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성장 속도

Search Result 91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 of Acetic Acid Formation and Specific Growth Rate on Productivity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Fed-Batch Fermentation (초산 생성 및 비성장속도가 재조합 대장균 유가식 발효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구태영;박태현
    • KSBB Journal
    • /
    • v.10 no.4
    • /
    • pp.455-460
    • /
    • 1995
  • Specific growth rate was controlled for the repression of acetic acid formation in the fed-batch fermentation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With controlled specific growth rate,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specific growth rate on cell growth, glucose consumption, acetic acid 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 (${\beta}$-lactamase). High specific growth rate caused the accumulation of glucose and acetic acid, and lowered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 However, the addition of methionine recovered the gene expression by alleviating the negative effect of acetic acid at high specific growth rate.

  • PDF

비대칭적 표면 위에 초미세 박막의 미시적 성장구조

  • 서지근;신영호;김재성;민항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87-187
    • /
    • 1999
  • fcc(110) 표면이나 bcc(110) 표면과 같이 2-fold 대칭성을 갖는 표면 위에 초미세 박막을 성장시킬 경우 토대표면의 두 방향에 대한 비 대칭성으로 흡착물이 비대칭적인 cluster 형태로 성장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STM에 의한 Ps(110) 표면 위에나 Si(100) 또는 W(110) 표면 위에 성장 실험은 흡착물이 길게 늘어선 한 줄 형태의 성장 또는 가로 세로가 비대칭적인 cluster 형태로 성장되는 것을 보고하고 있고, 이러한 특정 형태의 성장의 원인으로 흡착 원자의 방향에 따른 분산 속도의 비대칭성, 인접 원자와의 비대칭적인 상호작용, 또는 cluster 경계 방향의 분산 속도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부분의 물질계에 비해 흡착원자의 분산속도 또는 분산 장벽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원하는 원자 단위 구조물 제작을 위해서는 흡착물의 분산속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KMC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위치와 조건에 따른 각각의 분산 속도를 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비대칭적 토대 위에서의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미시적 성장구조에 관심을 가지며, 연구 방법으로는 KM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다. 미시적 성장 양식은 분산 장벽 형태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 분산장벽 중에서 성장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테라스 위의 원자가 이동할 때의 분산장벽인 Ed, 계단 끝에 부착된 원자가 분리될 때의 장벽인 Ep, 그리고 위 테라스에서 계단 아래로 떨어져 내려갈 때 만나는 Schwoebel 장벽들이 있다. 먼저 대칭적인 fcc(100) 표면 위에서의 성장 구조를 정리해보면 분산 장벽에 따라 다양한 미시적 성장형태를 볼 수 있었다. 다층 성장의 경우도 그 양식은 sub-ML 성장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sub-ML 성장구조로 전체 성장 양식을 예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향은 Ep가 커질수록 fractal 성장형태가 되며, Ed가 적을수록 cluster 밀도가 작아지나, 같은 Ed+Ep에 대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팔 넓이(수평 수직 방향 cluster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실험으로부터 얻은 cluster의 팔 넓이로부터 Ed+Ep 값을 결정할 수 있고, cluster 밀도와 fractal 차원으로부터 각각 Ed와 Ep값을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층 성장에 대한 거칠기(roughness) 값으로부터 Es값도 구할 수 있다. 양방향 대칭성을 갖지 않은 fcc(110) 표면과 같은 경우, 형태는 다양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110) 표면의 경우 nearest neighbor 원자가 한 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이 축과 이것과 수직인 축에 대한 상호작용이나 분산 장벽 모두가 비대칭적이다. 따라서 분산 장벽도 x-축, y-축 방향에 따라 분리하여 Edx, E요, Epx, Epy 등과 같이 방향에 따라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분산 장벽을 고려하여 KMC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비정질 셀레니움 박막의 결정화 -결정의 형태와 그 변태속도-

  • 김기순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11 no.2
    • /
    • pp.38-49
    • /
    • 1974
  • 운모기판에 증착한 비정형 셀레니움 박막의 결정성장의 형태와 그 변태속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열처리된 박막에서 비정질성분은 CS2에 용해되나 결정질은 아무 변화없이 남아 있으므로 쉽게 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모양을 조사할 수 있다. 결정은 (30$^{\circ}$~10$0^{\circ}C$ 온도 범위에서) 박막과 운모기관의 경계면을 따라서 원형상(구상 결정의 이차원 적 모양) 중심으로 부터 일정 속도로 자란다. 또한 필라멘트 형태의 결정이 원형상 결정의 비 규칙적인 부분에서 박막을 뚫고 위로 자란다. 이들 필라멘트형 결정은 자유표면에 도달하여 새로이 자유표면을 따라서 원형상으로 자라게 된다. 경계에 있는 원형상 결정의 두께는 약 500$\AA$정도이고 이것이 비정질 세레니움 박막에서 보이는 "어두어 지는"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원형상 결정은 아주 조그마한 결정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도메인"의 축 방향은 경계면과 나란하고 반경방향에 수직으로 되어 있다. 고온처리에서 얻어지는 규칙적인 결정은 이들 "도메인"이 모여서 "라멜라"를 형성하여 중심부에서부터 뻗어나가고 이들 "라멜라"간의 공간은 불규칙적으로 나열된 "도메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분자 결정에 비하여 훨씬 두껍다. 반경 방향으로의 결정성장 속도는 아주 순도가 높은 박막에서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고 주어진 온도에서 재현성이 아주 좋다. 이 실험에서 측정된 성장속도는 지금까지 발표된 어느 실험에서 관측된 것보다 빠르고 또 자유표면에서 자라는 속도에 비해서 약 백 여배나 빠르다. 결장 성장의 온도 의존은 u=6$\times$1015 exp[-32.7(kcal/mol)/RT] cm/sec로 표시할 수 있다.

  • PDF

The Influence of the Velocity Ratio on the Vortex Pairing Process in Mixing Layer (혼합층에서 와류병합과정에 대한 속도비의 영향)

  • 서태원;금기현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279-286
    • /
    • 1999
  • Wall-bounded 유동과 달리 자유 전단 유동은 Hyperbolic Tangent Profile을 가지고 비점성 불안정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자유 전단 유동에서 난류로의 천이과정은 비점성 불안정성 이론에 의해 해석되어 진다. 본 연구는 분리판(Splitter plate)에 의해 분리된 속도가 다른 자유 유속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층에서 와류병합과정에 대한 속도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다. 속도비는, R, $ \frac{U_1-U_2}{U_1+U_2}$ 로 정의되며, 여기서 $U_1$은 분리판 위에서의 자유 유속을 그리고 $U_2$ 는 분리판 아래에서의 자유 유속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와류구조의 병합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2차원 비정상 Large-Eddy Simulat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속도비의 변화에 따라 혼합층에서 불안정 Wave가 성장하게 되고, 유체는 2차원 와류구조에서 Roll-up한다. 이러한 2차원 와류구조는 주위의 다른 와류구조와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하나의 커다란 와류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혼합층에서 와류병합과정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혼합층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다.

  • PDF

Glucose Effects on Cell Growth, Antibody Production, and Cell Metabolism of Hybridoma Cells (Hybridoma 세포의 세포성장, 항체생산 및 세포대사에 미치는 Glucose의 영향)

  • ;Shaw S.Wang
    • KSBB Journal
    • /
    • v.10 no.3
    • /
    • pp.323-334
    • /
    • 1995
  • The effects of glucose on cell growth kinetics, monoclonal antibody productivity, and cell metabolism or hybridoma cells were investigated. The mouse-mouse hybridoma cell line VIII H-8 producing mouse IgG2a was used as a modal system. Glucose showed substrate inhibition type dependence on specific growth raie. The maximum cell density increased as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4 g/$\ell$. Glucose showed a strong influence on cell death kinetics, an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death rate and glucose concentration was found. Cell viability and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increased as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specific glucose consumption rate increased with glucose concentration, and cumulative specific lactate produc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The overall kinetics of ammonium ion production was almost invariant with respect to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while the cumulative specific ammonium ion production rate was dependent on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 PDF

Endocrine Function and Growth in Children with Craniopharyngioma (소아 두개인두종 환자에서 치료 전후의 뇌하수체 기능과 성장 및 체중 변화)

  • Chung, Yoo Mi;Shin, Choong Ho;Yang, Sei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3
    • /
    • pp.277-283
    • /
    • 2003
  • Purpose : Craniopharyngiomas are often accompanied by severe endocrine disorders. Although there is universal growth hormone deficiency(GHD), the resulting growth pattern is very heterogeneous. We report the growth and endocrine outcome of 44 children with craniopharyngioma, with emphasis on initial symptoms, growth before and during growth hormone(GH) treatment and spontaneous growth in spite of GHD.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44 children treated at our centre between 1984 and 2002. Results : About 30% of patients had symptoms suggesting endocrine disorder at diagnosis. After surgery, multiple endocrinopathies were almost universal. Before GH therapy, height velocity was $8.00{\pm}2.71cm/yr$ in the normal growth group(n=11) and $1.79{\pm}1.10cm/yr$ in the subnormal growth group(n=7) during the first year and during the second year, $6.76{\pm}2.49cm/yr$ and $2.29{\pm}1.33cm/yr$,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body mass index(BMI)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surgery in the two groups.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DS) was $-1.46{\pm}0.74$ in the normal growth group and $-0.43{\pm}0.97$ in the subnormal growth group. Before GH treatment height SDS was $-1.31{\pm}1.25$ and BMI was $20.46{\pm}3.60$. During GH treatment, height SDS increased to $-0.60{\pm}1.37$ in the first, and to $-0.41{\pm}1.54$ in the second year(P<0.05), but BMI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 endocrine morbidity could develop in most children with craniopharyngioma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nd should be managed properly. Although all treated patients benefit from GH therapy,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find out the possible mechanism of growth regulation in normally growing children, despite GH deficient.

Crystal Growth of Polycrystalline Silicon by Directional Solidification (일방향 응고법에 의한 단결정 Si의 결정성장에 관한 연구)

  • 김계수;이창원;홍준표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3 no.2
    • /
    • pp.149-156
    • /
    • 1993
  • Polycrystalline silicon was produced from metallurgical-grade Si by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Variations of impurity concentration and resistivity in the ingots have been investigated. X-ray diffraction analysis has also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cryst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on the polycrystalline silicon, preferential orientation was changed from ( 220) into ( III ) with decreasing growth rate. Also, with increasing growth rate and fraction solidified, the resistivity tends to decrease.

  • PDF

Regulation of Tylosin Biosynthesis by Cell Growth Rate in Streptomyces fradiae (Streptomyces fradiae에서 균 성장속도에 의한 tylosin 생합성 조절)

  • 강현아;이정현;이계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25 no.4
    • /
    • pp.353-359
    • /
    • 198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rate on the biosynthesis of tylosin in Streptomyces fradiae.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growth rate and the tylosin formation rate, the activities of enzymes involved in oxaloacetate metabolism were determined using cells grown at different growth rates in chemostats.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pecific rate of tylosin formation($q_{p}$) wa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fic cell growth rate and the maximum value of $q_{p}$ was 1.1mg tylosin, $q_{p}$ cell, $0.013h^{-1}$ at the growth rate $0.013h^{-1}$. However further increase in the growth rate over $0.013h^{-1}$ resulted in apparent decrease of $1_{p}$. The synthesis and activities of citrate synth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PEP carboxylase were very low at lower growth rate.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and synthesis of methylmalonyl-CoA carboxyltransferase was closely related to tylosin forma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ylosin formation was apparently controlled by the growth rate.

  • PDF

A Study of Pseudomonas putida Fed-batch Culture (Pseudomonas putida의 유가배양연구)

  • 김인호;김희정;송재양
    • KSBB Journal
    • /
    • v.17 no.3
    • /
    • pp.307-310
    • /
    • 2002
  • In order to obtain high density seed cells for biofiltration, we studied batch and fed-batch culture of P. putida. Studies were carried out to find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such as pH,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agitation speed. Specific growth rate of P. putida was dependent on agitation speed and a high rpm of 300 wa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fficient aerobic growth of P. putida. Specific growth rate was highest at pH 7. Feeding glucose and yeast extract continuously at the initial growth phase was the most effective way to get high cell density of P. putida.

Growth responses to growth hormone 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uated growth who showed normal growth hormone response to stimulation tests (성장호르몬 자극검사가 정상인 성장 장애 소아 환자에게서 성장호르몬 투여에 따른 성장속도의 변화)

  • Kim, Jae-Hyun;Chung, Hye-Rim;Lee, Young-Ah;Lee, Sun-Hee;Kim, Ji-Hyun;Shin, Choong-Ho;Yang, Sei-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2 no.8
    • /
    • pp.922-929
    • /
    • 2009
  • Purpose :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sponses to growth hormone (GH) 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uated growth who showed normal GH responses to GH stimulation tests (GHST). Methods : The study included 39 patients with height velocity (HV) of less than 4 cm/yr and normal GHST result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 Eleven were born as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and 28 as appropriate for age (AGA). In the SGA group, the standard deviation score (SDS) of age and height measured at their first visit was significantly low.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GH and six of 23 without GH therapy were followed for 1 year after GHST. The mean (range) of HV was 7.7 (4.9 to 11.1) cm/yr in patients with GH therapy and 3.7 (2.7 to 4.5) cm/yr in those without GH therap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e GH-treated group, HV and difference in height SDS during the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P< 0.001, respectively). HV increased after 1 year of GH therapy in the SGA and AGA groups (SGA, P=0.043; AGA, P=0.003). The level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was significantly lower in GH-treated patients with height SDS <-3 than those with ${\geq}3$ (P=0.023). Conclusion : In children with growth failure and normal GHST, HV increases significantly by short-term GH therapy. The assessment of long-term effects of GH therapy is necessary. Moreo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 GH-IGF-I axis due to the possibility of GH insensitivity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