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스페놀 A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2초

UPLC-MS/MS를 이용한 소변 시료 중 내분비계 교란물질 27종 동시분석법 확립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for 27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in Human Urine using UPLC-MS/MS)

  • 박수빈;박나연;고영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191-198
    • /
    • 2024
  •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EDCs)은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인체의 내분비 기관 내에서 호르몬 작용을 교란시키는 화합물이다. 파라벤, 벤조페논, 비스페놀, 프탈레이트 등이 대표적이며, 현재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혈당조절, 생식, 대사, 신경계 발달, 임신, 출산, 성장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DCs의 노출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체시료(소변)를 liquid-liquid-extraction을 사용하여 전처리한 뒤 UPLC-MS/MS로 효과적이고 빠르게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을 통해 동시분석법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정확도가 75.28~122.36%, 정밀도가 2.16~22.74%의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법은 추후 인체시료 중 EDCs의 노출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연구의 방법론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스페놀 A 및 Diethylstilbestrol의 유전독성 평가를 위한 염색체이상, 자매염색분체교환, 소핵형성, 단일세포 겔 전기영동법의 활용 (Analysis of chromosome aberration, sister chromatid exchange, micronuclei and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in human lymphocytes exposed in vitro to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 김병모;정해원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41
    • /
    • 2001
  • Endocrine disruptors have been implicated in carcinogenesis in animal studies, but carcinogenetic effects on human remain controversial. In order to examine the genotoxicity of two common endocrine disruptors,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cytogenetic endpoints including chromosome aberration (CA),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micronuclei (MN) analyses and DNA damage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were assessed. The effects of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on the frequencies of CA and MN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at of Bispheol A was more significant by Kendall'$\tau$test.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also increased the frequency of SCE. Bisphenol A and Diethylstilbestrol induce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DNA damage induced by Diethylstilbestrol in human blood lymphocytes was more significant.

  • PDF

에폭시 수지로 상용화된 Nylon 6와 비스페놀-A PC 블렌드의 열적거동 (Thermal Behavior of Nylon 6 and Bisphenol-A Polycarbonate Blends Compatibilized with an Epoxy Resin)

  • Abdrhman, Mabrouk J.M.;Zhang, Liye;Zhou, Bing;Li, Hangquan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523-528
    • /
    • 2008
  •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A (DGEBA) was selected as a compatibilizer in Nylon 6 and bisphenol-A polycarbonate (PC) blends. SEM revealed a much finer morphology in the presence of DGEBA. The thermal properties, such as glass transition, melting poin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rate, of the blends were examined using DSC. Overall, the introduction of DGEBA caused a strong dependence of these thermal properties on the composition due to compatibilization.

수용액에서 TiO2 광분해법에 의한 비스페놀 A 분해과정이 Zebrafish의 발생과 성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Removal by TiO2 Photodegradation in Water on Development and Maturate Stage of Zebrafish(Danio Rerio))

  • 여민경;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71-477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O_2$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bisphenol A in water and biological toxicity to zebrafish (Danio rerio) during $1\sim28$ weeks post development stage. The bisphenol A in water was completely degraded by the $TiO_2$ photocatalysis in 50 hours. After the photocatalysis, no toxic effects on the morphogenesis of the zebrafish were observed during the development, growth, and maturate stages. Catalase activity of control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1\sim5$ week post fertilized group. However, toxic effect on the catalase activity of adult stage(28 weeks) decreased 50% than control group.

비스페놀A 처리 수컷 잉어에서 비텔로제닌 mRNA의 발현 (Vitellogenin mRNA Induction in Male Carp Treated with Bisphenol A)

  • 박응로;최필선;이철우;류지성;남성숙;류홍일;전성환;나진균;박광식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81-186
    • /
    • 2001
  • The estrogenic potency of bisphenol A using reverse trancriptase-PCR response of liver vitellogenin mRNA in male carp was studied. For this, six combination of primers which were synthesized on the basis of cDNA consensus region of various species, were evaluated and one pair of primers was selected as the best to show 286 bp size-transcript. By using the selected primers, vitellogenin mRNA induction in carp treated with bisphenol A was measured and the chemical showed dose-and time-dependent Induction response. From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RT-PCR technique wing the selected primers in this study can be wed to monitor the estrogenic effects exerted In carp living in Korean freshwater.

  • PDF

Polyethylene glycol (PEG) 수용액에서 laccase를 이용한 비스페놀A의 처리 (Oxidative Conversion of Bisphenol A with Laccase in the Presence of Polyethylene Glycol)

  • 김영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1-245
    • /
    • 2005
  • Laccase catalyzes the oxidation and polymerization of aromatic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molecular oxygen. Studies were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use of polyethylene glycol (PEG) as an additive to keep up the enzymatic stability. The enzymatic activities highly remained and bisphenol A (BPA) was rapidly converted in the presence of 5 mg/l of PEC. These effects were accomplished with PEG of molecular weight 3,350. A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quantity of BPA to be converted $(10-120\;{\mu}M)$ and the optimum dose of PEC required for greater than $95\%$ conver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G and the reaction products. In the optimum dose of PEG, the aeration of reaction mixture neither enhanced the conversion of BPA nor retarded the inactivation of the enzyme.

비스페놀 에이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 키로노무스 4기 유충의 치사, 아치사 독성연구 (Lethal and Sublethal Toxicities of Bisphenol A and Ethynyl Estradiol Exposure on the 4th Instar Larvae of Chironomus riparius (Diptera, Chironomidae))

  • 이세범;최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4호
    • /
    • pp.301-3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잘 알려진 Bisphenol A와 Ethynyl estradiol(이하 BPA, EE)이 Chironomus ripariu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생생태계에서 Chironomus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연구한 반수치사농도(LC50),효소 활성, 성장/발달 등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독성에 대한 연구는 이들 물질에 대한 잠재적인 생태학적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BPA와 EE에 노출된 후 C. riparius게서 CAT와 GST활성이 증가하였고, EE에 고농도로 노출된 후 성충까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 riparius에서 BPA, EE에 대한 중요한 독성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BPA와 EE의 생화학적 효과와 C. riparitis의 개체수준 이상에서의 생리학적 실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제작한 에폭시 복합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Bisphenol-A Based Epoxy Resin Composite with Varying Temperature)

  • 이호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2
    • /
    • 2017
  • 주파수 (30 ~ 300k Hz)와 온도 범위 ($20{\sim}160^{\circ}C$)가 경화 조건에 따른 에폭시 수지의 전기적 특성 (유전율 및 유전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전이온도(Tg) 이하에서는 주파수와 상관없이 각각 3가지의 시편에서 유전분산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Tg) 이상에서 유전분산 현상이 나타났다.

환경조건에 따른 팽창성 혼화재 및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 병용 모르타르의 자기치유 검토 (Self-Healing Investigation of Bisphenol F-Type Epoxy-Modified Mortars with Expansive Admixtures Under Outdoor Exposure Conditions)

  • 박승민;김완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2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self-healing function on microcracks in bisphenol F-type epoxy-modified mortars using expansive admixtures. The specimens are prepared with various polymer-binder ratios of 0, 5, 10, 20%, expansive admixture contents of 0% and 10%, a sodium carbonate content of 0.25%, and subjected to exposure conditions of CR1, CR2, CR3 and CR4. The specimens are tested for self-healing effect, porosity and FE-SEM analysis. As a result, self-healing effects of bisphenol F-type EPMMs with expansive admixtures are visible in all of the outdoor exposure conditions. In particular, exposure conditions of CR3 and CR4 are most noticeable. And the porosity of EPMMs is reduced with an increase in the polymer-binder ratio, and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at of unmodified mortar.

  • PDF

비스페놀 A (Bisphenol-A)로 유도된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갓 추출물의 항오비소겐 효과 (Anti-obesogenic Effect of Brassica juncea Extract on Bisphenol-A Induced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이세정;나윤주;최선일;한웅호;문효;이윤환;김현덕;김윤정;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8-536
    • /
    • 2021
  • 본 연구는 십자화과 채소인 갓(Brassica juncea) 추출물을 이용하여 지표성분인 sinigrin의 함량을 분석하고, 내분비계 교란물질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 (BPA)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갓 추출물과 sinigrin 처리에 대한 지방세포 분화 및 활성산소종(ROS) 생성 억제, 지방 생성 전사인자(PPARγ, C/EBPα, aP2)의 단백질 발현 감소 효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갓 추출물 중 sinigrin의 함량은 21.27±0.2 mg/g 인 것으로 나타났다. BPA로 유도된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XTT assay 결과 sinigrin 180 µM 및 갓 추출물 300 ㎍/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세포 내 지방 축적량과 ROS 생성량을 비교하였을 때 갓과 sinigrin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 및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갓 추출물 및 sinigrin을 처리하였을 때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인자 PPARγ, C/EBPα 및 aP2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갓은 환경호르몬 비스페놀 A로 유도된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ROS 저감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sinigrin을 함유한 갓은 BPA로 인한 지질 대사 장애를 예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며, 추가로 임상 연구 및 작용기전 입증을 위한 in vivo 모델에서의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