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점오염물질 관리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Guideline(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 Chung, Sang-Joon;Woo, Hyo-Seup;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8-1042
    • /
    • 2007
  • 수변완충지대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하도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토양, 동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이루는 자연공간이다. 수변완충지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생태통로 및 서식처, 강턱의 안정, 토양침식 방지, 경관 개선 등이며 하천의 일부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점오염 저감과 하천 생태서식처 조성분야에서의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수변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생태 치수 측면에서 효율적 조성 및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이 분야에서 기술적 정책적으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정부에서는 농무부(USDA)를 비롯하여 환경처(EPA), 내무부(USDI), 공병단(US ARMY)의 관련 산하기관, 각 주정부의 담당부서에서 수변완충지대의 보전과 조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라인에서는 수변완충지대가 필요로 하는 기능별 최소 폭, 식생 종별 구성, 식생배열 등을 제시하며 그 기준은 조성 목적이나 기능, 대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기능별 최소 폭은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m{\sim}61m$이상, 생태서식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0m{\sim}1,000m$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식생 종은 수변완충지대 폭을 상 중 하단부로 나누어 초본, 관목, 교목류로 식재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입부에서 초본을 통한 부유고형물 등을 여과하고, 목본류의 뿌리와 토양을 통해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을 저감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NPS Pollution Reduction on Application of SRI (SRI 벼재배기술 적용에 따른 논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평가)

  • Park, Woon-Ji;Seo, Ji-Yeon;Won, Chul-Hee;Park, Ki-Wook;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3-2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비담수재배를 기초로 하는 SRI(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벼 재배방법을 우리나라의 논 농업에 최초로 적용하여 관개기간동안 유출되는 오염부하량과 기존의 담수재배인 관행 시험포에서 유출되는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여 저감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처리는 대조구인 담수재배(관행) 1처리(재식거리 $30{\times}15cm$)와 SRI 재배($30{\times}30cm$, $40{\times}40cm$, $50{\times}50cm$) 3처리로 2반복으로 하여 가로 5 m, 세로 15 m 크기의 논 시험포를 총 8개 조성하였다. 그리고 관개기간동안(2010년 5월부터 9월) 관개량, 강우량 그리고 강우 유출량 측정하고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관행재배의 시비와 제초 등의 포장관리는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진행하였으며, SRI 재배의 경우 물관리를 제외하고 관행재배와 동일하게 영농관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총 63회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이중 20 mm 이상의 강우는 17회로, 일 강우량은 20.5 mm에서 195 mm의 범위를 보였다. 강우 모니터링 결과, 20 mm 이상의 강우에서 유출이 발생하였다. SRI 시험포에서의 유출계수는 0.74~0.83 범위로 관행시험포의 유출계수인 0.83~0.92 범위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시험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5~13%의 유출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SRI시험포의 SS, $COD_{Cr}$, $COD_{Mn}$, BOD, TN, TP의 총 오염부하량은 각각 874 kg/ha, 199.5 kg/ha, 47 kg/ha, 13 kg/ha, 36.9 kg/ha, 2.92 kg/ha 로서 관행 시험포의 오염부하량에 비해 15.8~44.1 %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를 보였다. 특히 SRI 벼재배기술 적용 시 SS 및 BOD와 같은 유기물의 오염부하량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Model for the Selenga River Basin, Mongolia (셀렝게강 유역 통합물관리 모델 개발)

  • Park, Sang-Young;Lee, Gwang-Man;Ko, Ick-Hwan;Mun,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80-484
    • /
    • 2008
  • 셀렝게(Selenga)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세계최대의 담수호로 알려진 러시아 바이칼호로 유입되는 국제하천으로서 소비에트 연방해체 이후 계획경제가 무너지면서 다양한 물환경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몽골의 경우 도시개발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나 처리시설의 미비로 인한 오폐수 배출 및 무분별한 광산개발에 따른 수질오염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으며, 러시아(브리아트공화국)는 계획경제의 붕괴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처리시설의 부족 및 운영의 비효율성, 산림자원의 개발에 따른 비점오염부하의 증가 등의 수질문제 해결이 요구된다. 몽골은 자연적인 특성상 광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지표수 성상 및 매우 적은 강우량으로 인한 수자원의 부족, 지역별로 극심한 물공급량의 불균형, 산업개발에 따른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를 포함한 수자원 부족이 해결해야할 현안과제이고, 러시아는 수자원은 매우 풍부하나 공급시설의 낙후 및 비효율적인 운영으로 인한 물 공급 시스템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물 환경관리 체계를 보면 양국 공히 대내적으로는 이용 및 공급 주체별로 분화된 물 관리체제로 인해 부문간 통합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셀렝게강 상 하류 물이용 개발, 수질보전 및 수생태계보호와 연관된 문제해결을 위한 몽골과 러시아간의 국제적인 협력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경제개발에 따라 최근 수질오염 및 물이용 개발과 관련된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이를 지역, 국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조정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이해당사자의 인식제고 및 자체적인 관리능력 배양을 위한 역량강화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지역에서 기초현황조사, 물 환경현안 파악, 물 관리정책 및 체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DPISR(Drivers-Pressures-Impact-State- Response) 분석이 가능하도록 물환경관리와 연관된 물환경상태, 현안, 원인, 영향 및 대책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며, 해외의 주요 국제하천의 물 환경관리모델에 대한 사례분석 및 비교연구를 통해 물이용 및 개발과 관련된 이해상충 조정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Pollutants Removal Efficiency of Rainfall-runoff from Dense Highland Field Areas in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 Focused on Jaun Area in Upstream Watershed of Lake Soyang - (고랭지 밭 밀집지역 다단계 침사지의 강우-유출 오염물질 제거 효율 - 소양호 상류의 자운지구를 중심으로 -)

  • Cho, Jae 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2
    • /
    • pp.170-180
    • /
    • 2018
  • Highland fields are concentrated in the Jaun area of Hongcheong-gun, a large amount of sediments are discharged from the highland fields. The sediment runoff affect the turbidity and water quality of the Soyang Lake, furthermore adversely affect water supply source of the capital region. There are several kinds of BMPs(Best management practices) to decrease the sedimentrunoff from the highland fields. Although construction cost of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is very high, there is no actual survey data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suspended sediments and water quality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stormwaterinflow and outflow of the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were survey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were analyzed. The stormwater survey results fortwo rainfall events show thatremoval efficiencies of SS, BOD and TP loads in the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are 35%~62%, 24%~55%, 35%~58%, respectively. Although the measured efficiencies of the basins were lower than the theoretical efficiency, the proper operation and management can improve the removal rate of the basins. Turbid water problem in the upper parts of the Soyang River can be managed effectively through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multistage sedimentation basins.

Evaluation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Highway Rest Area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지역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 Kim, Jeong-Hyun;Kang, Hee-Man;Ko, Seok-Oh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4
    • /
    • pp.131-137
    • /
    • 2010
  • The stormwater runoff from rest areas in highways are known as more polluted compared to highways because of more vehicle activities.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d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the rest areas in the magnitude of statistical pollutant concentrations during storms. Wash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from rest areas by monitoring of rainfall, runoff rate and runoff samples were evaluated. High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runoff were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runoff and rapid decrease thereafter, indicating that first-flush effects are clearly occurred. Event Mean Concentrations(EMCs) of TSS, COD, TN, and TP are estimated to be in the range of 31.04-127.11mg/L, 35.5-369.5mg/L, 2.62-9.86 mg/L, and 0.53-1.96mg/L, respectively. Heavy metals in runoff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possibly due to the abrasion of brake pad or tire while cars are slowly moving for parking. EMCs of total Pb, total Cu, and total Ni are in the range of $1206-16293{\mu}g/L$, $237-7906{\mu}g/L$, and $53-6372{\mu}g/L$, respectively. Pollutant loading per rest area calculated by using EMC, flowrate and target area is also described for each pollutant.

Nutrient Budget and Dam Effluence in Asan Bay (아산만 내 방조제 배출수와 영양염의 물질수지)

  • Jeong, Yong Hoon;Cho, Min Kyun;Lee, Dong Gi;Doo, Sun Min;Choi, Hyun Soo;Yang, Jae 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5
    • /
    • pp.468-482
    • /
    • 2016
  • To understand variations in the seawater quality of Asan Bay over four seasons for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we applied two methods: an in-situ observation of water quality and a comparison study of nutrient budgets among three parts (No. 1, 2, and 3) of Asan Bay. We found a significantly high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No. 2) in July 2012 both in the mass balance study and in situ observation. We presumed the source of these nutrients to be both benthic effluence from old dam reservoirs and incompletely-treated municipal waste-water. This elevated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Asan Bay (No. 2) expended to off-shore area and eventually triggered an intense Chl-a concentration in Asan Bay.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improved waste-water quality control around the drainage area of Asan Bay.

Effect of Paddy BMPs on Water Quality and Policy Consideration in Saemangeum Watershed (새만금 유역에서 논 최적관리기법의 수질개선 효과와 정책고려사항)

  • Kim, Jonggun;Lee, Suin;Shin, Jae-young;Lim, Jung-ha;Na, Young-kwang;Joo, Sohee;Shin, Minhwan;Choi, Joongd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4
    • /
    • pp.304-313
    • /
    • 2018
  • Agricultural land reclamation in Saemangeum tidal land project is mostly planned to be completed by 2020. Irrigation water for the land is required to be prepared by that time. However, water quality for the irrigation sources is barely meet the target concentration. This paper described the reduction effect of and policy consideration for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which were fertilizer prescription by soil test (SO#1), mixed application of SO#1 and 3 (SO#2), drainage gate control (SO#3), time-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SO#4), and control (CT). Reduction of paddy runoff was relatively higher in SO#3 (25%) and SO#1 (27%) while lower in SO#4 (9%) and SO#2 (7%) than that in CT. In addition, farmers promised to follow the BMP guidelines but they didn't because of the several problems caused for the BMPs implementation. Thus, it recommended developing an automated control of irrigation gate and paddy water depth and supporing farmers for NPS pollution control and irrigation water reduction.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and Eastern Mountain Area of Jeollabuk-do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과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지하수 수질 평가)

  • Jo, Jae-Ye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4 no.3
    • /
    • pp.218-22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 located in Buan-gun, Jinan-gun, Sunchang-gun, and Jangsu-gun of Jeollabuk-do.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328 sites (Buan-gun: 158, Jansu-gun: 45, Sunchang-gun: 32, Jinan-gun: 93, respectively). We measured 4 kinds of general contaminants (pH, $NO_3-N$, $Cl^-$, and COD) and 10 kinds of specific contaminants (Cd, As, $CN^-$, Hg, phenol, Pb, $Cr^{+6}$, organophosphorus,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Generally, the level of general contaminants and specific contaminants in the agricultural groundwater was suitable for water quality standard in all sites for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Exceptionally, chloride concentrations were exceeded water quality standard of agricultural groundwater at some sites in western coast area of Jeollabuk-do. Although water quality standards in agricultural groundwater have been suitable, the water contaminants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were gradually increased than eastern mountain area.

Analysis of pollutant behavior in sediments in a Rain Garden through long-term monitoring (레인가든 내 장기모니터링을 통한 오염물질 거동분석)

  • Jeon, Minsu;Choi, Hyeseon;Reyes, N.J. DG.;Kim, Le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9-339
    • /
    • 2020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 자연적 물순환 체계에 악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도시 내 빗물관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이 가능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를 적용하고 있다. 건기시 도로, 주차장등 차량통행 및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입자상 물질들이 많이 발생되어 노면에 축적되어 있다가 강우시 강우유출수를 통해 시설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시설 내 오염물질 및 퇴적물이 축적되어 여재 공극막힘현상 및 침투율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어 시설 내 효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레인가든의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시설 내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성상 분석 및 시설 내부의 퇴적물 분석을 통해 LID시설 운영의 효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강우시 모니터링과 건기시 집수구역, 침강지, 시설 상부, 중부, 하부 등 총 5곳에서 채취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평균 선행건기 일수는 5.46±4.7 days, 평균 강우량은 14.31±11.4 mm, 평균 강우강도는 5.33±6.7 mm/hr의 강우사상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시설 내 평균 유입수농도는 TSS 98.0 ± 32.7 mg / L, COD 133.6 ± 6.3 mg / L, TN 5.77 ± 4.05 mg, TP 0.54 ± 0.03 mg / L으로 분석되었다. 유입부 내 퇴적물 종류는 Sandy Clay Loam으로 나타났으며, Cr 0.36mg / kg, Cu 5.17 mg / kg and Pb 6.04 mg / kg으로 중금속의 함유량이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퇴적물은 침강지 및 시설 유입부에서의 입자크기는 49-113㎛ 약 60%의 퇴적물이 축적되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침강지에서 50㎛ 이상의 입자들이 여과, 흡착 및 침전으로 인하여 40% 이상의 입자들이 제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50㎛ 미만의 입자들은 시설 내 중간부, 유출부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강지에서 유입수 대부분의 입자상물질들이 흡착 및 여과로 인한 제거가 이루어지기에 침강지 여재부는 넓은 표면적, 우수한 흡착능 및 여과율을 고려하여 선정하영 하며, 잦은 교체를 위하여 중량성이 낮은 우드칩 등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SWAT model and HSPF model prediction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e Okjeong Lake watershed of the Seomjin River (섬진강 옥정호 유역의 수자원 관리를 위한 SWAT 모델과 HSPF 모델의 비교 분석)

  • Lee, Eojin;Lee, Seungmoon;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10
    • /
    • pp.769-783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y simultaneously applying the widely us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models to estimate the inflow of discharge, total phosphorus (TP), total nitrogen (TN), and total suspended solids (TSS) into Okjeong Lake, loc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Seomjin River.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rom 2012 to 2021 were used as input and calibration data for both mode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rics such a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and Percent Bias (PBIAS) were utilized to assess model accuracy. For flow calibration, the SWAT model showed slightly better performance, with an average R2 of 0.82 and NSE of 0.72 across all stations, compared to the HSPF model's R2 of 0.76 and NSE of 0.67. However, for water quality calibration, the SWAT model had an average PBIAS of 13.2% for TN, 19.1% for TP, and 31.5% for TSS, while the HSPF model had an average PBIAS of 17.2% for TN, 23.2% for TP, and 25.9% for T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models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accurately simulate real world water quality. Based on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two models,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the errors and provided useful examples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watershed model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Okjeong Lake, includ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