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만예방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9초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발달, 손목 골밀도 및 영양섭취와의 상관성

  • 나현주;명금희;최미경;김애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1052
    • /
    • 2003
  • 미취학 아동기는 생후 1년 동안의 급격한 성장 이후로부터 학령기가 되기 전까지 성장이 완만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혼자 먹는 행동을 익히게 되고 식품에 대한 기호가 형성되는 등 식생활에서도 뚜렷한 개인특성을 갖게되며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시기에 영양부족에 따른 신체발달의 지연이나 영양과잉에 따른 비만과 같은 과다한 신체발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신체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는 취약한 칼슘섭취 부족에 따라 골격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모든 질환이 그러하듯이 골격질환도 치료보다는 예방적인 관리가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따라서 골격건강과 최적의 신체발달을 위한 식사인자는 매우 중요하며, 일생의 성장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인자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식품선택의 독립성이 확립되는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와 골격 발달에 관련성이 있는 영양섭취 요인을 찾아봄으로써 골격과 신체 발달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46~84개월의 미취학 어린이 총 62명(남자 37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상자의 신체계측(InBody, Biospace)과 손목의 골밀도(DEXA, Medilink)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어린이와 부모의 일반사항, 어린이의 건강상태, 식습관 및 활동조사표와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사조사표로 구성하였다. 식사섭취조사 결과는 CAN-Pro를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연구결과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녀 어린이의 평균 월령은 62.43$\pm$7.26 개월과 62.12$\pm$8.85개월이었다. 출생시 신장과 체중은 남자 어린이가 50.92$\pm$2.14 cm와 3.36$\pm$0.42kg, 여자 어린이는 각각 50.29$\pm$1.36cm와 3.32$\pm$0.39kg이었다. 현재 신장과 체중은 남자 111.65$\pm$5.44 cm와 19.60$\pm$3.52kg, 여자 109.04$\pm$5.04 cm와 18.67$\pm$2.81kg이었으며, 비만지수는 남녀 각각 -2.13$\pm$9.09%와 0.22$\pm$10.49%였다. 손목의 골밀도는 남녀 어린이 각각 0.25$\pm$0.04g/cm, 0.24$\pm$0.03g/$\textrm{cm}^2$이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어린이 각각 영양권장량의 66.43$\pm$18.58%와 70.46$\pm$20.31% 수준이었으며, 남녀 어린이 모두 단백질(124.97$\pm$37.55%, 131.24$\pm$45.49%), 비타민B$_{6}$ (152.48$\pm$47.01%, 152.95$\pm$61.77%), 엽산(106.87$\pm$40.44%, 104.52$\pm$50.16%), 비타민 E (121.04$\pm$52.79%, 113.48$\pm$75.78%)를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되는 섭취수준을 보였다. 특히 성장기에 중요한 칼슘도 남녀 어린이 각각 권장량의 62.21$\pm$39.46%와 70.07$\pm$34.52%로 낮게 섭취하고 있었다. 모든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어린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체계측치와 영양섭취와의 관계에서 체중, 체수분량, 제지방량은 각각 동물성 철 섭취량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p<0.01, p<0.01). 골밀도와 영양섭취와의 관계에서 손목 골밀도는 식물성 칼슘 섭취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특히 위쪽 손목 골밀도는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철 섭취량과 각각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p<0.05,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미취학 아동에 있어 신체상태와 골밀도는 동물성 단백질, 식물성 칼슘, 동물성 철 섭취량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이들 영양소의 섭취가 신체와 골격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T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Chron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Middle and Older Adults According to Gender)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03-410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 장년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35~65세의 중 장년 남성 3,071명, 여성 4,273명 총 7,344명을 최종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나쁨'이 남성은 1.69배(p<0.001), 여성은 1.50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저작불편 '있음'은 남성은 2.01배(p<0.001), 여성은 1.40배((p=0.001)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자는 남성에서는 1.68배(p<0.001), 여성은 2.07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고혈압유병은 정상에 비해 고혈압전단계 군이 남성은 1.44배(p<0.001), 여성은 1.30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비만은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남성은 1.199배(p<0.05), 여성은 1.202배(p<0.05)의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당뇨는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유병군에서 남성은 1.28배(p<0.05), 여성은 1.53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남성은 저작불편, 여성은 흡연이 치주질환에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과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성의 구강건강관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구강질병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식이 섭취와 혈중지질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Intake and Serum Lipid Profile of Subjects Who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

  • 정미숙;배제헌;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583-1588
    • /
    • 2008
  • 본 연구는 건강진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자 293 명을 고지혈증 치료지침 혈중지질 농도 기준에 따라 정상군, 경계군,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신체계측, 혈액 성분 및 혈압,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여 혈중지질 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군별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평균은 정상군에 비해 경계군, 위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열량 섭취량은 정상군 1,818.3 kcal, 경계군 1,803.0 kcal, 위험군 1,999.5 kcal로 정상군에 비해 위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에너지원인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섭취량에 서 정상군에 비하여 위험군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연구대상자들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정상혈중중성지방군보다 위험혈중중성지방군인 대상자에서 열량,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소 섭취와 혈중지질 농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열량,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섭취량이 혈중 중성지방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탄수화물 섭취량과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지혈증 혹은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높은 대상자들에게서 모두 열량,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섭취량이 높게 나타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고지혈증 요인 중의 하나가 과잉 식이섭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인의 건강한 혈중지질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과잉 식이섭취에 의한 비만을 예방하고 특히 적절한 지방 및 탄수화물의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나리 발효 식초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및 항염증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Lyophilized Dropwort Vinegar Powder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 박윤희;최준혁;황기;이승욱;양선아;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6-484
    • /
    • 2014
  • 비만은 감염원 없이 진행되는 낮은 수준의 만성적인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만성대사질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를 발효하여 만든 식초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DI (IBMX, dexamethasone, insulin)에 의해 분화가 유발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미나리 식초의 분화 억제능을 Oil-red-O staining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법을 통해 지방세포 형성 시 중요한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나리 식초가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 된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inducible NO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미나리 발효 식초는 지방세포 분화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나리 발효 식초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업 근로자들의 결근요인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of Absenteeism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 이동배;이태용;조영채;이영수;오장균;박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74-586
    • /
    • 1993
  • 산업장 근로자들의 결근실태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시내에 위치한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1,184명을 대상으로 1992년 6월에서 8월 사이의 3개월간 결근양상에 대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총결근자율은 20.1%, 질병결근자율은 6.9% 였으며 총결근율은 1.2%, 질병 결근율은 0.5%로 나타났다. 2. 결근자의 평균결근일수는 2.8일이었으며 이중 질병으로 인한 경우가 4.4일, 질병이 아닌 원인으로 인한 경우는 1.4일로 나타났다. 원인별 질병결근의 평균결근일수는 두부, 사지, 체간의 상해로 인한 경우가 $13.2{\sim}18.6$일로 다른 원인에 비해 높았으며, 총 결근일수는 사지상해, 체간상해, 몸살, 두부상해, 근골격계 증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결근여부에 관련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유해요인 노출여부, 1일 근무시간, 직종의 변수였으며, 질병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직종 변수였다. 4. 결근자군에서 결근율에 영향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율에 작업분위기, 비만지수, 작업환경, 1일 작업시간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총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13.1 % 였다. 질병 결근율에는 1일 작업시간, 교육정도, 작업분위기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질병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25.4% 였다.

  • PDF

비만 청소년의 과거 12년간 Body Mass Index 변화 -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Twelve-year Study on Body Mass Index Changes of Obese Adolescents)

  • 강윤주;서일;홍창호;박종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4호
    • /
    • pp.665-676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BMI (Body Mass Index) of obese and non-obese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for 12 years and to see the trends of overt weight gain in obese adolesc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nnual increasing rates of body mass Indices in male students were $1.14kg/m^2$ in obese group and $0.59kg/m^2$ in non-obese group. In female students, the average annual increasing rates of body mass indices were $0.93kg/m^2$ in obese group and $0.53kg/m^2$ in non-obese group. 2. The change rate of BMI for 12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non-obese group. 3. Puberty had less influence on the change rate of BMI in obese group compared to non-obese group. 4. In obese group, 71.8% of the variance in BMI at 17 can be predicted by BMI at 16 years in male students. In female students 44.4% can be predicted by BMI at age 16. 5. Among the 17-year-old obese students, 58.8% of the males and 56.2% of females were found not to have been obese at 7 years of age. 6. Among the 17-year-old obese students, those who were obese at 7 years of age were found to have higher BMI at later ages than those who were in the non-obese group. Obes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obese in their childhood than non-obese group. There was no optimal age for the significant weight gain and the increasing rate of BMI was const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n-obese group. Due to the fact that child obesity in early age contributes to obesity in adolescence, close observation is advised. On the other hand, a large proportion of obese adolescents can be preventable by early interventions, because about 50% of obese adolescents were not obese in early elementary school age.

  • PDF

일부 지역 주민에서 고혈압이환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Indices with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Adult)

  • 손락성;윤태영;최중명;박순영;유동준;최봉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43-451
    • /
    • 1999
  •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prevalence and the four commones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r obesity(body mass index(BMI), wasit-hip ratio(WHR), waist circumference(WC) and body fat in Korean adults. Methods: We studi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blood pressure in 1,197 individuals(who were participants in th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Hypertension was defined as blood pressure $\geq160/95\;mmHg$ or current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nformations on life-style factors were obtained from personal interview. Results: There were close associations between BMI, WHR and WC with blood pressure in both men and women. After age adjustment, BMI and WC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levels in both men and women. Odds ratio(ORs) of being hypertensive were estimated comparing the highest to the lowest quantile, adjusting for age,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levels, education attainment. The simultaneously adjusted ORs of being hypertensive, comparing the highest vs the lowest categories, was for BMI 2.0(95% confidence interval(CI)=0.9-3.2) in men and 3.2 (95% CI=1.7-6.1) in women, for WC 2.1(95% CI=1.0-4.4) in men and 3.1 (95% CI=1.6-5.9) in women, for fat(%) 4.2(95% CI=1.9-9.5) in men and 2.1(95% CI=1.2-3.6) in women. Conclusion: In addition to measures of overall obesity(BMI) as well as central obesity(WHR, WC), body fa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obesity indices, body fat was the most predictor variable in hypertensive state in male and BMI was in female.

  • PDF

초등보건교사의 학교기반 아동비만 예방관리사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as Perceived and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 추진아;양화미;김혜진;오상우;김수연;정미영;박미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8-168
    • /
    • 2013
  • Purpose: Elementary schools are regarded as the best community setting for implementing obesity prevention programs and health teachers (HTs) are the main health professionals who can provide obesity prevention service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 management program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management programs, perceived and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HTs, which ma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We investigated (1) HTs' ratings on the program's importance, the confidence in the program's implementa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success (2), the correlates of the importance and confidence levels (3),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ts sustainability, which were evaluated by HTs, and (4) the correlates of the effectiveness levels. Methods: The participants, 147 HT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asked to fill out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through mail. Results: The participants' rate on the program's importance was 7.1 on average (0~10 scale) and that on the confidence in the program's implementation was 6.2 (0~10 scale). Moreover, > 25%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student and parent participation as a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success. Of the total participants, 45.6% reported they had actually experienced the program, giving 4.8 points (0~10 scale), on average,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 22.0% of the participants regarded student and parent participation as a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ogram's sustainability. The HTs' confidence in the program's implementation was a strong correlate of the effectiveness evaluated by HTs. Conclusion: School-based obesity prevention/management programs tend to be highly prioritized by HTs in elementary schools. To implement an effective obesity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support for HTs is needed in order to enhance their confidence levels on the program's implementation.

  • PDF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한 말초동맥질환 유병률 (Prevalence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PAD) used by edinburgh claudication questionnaire among the elderly people in rural communities)

  • 손지연;김귀연;이종영;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2호
    • /
    • pp.364-372
    • /
    • 1995
  • 말초동맥질환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산군 남산면과 진량면 53개 리의 65세 이상 노인 803명을 방문 면담 조사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Edinburgh 파행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성별, 연령, 흡연 습관에 관하여 질문하고,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로 치환하고, 혈압을 측정하였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9.0%이며 남자는 8.5%, 여자는 9.3%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전형적 파행은 3.9%이고, 비전형적 파행은 5.1%이고 증상의 정도를 보면 1도는 4.4%, 2도는 4.6%이었다. 연령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을 보면 $65\sim69$세는 7.7%, $70\sim74$세는 9.5%, $75\sim79$세는 9.7%, 80세 이상은 9.8%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은 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은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군에서는 18.9%로 160mmHg 미만군의 7.9%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체질량 지수가 20미만군에서는 15.1%이고, $20\sim25$ 미만군에서는 10.3%, 25 이상의 비만군에서는 2.8%로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흡연군에서는 8.8%, 비흡연군은 9.0%로 흡연에 따른 말초동맥질환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에서의 말초동맥 질환의 유병률이 9.0%로 말초동맥질환이 우리나라에서도 중요한 노인보건문제로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인의 일부 도시인에서 비만, 이상혈당, 이상지질혈증의 집락과 고혈압의 관련성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in Korean Urban Population)

  • 이강숙;김정아;박정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1호
    • /
    • pp.59-71
    • /
    • 1998
  •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in Korean urban population, we conducted this cross-sectional study among 3027 men and 2127 women age 20-85 years who visited a prevention center between May 1991 and June 1995 for a multiphasic health check at St. Mary's Hospital, Seoul.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formations of educational attainments, monthly income, alcohol consumption, cigarette smoking, and physical excercise level were obtaine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y a trained nurse. The fasting blood sugar (FB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tested by enzyme metho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was calculated by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riglyceride/5'. For testing the difference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etween hypertension and normotension group, 1-test and $\chi^2$-test were performed. For the age adjusted odds ratios of hypertension in persons with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compared with norm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SAS pakageprogram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ge, weight, body mass index(BMI),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hypertension group i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on group, but height and HDL cholesterol of hypertension group only in women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otension group. The frequency of obesity $(BMI\geq25kg/m^2)$, abnormal glucose $(\geq\;120mg/dl)$, hypercholesterolemia $(\geq\;240mg/dl)$, lower HDL cholesterol (<45 mg/dl in women only), higher LDL cholesterol $(\geq\;160mg/dl)$, and hyper hypertriglyceridemia $(\geq\;250mg/dl)$ in hypertension group of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on group. 2.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ght, but positively with age, weight, BMI,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en and women.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but negatively with HDL cholesterol. 3. The age adjusted odds ratios of hypertension were as follows in men and women : among persons who were obese compared with those nonobese, 2.53 (95% Confidence Intervals [C.I.] 2.08-3.07) and 2.22 (95%C.I. 1.71-2.87): among persons who were abnormal glucose compared with those normoglycemic, 1.43 (95%C.I 1.13-1.82) and 2.01 (95%C.I 1.36-2.94): and among persons who were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or lower HDL cholesterol or higher LDL cholesterol or hypertriglyceridemia) compared with those normal lipid, 1.59 (95%C.I 1.30-1.95) and 1.51 (95%C.I 1.16-1.96). After combined more than one risk factor, the odds ratios were increased. Among persons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and dyslipidemia, the odds ratio of hypertension was 2.25 (95%C.I 1.47-3.37) in men and 3.02 (95%C.I 1.71-5.30) in women.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hypertension was associated with cluster of obesity, abnormal glucose, dyslipidemia in this Korean urban pop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