Intrusion into Sewer Network (하수관망의 나무뿌리 침입 리스크 평가)

  • Han, Sangjong;Shin, Hyunjun;Hwang, Hwank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9 no.6
    • /
    • pp.693-70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at a roadside tree root intrudes sewer network systems. Two approach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ree root intrus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ree roots that had invaded sewers were directly observed by means of closed-circuit television inspection robot. Second, the intrusion proportions of tree root into rain gutters in the sampling area were investigated. As tree species of low intrusion propor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kgo biloba Linn. and Acer buergerianum Miq. were 1.7% and 4.3%. On the other hand, tree species of high intrusion proportions were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et Cheng,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and Zelkova serrata Makino as 22.2%, 20.4%, and 17.6% respectively. In particular, sewers and gutters around Zelkova species should be the focus of maintenance work because of the high proportion of these trees on roads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