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등

Search Result 72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싱글 로케이션 게임물 외부 설치 불허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시행령 발효

  • Korea Vending Mach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 Vending industry
    • /
    • v.7 no.2 s.20
    • /
    • pp.83-89
    • /
    • 2007
  • 크레인 게임기 등 싱글 로케이션 게임물의 외부설치가 금지된다. 문화관광부는 '건물밖에 설치한 싱글 로케이션 게임물은 모두 건물 내로 옮기는 경우에만 한해 제공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시행령을 지난 5월 16일 발효했다. 이로써 외부 설치되는 인형집게기 등 크레인 게임물은 불법으로 단속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같은 법령발효로 인해 크레인 게임물 관련업체들은 비상이 걸렸다. 반면 외부설치가 자유로운 자판기 분야에 있어서는 이번 입법이 로케이션 확대의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번 입법이 산업계 대내외적으로 끼칠 영향을 분석해 봤다.

  • PDF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of Small Scale Reservoirs for Emergency Action Plan(EAP) Establishment (소규모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선정지표 개발)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4-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상이변의 영향 및 지진 발생과 저수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의한 재해 위험성을 경감하고자 댐 저수지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EAP 수립 대상여부를 판단할 선정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EAP 수립지침 검토, 과거 붕괴사례 분석, 관련분야 선행 연구 등을 분석하여 저수용량, 제체높이, 경과연수, 호우인자 및 지진인자를 포함하는 5개 선정지표를 정량화 하여 제시하므로 실무적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선정지표는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적용하기에 앞서 각 선정 지표별 저수지 붕괴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단일지표 및 지표간 중첩도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진인자, 호우인자, 지진 및 호우인자, 경과연수 지표순 순으로 저수지 붕괴와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어,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연관되는 주요 지표를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지표간의 중첩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해 본 결과 호우인자+지진인자가 가장 높은 중첩도를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EAP 수립 대상 선정지표 중 주요 지표인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를 대상으로 2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와 3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과 검토그룹의 각각 분류한 후 이를 재해위험 저수지(MOIS, 2016)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38.5%를 차지하였고, 검토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11.9%를 차지하였다.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전문 시설관리자에 의한 주기적 점검 및 계측기 설치를 통한 모니터링 실시 등으로 세심한 시설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EAP 수립 대상 검토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제체 하류부 구간의 주민 거주 현황, 경작지, 축사 등 재산 현황 및 EAP 수립에 소요되는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수지 관리기관에서 최종적으로 EAP 수립 여부를 결정하여 잠재적인 피해 발생을 사전에 저감시켜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EAP 수립 기준의 보완책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speed-sensitive vehicle brake light system using LED (LED를 이용한 속도 감응형 차량용 브레이크등 시스템)

  • Kim, Tae-Jin;Kim, Hyung-Jun;Park, Seong-Jun;Park, In-Soo;Park, Sung-Won;Kim, S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09-810
    • /
    • 2016
  • In this study, Speed-sensitive vehicle brake using the LED,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range step while being turned in connection taillights brake of the vehicle, such as speed-sensitive vehicle brake using the LED, I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to be series of points are displayed. The rear vehicle can prevent collision about an abrupt stop of preceding vehicle by perceiving deceleration state of preceding vehicle easier and faster. Also, if the inter-vehicle distance by using an ultrasonic sensor is closer than a certain distance, the emergency light turns on to convey the situation to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with a buzzer.

  • PDF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MIPO Emergency Ancho (미포항 비상정박지 지정에 관한 연구)

  • Lee, Yun-Sok;Kim, Jong-Sung;Park, Jun-Mo;Yun, Gw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4
    • /
    • pp.316-322
    • /
    • 2012
  • In the port of Ulsan with the area of harbor limit of $83km^2$, 25,432 vessels have been entering annually and only 35 vessels can anchor simultaneously at the anchorage. The area of harbor limit of Ulsan constitutes just 65 percent compared to $127.5km^2$ which is an average of main ports in Korea. In this regard, the port of Ulsan needs to expand the area of anchorages inevitably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ort operation. To select the best anchorage area in Mipo harbor with the introduction of a concept of emergency anchorage,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of navigation and anchorage, and safety management, etc. in the prospected anchorage on the basis of the marine traffic survey observing traffic density. Furthermore, after drawing preliminary and final schemes through gathering the opinions from maritime users,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academic experts group, the best arrangement of emergency anchorage has been selected through the conference of interested parties. Then, the final scheme was also verified through figuring out the marine traffic system and carrying out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of Movable Weir for River Safety Management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 시스템 개발)

  • Kim, Phil Shik;Kwon, Hyung Joong;Lee, Jae Hyouk;Cho, Bum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8-558
    • /
    • 2015
  • 하천 시설물은 홍수시 혹은 비상시 운영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이나 관리지침 등의 마련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가동보 시설물에 대한 비상시 운영 메뉴얼 및 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정비사업과 같은 대표적인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하천 이 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 설치 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각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며, 적절한 지침 없이 관행적인 가동보 방류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나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11월에는 하천 제수변 공사를 위해 전주천에 설치한 가동보를 임시적으로 방류하였는데, 하류측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가동보를 방류하였고, 경보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가동보 하류측 징검다리를 건너는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4년 5월에는 수원시에 위치한 원천저수지 여수로 둑에 설치된 가로 34m 높이 1.6m 크기의 가동보가 공기압축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보 높이가 낮아지면서 약 30분 원천저수지 하류의 원천리천에 갑자기 무리 불어나 산책로가 침수되고 인근에 산책하던 주민들이 휩쓸려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외에서도 가동보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 2008년 11월 호주에서는 하류측 상황 점검이나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시켜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상류측 홍수 수위나 하류측 역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단순한 수위조절 기능으로서 가동보의 방류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동보를 운영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은 국내의 경우, 조작실의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기립/도복 조작이나 원격 조작 기능과 같은 단순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가동보 방류시 하류측의 범람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 가동보 도복에 의한 방류량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2) 방류량에 따른 하류측 수위상승 범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3) 가동보 도복 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4)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Life-rafts (구명뗏목에서의 비상대응 심폐소생술의 효과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4
    • /
    • pp.433-440
    • /
    • 2019
  • Offshore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ships, offshore oil and gas plants, and offshore wind turbines are isolated and directly exposed to rough seas, which pose high risks of safety accidents. Therefore, all workers in offshore plants should be able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must be qualified according to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 Convention) and Offshore Petroleum Industry Training Organization (OPITO) standards. In particular, marine workers should be able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isolated locations or enclosed and confined spaces such as those in life-boats, life-rafts, rescue-boats, etc. Because the floor material is made of rubber,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chest compressions in life-rafts used to escape from emergency situations in ships or offshore plants. Chest compressions performed on life-rafts may reduce the accuracy of CPR and increase fatigue for those providing aid. To measure the accuracy and fatigue of those performing CPR in life-rafts, 15 experiment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s first aid instructors were exposed to different CPR environments in a marine safety training center equipped with an artificial wave gene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PR in the classroom was 99.6 %, but that in various life-raft environments was only 84 %. T-verification of the two sites confirmed the reduced accuracy of CPR performed on life-rafts. CPR on life-rafts should be performed in groups of two and with the use of automated chest compression devices.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rol and Warning System of Movable Weir for River Safety Management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 시스템 개발)

  • Kim, Phil Shik;Kwon, Hyung Joong;Lee, Jae Hyouk;Park, 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5-245
    • /
    • 2017
  • 하천 시설물은 홍수시 혹은 비상시 운영할 수 있는 경보시스템이나 관리지침 등의 마련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가동보 시설물에 대한 비상시 운영 메뉴얼 및 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나 하천정비사업과 같은 대표적인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하천 이 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 설치 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을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각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실정이며, 적절한 지침 없이 관행적인 가동보 방류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나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11월에는 하천 제수변 공사를 위해 전주천에 설치한 가동보를 임시적으로 방류하였는데, 하류측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가동보를 방류하였고, 경보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가동보 하류측 징검다리를 건너는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4년 5월에는 수원시에 위치한 원천저수지 여수로 둑에 설치된 가로 34m 높이 1.6m 크기의 가동보가 공기압축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보 높이가 낮아지면서 약 30분 원천저수지 하류의 원천리천에 갑자기 무리 불어나 산책로가 침수되고 인근에 산책하던 주민들이 휩쓸려 떠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외에서도 가동보 운영 미숙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는데, 2008년 11월 호주에서는 하류측 상황 점검이나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시켜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상류측 홍수 수위나 하류측 역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보의 높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 역시 단순한 수위조절 기능으로서 가동보의 방류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동보를 운영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은 국내의 경우, 조작실의 조작판넬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기립/도복 조작이나 원격 조작 기능과 같은 단순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가동보 방류시 하류측의 범람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가동보 도복에 의한 방류량 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2) 방류량에 따른 하류측 수위상승 범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 (3) 가동보 도복 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4)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for the Capacity of Ordinary and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in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대심도 지하역사 승강장 및 대합실 평상시/비상시 급·배기 풍량에 대한 실험적 연구)

  • Jang, Yong-Jun;Lee, Ho-Seok;Park, Duck-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5 no.6
    • /
    • pp.579-587
    • /
    • 2012
  • Shin-gumho station in Seoul underground subway have been selected to b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real air supply & exhaust capacity compared to the original capacity of ordinary and emergency condition. The depth of Shin-gumho station is 43.6m which consists of the island-type platform ($8^{th}$ floor in underground) and a two-story lobby (first & second floor in underground). An emergency staircase connects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lobby. Hot-wire anemometer, capture hood, wind vane & velocity meter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are employed to perform the automatic measurement in this experiment. For ordinary case, air supply and exhaust capacity in the lobby were reduced by 34% and 46% compared to the original capacity, respectively. Air supply and exhaust capacity in the platform were reduced by 66% and 38%, respectively. For emergency case, air supply in the lobby was reduced by 42% and air exhaust in the platform was reduced by 28% compared to the original capacity. Therefore, air pollution in the station is expected to be worse in the ordinary environment and smoke control capability in the platform will be weakened in case of fire emergency.

A study on estimation of optimal reserves for multi-purpose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다목적댐의 적정 예비율 산정 연구)

  • Chae, Heechan;Ji, Jungwon;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spc
    • /
    • pp.1127-1134
    • /
    • 2018
  • According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henomenon. As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henomenon increases, frequency of disasters related to water resource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also increases. Drought is the main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water supply. Recently, the intensity of drought and the frequency of drought occurrence have increased in Korea. So, there is a need for water resource securing technology for stable water supply. Korean Water Plan mentioned that water reserves concept is necessary for stable water supply. Most multi-purpose reservoirs in Korea have emergency storage in addition to conservation storage used for water supply. However, there is no clear use standard for emergency stor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reservoir reserves for stable water supply. In order to consider the climate change impact, the AR5-based hydrological scenario was used as inflow data for the reservoir simulation model. Reservoir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conditions of emergency storage and water supply adjustment standard. The optimal reserves for each multi-purpose reservoirs was estimated using simulation results.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through Location/Allocation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 Focused on Optimum Location of Safety Centers in Jinju - (응급의료서비스 입지/배분을 통한 도시방재시스템의 도시계획적 접근 - 진주시 안전센터의 최적입지를 중심으로 -)

  • Choi, Jin Do;Kim, Yeong;Kim, Sung D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2-112
    • /
    • 2011
  •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활과 문화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재난과 비상사태는 생명에 대한 희생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심각한 경제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응급사태에 개비하여 적절히 준비되지 않았거나 재난의 예방 및 완화시킬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도시의 발전적인 프로젝트는 예고 없이 도시를 강타하는 재난 및 비상사태에 의해 무산되고 만다. 이러한 여건 하에 재난과 응급사고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응급처치와 서비스에 대한 급격한 관심과 함께 일정한 결정적 대응시간 내에 각종사고와 재해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고, 응급구조, 환자이송 등 도시의 병원 전 단계 의료환경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시간과 출동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응급사고에 즉시 응급구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안전센터(119센터)의 최적 입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고발생, 반응시간, 출동거리 등을 응급의료 활동과 관련된 연구논문, 대상지 전역의 소방기록물과 출동일지 등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패턴을 분석 하였다. 또한 응급구조대의 조직과 활동의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시설의 최적 입지설정을 위한 제도적 개선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대상지 연구를 위해, 구조활동 및 소방서비스의 최근 통계자료의 조사를 통해 진주시의 모든 119센터의 입지와 응급의료서비스 및 사고발생 현황을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14.0을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특성 분포, 안전센터별 대응시간, 이송시간 등을 소방 GPS시스템과 입지할당모형 중 Center Point Model(CPM)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상지역의 119안전센터의 서비스 질이 나쁜 지역을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최적 입지/배분 패턴의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응급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입지/배분을 통해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