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명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f on the occupant movement speed during emergency evacuations for the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of domestic buildings (국내 건축물의 피난안정성평가를 위한 비상대피 시 재실자 이동속도에 관한 연구)

  • Youn, Ho-Ju;Hwang, Eunky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332-338
    • /
    • 2013
  • Recently in Korea, in order to ensure evacuation safety within buildings, reviewing and evacuation assessment using computer simulations has been performed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s. Since the results from the assessment mainly depends on the initial values of input element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lement specific data. Nevertheless evacuation related experiments and research are still insufficient to apply overseas standards to domestic conditions. This study intended to conduct a experiment on evacuation movement speed by age as part of element-specific data construction for domestic occupant movement speed. After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on evacuation movement speed, we conducted the experiment of evacuation movement speed for 134 people. Then, by carrying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movement speed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ith overseas movement speeds, we followed the validation procedure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domestic evacuation conditions. The data derived from the experiment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movement speed of domestic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to an Elderly Male (남성 노인의 사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Kim, Seo Hyun
    • 한국노년학
    • /
    • v.38 no.1
    • /
    • pp.103-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an elderly male lives after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an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essence. The researcher picked 3 elderly men living alone after separation by death as test subjects and gathered inform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was done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narrative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y(2000), and it restructures the common experience under five meanings. The mutual themes of 'It's the life of a sinner, but not wanting to be seen as a widower to others', 'The fear for death, and the preparation for after death', 'Trying to stay alive for the children', 'Entering the world to find meaning in a gloomy life', and 'A lone goose lost in search of social warmth' came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studied with the mutual themes as basis came out to be 'A struggle to take flight again after one broken wing'. This research has a major significance in that elderly males' experience of bereavement was studied in the dimension of time continuity, and that individual social interactions that are made by elderly males to continue their lives after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were studied.

A Convergence study for the Shorten of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in Vehicle Accident (차량 사고에서 병원 전 응급의료 대응시간 단축을 위한 융합연구)

  • Jeon, Hyeok-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5
    • /
    • pp.111-1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nvergence study to find a way to shorte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in vehicle accid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hospital emergency response time by utilizing weather, road type, accident type, and rescue response to 353 vehicle passengers who visited the three emergency medical centers from January 1, 2011 to July 30, 2016 in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way used the most time to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and was a factor affecting the overall time (${\beta}=.543$, p<.001). In order to shorten the emergency medical response time in highway, the operation of emergency services on the highway, the active use of emergency turn road and the automatic emergency rescue service with individual devices were proposed.

Simulation of Fire Evacuation Induction System Using Smartphone Navigation Application

  • Shin, Dongmin;Jeon, Seongman;Lee, SungPil;Cho, Byungj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2
    • /
    • pp.243-251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system by us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in case of fire. In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it was assumed that a fire occurred 6th floor in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Design Promotion located in C city, K province. Eighty juniors students from 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ramedics of science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emonstration simulation us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showed that the evacuation time was faster than the case of evacuation guidance in a fire situation. The need for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fire prevention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increased the need for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fire prevention awareness score after the experiment.

A Study about the current infra-structural status of the aged care work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in Germany (독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축 현황에 대한 연구)

  • Lee, Sang-Myung
    • 한국사회정책
    • /
    • v.19 no.3
    • /
    • pp.49-83
    • /
    • 2012
  • Currently in Germany, there is talk of 'state of emergency care', which is addressed to the problems of quality assurance in aged care and shortage of aged care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ging German society, the federal government has set itself the goal of providing high qualified care givers through a systematic and on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Various projects and measur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reputation of the primarily care profession in society and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especially young trainees for the aged care professions. The present work considers training and qualifications in the long-term care sector in Germany; it points out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ged care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 in the aged care education and attempts to highlight what roles and perception of tasks contained therein.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ae-um Experienced by Nurses in Hospital Organizations (병원조직에서 간호사가 경험한 태움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Kim, Min;Kim, Mi-Seon;Jeong, Hyeon-Cheo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2
    • /
    • pp.39-48
    • /
    • 2020
  •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of Tae-um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in hospital organizations for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y selecting 10 perso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rough SNS in the workplace with the cooperation of the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ae-um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of clinical nurses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Taking the terrible first step, A series of hardships that never end, Hang on to myself, Wings flight of for adaptation) and 16 It was derived from theme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ae-um, not only new nurses, but even nurses who have accumulated careers, are still in progress, so they are adapting to the difficult hospital organization. Therefore, if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for nurses is introduced, it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Tae-um problem and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nurses are respected.

Flood analysis of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in 2020 (2020년 영산강 및 섬진강유역 홍수상황 분석)

  • Kwon, Min Sung;Jung, Chung Gil;Lee, Joon Ho;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0-360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그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하여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함과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가뭄이 지속되어 재난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영산강권역의 5대강 및 해안지역의 수위·강수량·유량 등 수문조사시설을 설치·운영하여 홍수·갈수예보를 통해 재난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 영산강홍수통제소 관할권역의 홍수기 강수량은 예년에 비해 약 150% 내외의 많은 강수가 내렸다. 영산강, 섬진강, 동진강 수계는 8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려 487.4 mm, 619.5 mm, 503.7 mm의 강수가 기록되었고, 8월의 예년 대비 강수량은 181%, 200%, 192% 수준이었다. 만경강과 탐진강은 7월 강수량이 535.1 mm, 365.5 mm로 가장 많았고, 7월 강수량의 예년비는 193%, 141%의 수준이었다. 특히 8.7~8.8일 섬진강 유역의 남원시(신덕리)와 영산강 유역 담양군(광주댐)에는 각각 542 mm, 654 mm의 기록적인 강수가 관측되었다. 이틀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여러 지역에서 홍수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에서 홍수 피해 규모가 컸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2020년 총 51회의 비상근무를 실시하여 홍수상황에 대응 하였으며, 15개 홍수특보지점 중 탐진강 유역 장흥군(예양교)를 제외한 14개 지점에 대해 홍수주의보 22회, 홍수경보 14회 등 36회의 홍수특보를 발령하였다. 홍수특보 지점의 대부분 지점에서 기왕 최고치에 근접하거나 이를 초과하였다. 홍수주의보 수위를 초과한 지점은 총 14개소이며, 이 중 계획홍수위 초과 6개소, 홍수경보 수위 초과 5개소, 홍수주의보 수위 초과 3개소이다. 또한 위기단계별 홍수정보 943건을 30개기관 595명에게 제공하여 관계기관의 방재활동을 지원하였으며, 관할수계 다목적댐 3개소, 발전댐 1개소, 용수댐 1개소, 농업용저수지 10개소, 다기능보 2개소, 홍수조절지 2개소에 181회의 방류승인을 통해 홍수조절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홍수기간 동안 영산강 및 섬진강의 홍수상황 및 홍수대응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홍수상황에 대비코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Airline Cabin Crew Members (항공사 객실승무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객실승무원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 Hye Jung Park;Hyun Been Park;Yeon Sook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257-266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cabin crew by applying Q-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airline cabin crew. As a result of analyzing 33 Q-samples and 33 P-samples using the Ken-Q Analysis program, four types were identified: "Physical strength and appearance quality-oriented", "job performance-oriented", "communication ability-oriented", and "job consciousness-oriented". Most types showed high agreement on physical factors, ability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work responsibility.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curriculum for airline training course and airline service majors, and it can be a reference material to help job seekers understand the job and cultivate necessary competencies.

Research on Awarness and Improvement of Subway Evacuation Facilities (지하철 피난시설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Myungjin;Kim Dongsu;Kim Yeongjun;Kim Yein;Lee Soobin;Lee Inkyoung;Jeong Hoseung;Pyun Seo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507-516
    • /
    • 2024
  • Through the use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subways have become a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city center. Due to the extension of subway lin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way users, there is a risk that safety for evacuating human lives in case of fire will not be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citizens' perceptions of evacuation faciliti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find alternatives. An online survey of 115 subway passengers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citizens' awareness of subway evacuat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awareness of evacuation facilities was high in the order of guidance lights, life-saving devices, emergency lights and portable lights, special evacuation stairs, and evacuation stair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not well aware of evacuation facilities, and people's indifference was the most common cause. As a solution to the lack of awareness, responses to active advertising and promo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activities were the highest.

8년여의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 결과의 정리와 분석 (1/2)

  • 조상래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61 no.1
    • /
    • pp.16-29
    • /
    • 2024
  • 2014년 4월 18일 오전 8시 48분경 전라남도 병풍도 인근 해역에서 세월호는 전복된 후 침몰하였다. 사고 당시 이 배에는 승객 443명과 선원 및 승무원 33명 모두 476명이 타고 있었고, 이 중 미수습자 5명을 포함하여304명이 생명을 잃었다. 그 동안 공식적인 사고원인 규명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네 차례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고 원인이 무엇인지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그동안 있었던 네 차례의 공식적인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정리하였다. 가장 먼저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전개한 해양안전심판원 특별조사부는 2014년 사고 직후부터 그해 12월까지 활동하였다. 특별조사부 최종보고서에는 화물의 과적과 평형수 적재 부족으로 인한 선박복원성 기준 미달, 타각의 대각도 조타와 장시간 유지로 인한 부적절한 조타, 화물의 부실한 고박으로 인한 화물의 이동, 수밀문의 관리 부실로 인한 조기 침수와 비상대피장소(muster station)로의 승객대피 조치 미이행을 사고의 원인으로 들고 있다. 2015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활동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4·16 세월호 참사 특별 조사위원회 청산 백서'만을 간행하고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한 채 활동을 종료하였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2017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활동하였다. 선조위는 세월호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다른 기구에 비해 위원의 구성도 균형이 있었고, 직권사건 위주의 조사방법도 적절하였다. 또한 조타기와 조타 과실 여부, 급선회 항적 및 횡경사와 핀안정기의 물리적 손상에 관한 용역을 국내 여러 기관에 발주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사고 원인규명 용역에 참여한 실적이 있는 영국의 기술용역회사인 Brookes Bell에 급선회와 빠른 침몰의 원인 조사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수조실험을 수행하고 있는 상업 연구소인 네덜란드의 MARIN에 수조시험과 시뮬레이션도 의뢰하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선조위는 서로 다른 사고 원인을 주장하는 두 권의 종합보고서를 간행하였다. 종합보고서로 '내인설' 종합보고서[6]는 타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착으로 시작된 급선회를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하지만 '열린안' 종합보고서[7]에서는 수중체와의 충돌을 직접적인 사고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4·16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가 2019년 3월부터 2022년 9월까지 활동하였다. 사참위는 위원으로 조선해양공학과 항해학 전문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세월호의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사참위는 주로 조타장치 고장에 따른 세월호 전타 선회현상 검증, 세월호 변형 손상부의 확인 및 원인 조사와 세월호 횡경사 원인과 침수과정 분석을 직권 과제로 추진하였다. 또한 네덜란드 MARIN에 자유항주시험을 추가로 의뢰하였으며, 핀란드의 NAPA group에도 복원성 계산과 침수해석을 의뢰하였다. 사참위는 선조위의 두 가지 사고원인에 대해 '내인설'의 솔레노이드 밸브 고착은 사고원인일 가능성이 매우 낮고, '열린안'의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는 근거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규명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사고원인이 수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원인을 시원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고원인 규명활동을 수행한 네 개 기구의 구성과 활동 내용을 비교하고, 사고조사 위원회의 바람직한 구성과 위원회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Brookes Bell 보고서에 수록된 출항 당시의 흘수에 근거한 배수량과 선미 램프의 폐쇄 전후의 횡경사각으로부터 도출한 GoM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출항 당시의 GoM값으로 추정한 사고 당시의 GoM값도 소개하고 있고, 수중체와의 충돌 시나리오를 후보 사고 시나리오에서 제외시켜야 할 이유도 열거하고 있다. 끝으로 해양사고 원인규명 활동이 보다 과학적으로 그리고 보다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 그리고 우리 사회의 안전문화 제고를 위한 몇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세월호 사고로 치른, 아직도 치르고 있는 희생을 딛고 해양안전문화가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세월호 사고의 원인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