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작업일

Search Result 3,3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Economical Analysis of Yarding Operation by Cable Crane (케이블클레인을 이용(利用)한 집재작업(集材作業)의 경제성(經濟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Woo, Bo Myeong;Park, Jong Myeong;Lee, Joon Woo;Chung, Nam 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9 no.4
    • /
    • pp.413-418
    • /
    • 1990
  • Since 1945, the periodical reforestation projects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apparatus of the forest policy of the Government have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during last 40 years in Korea. As a result, some of the forests are ready to be harvested, especially in well-managed plantations as well as in the natural forests. This requires to pay more attention to harvesting the timber rather than planting trees. At the present, such timber harvesting operations such as cutting, felling, bucking, and skidding and yarding, particularly yarding operations in mountain areas with harsh terrains are in the most cases depend upon man power. However, the yarding operations should be more mechanized in the near future in Korea mainly because of the high cost of labour couppled with the lack of labour in forested areas. The Forest Work Training Center attached to the Forest Administration imported and tested the smallsized cable crane(K-300) with movable tower. The result of economic analysis of the yarding operation expenditures shows that the cable crane yarding costs more than the man yarding at the present time. As the labour cost will gradually increase and the efficiency of machine operation will improv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yarding operation by cable crane will be more cost-effective in the future.

  • PDF

Waste Elimination in Construction Process using Value Stream Analysis - Focused on Waste Elimination of Re-bar Works (가치흐름 분석을 통한 건설프로세스의 낭비제거 방안)

  • Mun Jeong-Mun;Kim Chang-Duk;Park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416-421
    • /
    • 2001
  • The domestic reinforcement concrete works have mainly worked the process of re-bar fabrication/assembly on site and re-bar works affected by structural safety, durability, and schedule with form work.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re-bar fabrication/assembly on site to apply lean production principles to construction Value Stream Analysis(VSA) is analyzed into value-adding activity and non-value-adding activity on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value analysis and Value Stream Mapping(VSM). In the results, non-value-adding activity generates waste such as the activity steps, labors, equipments, materials, time, and so on. Additionally, push-driven production is investigated making low productivity from the overproduction and so on. To resolv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eliminates waste factor through maximizing the value-adding activity generating value added and minimizing non-value adding activity. Particularly, it makes flow production and pull-driven production through minimizing work-in-process(WIP ).

  • PDF

Mutually Exclusive Resource Access in Pre-Scheduling (선행스케줄링에서 배타적 자원접근)

  • Piao, Xuefeng;Han, Shang-Chul;Kim, Hee-Heon;Park, Min-Kyu;Cho, Seong-Je;Cho, Yoo-K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2-166
    • /
    • 2006
  • 선행스케줄링(pre-scheduling)은 정적인 작업(periodic job)과 동적인 작업(sporadic job)을 유연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안된 스케줄링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오프라인 컴포넌트와 온라인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오프라인 컴포넌트에서는 비주기적으로 도착하는 동적인 작업들을 고려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여러 부분작업으로 분할하고, 그리고 각 부분작업들의 실행시간, 준비시간, 마감시간을 부여하고 실행순서를 결정한다. 온라인 컴포넌트에서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정해진 실행순서에 따라 스케줄하고, 동적인 작업이 도착하면 EDF(Earliest Deadline First) 스케줄링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선행스케줄링에서는 자원공유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실행시간을 부여하였으므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이 하나의 자원을 공유할 경우에 배타적인 자원접근을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처리기 환경에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의 자원공유를 고려하여 자원의 배타적 사용을 보장하는 선행스케줄 생성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각 작업의 자원 방출시간을 예측하고 예측시간에 근거하여 각 작업의 자원사용구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실행시간을 결정한다.

  • PDF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opmental Children's Subway Use (신경발달 장애 아동의 지하철 이용하기 작업에 대한 작업기반 중재의 적용)

  • Ra, Dae-Yeop;Kong, Myung-Ja;Chang, Ki-Y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
    • v.26 no.4
    • /
    • pp.27-41
    • /
    • 2018
  • Objective : This study implemented occupation-based practice as a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d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d efficacy levels of the program. Methods :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 Choice-School) and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were used to establish common meaningful occupational goals for 10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occupational analysis of the 'subway use', the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PQRS)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by participants individually performing meaningful occupations in the most natural and real-life environments as possible. The trial consisted of 1 session of pre-intervention assessments, 8 sessions of intervention, where a single session of 100 minutes is provided once a week. Post-interven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over one session. Results :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by PQRS was 38.10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 The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s a group program used the maintain and modify(compensation, adaptation) approaches and acquisition model. In the early stages of intervention (1 to 4 sessions),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greatly improved. The performance level of COPM increased by 5.80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increased by 7.00. In addition, high scores were found in program satisfaction through parental interview. Conclusion : The results of implementing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to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increase in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long with positive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s for the program.

A Study on the Status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Health Examination Data of Aged Workers in Korea (고령취업자의 작업환경과 건강진단 결과에 관한 실태조사)

  • Paik, J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19 no.1
    • /
    • pp.63-72
    • /
    • 2009
  • 고령 근로자의 작업환경 실태와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하여 그들의 건강한 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41개 사업장에서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공정에 있는 50세 이상 근로자 112명(남성 91명,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소음, 분진, 유기용제, 중금속, 작업형태 및 작업강도 등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건강검진 자료는 일반건강진단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4.9(남성 55세, 여성 54.7세) 세였으며, 평균근무기간은 8.7년이 였으며, 조사대상 사업장중 71.5%가 50인 이하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였다. 2. 소음에 폭로 대상자 중 31.3%가 90dB(A)인 노출기준치을 초과하였으며, 그 외의 분진, 유기용제, 중금속 등의 노출기준치를 초과한 대상자는 없었다. 3. 조사대상자 중 9%는 청력이 비정상이였으며, 78.6%의 대상자는 경작업과 중등작업을 하였으며, 52.7%는 전신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형태였다.

Analysis and Control for Robot - Positioner Systema (로보트와 POSITIONER 시스템의 분석과 제어)

  • 전의식;장재원;염성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7.10b
    • /
    • pp.36-40
    • /
    • 1987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업방식은 로봇과 positioner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설정에 의하여 작업효율 및 성능향상을 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로 로보트와 positioner시스템을 하나의 기구학적 모델로 제어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연구에서는 로보트와 positioner(이하 R-P 시스템)간의 협조 제어가 여유자유도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임을 보였다. 그러나 용접작업과 같은 positioner 위에서의 연속경로 작업에 있어서는 작업공간과 특이성(singularity) 등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이성은 외부의 물리적인 제약이나 로보트의 기하학적 구조의 문제로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때 자유도의 손실을 유발하므로 임의의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R-P 시스템의 조작 성능 평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5 자유도를 갖는 수직 다관절형 로보트와 positioner에 대하여 협조 제어 방법을 검토한다. 그리고 작업공간 내의 조작성능평가를 위하여 Jacobian 행렬을 이용한 조작성지수를 위하여 Jacobian 행렬을 이용한 조작성지수를 도입하고 주어진 작업단면에 대한 이들의 분포를 등고선 그래프로 시각화 한다. 또한 조작성지수를 최대화 하는 알고리즘을 R-P 시스템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 PDF

Evaluation of Concentration using Phsiological Signal during Mental Arithmetic Task (생리신호를 이용한 연산작업시의 집중도의 평가)

  • 윤용현;고한우;김동윤;양희경;김묘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10-214
    • /
    • 2002
  • 집중도 변화와 정신피로는 정의 방향의 평가와 부의 방향의 평가가 있으며, 작업 수행시의 집중변화와 정신피로의 평가는 정의 방향보다 부의 방향으로의 평가가 용이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먼저 피험자에게 부가할 정신작업부하로 난이도 조정이 용이한 연산작업을 사용하여 작업수행시 가장 높은 집중을 요구하는 하나의 난이도를 선정하고 피험자에게 반복 수행시키면서 생리량과 심리량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리량은 뇌파, 심전도, 호흡, 맥파, 말초피부온이며 심리량은 저자들이 개발한 정신피로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작업수행시 심박변화율의 전력스펙트럼 MF/(LF+HF)비가 감소하였으며,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집중이 저하되고 정신피로가 증가하였다. 특히, 뇌파의 beta파와 호흡간격이 집중도의 변화를 말초피부온이 정신피로를 잘 반영하였다.

  • PDF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접근방향과 대책

  • 이관석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 /
    • v.3 no.1
    • /
    • pp.1-5
    • /
    • 2003
  •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최근 사업장의 집단적인 발병, 산업재해자수의 급증 등으로 인하여 주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선박 등의 제조업에서 이러한 문제는 노사간의 갈등을 야기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여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산업재해 율 증가는 근골격계질환의 뇌심 혈관질환 등 작업관련성질환이 주도하고 있는 현상이다. 특히, 단순반복작업, 중량물 취급작업,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에 의하여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요통, 경견완장해 등 근골격계 질환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이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 근로의욕저하, 품질저하 등으로 경영손실은 물론 직접 의료비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동시에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직원들의 보상과 작업조건 개선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가장 중요한 노$.$사간의 쟁점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대책으로 '근골격계 부담 작업으고 인한 건강장해예방' 편을 입법화를 하였으며 근골격계 예방팀을 구성하여 대책 마련에 고심 중에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Measures to Reduce Safety Accidents during the Operation of Rope Descent System (작업의자형 달비계 작업시 안전사고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

  • Oh, Yo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9-22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로 외벽 청소, 도장, 견출, 검사등 작업시 손쉽고, 빠르며 경제적으로 작업을 위한 방법으로 작업의자형 달비계를 사용 하고 있으나 최근 3년간 유지·보수공사 작업시 근로자의 중대재해가 36명으로 신축·증축·재건축공사 2명으로 유지·보수공사에서 많은 중대재해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으로 50억이상 신축 작업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관리감독자 및 안전관리자가 선임 되어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하고 있으나 50억 이하 소규모 작업장에서는 안전관리 할동이 전무한 실정이고 저가수주, 적정 공사기간 불가 및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미계상 등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대책이 없고 외부 안전점검기관의 사각지대로 근로자의 안전 확보에 어려움이 있은 실정으로 사업주 및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 및 관리감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Need for Safe Baseline Isolation Standard for Chemical Plant Equipment (화학공장 설비의 안전한 격리 표준 필요성에 대한 연구)

  • Su-Ji Choi;Sang-Gil Kim;Gyu-Sun C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4
    • /
    • pp.37-46
    • /
    • 2023
  • Due to the aging, advancement, and complexity of chemical facilities, non-routine work such as facility inspection, repair, or maintenance work is increasing. Of the 1,483 accidents that occurred over the past 10 years at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sites subject to PSM,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non-routine work accounted for 56% (932 Cases) of the total. It can be seen that more accidents occur during non-routine work than during routine work.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y and efficiency of factory operation, there are cases where some facilities are stopped without stopping the entire factory and then inspection, repair, or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while isolated from the operating facilities. Therefore, first, a safe isolation method must be selected by establishing an isolation standard (Baseline Isolation Standard) based on the chemicals handled, operating conditions, and risk level of the equipment in the chemical plant. Second, since current domestic laws and standards do not suggest the need for specific quarantine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preparation of quarantine standards.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prevent fires, explosions, and poisoning accidents caused by leaks of chemical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