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례단위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수리동력학적 및 초음파 캐비테이션 슬러지 전처리 장치의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Sludge Pre-Treatment Systems : Hydrodynamic vs Ultrasonic Cavitation)

  • 맹장우;배재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0-95
    • /
    • 2009
  • 슬러지 전처리 방법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cavitation을 이용한 방법은 서로 다른 원리, 초음파발생기(sonotrode)와 수리동 역학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방법의 효율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전처리 방법에서 슬러지 가용화 효율, 전처리 후 입경변화, 전처리 전후의 메탄 생성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두 방법에 있어서 단위 에너지 투입량 당 가용화 효율은 유사하였으며, 최대 가용화 효율은 0.18 kWh/L에서 302 mg ${\Delta}SCOD/g$ TS이었다. 전처리 초기에는 슬러지의 floc 해체가 주로 일어났고, 전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1 ${\mu}m$ 이하의 입자가 증가하여 셀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MP 시험 결과 슬러지의 메탄가스 발생량은 전처리 방법별 차이는 없이 최대 24.3%까지 증가하였으나, 투입 에너지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다. 비록 두 방법의 에너지 효율을 유사하지만 운영 및 유지비와 향후 에너지효율 개선 잠재력 면에서 볼 때 수리동력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현장 적용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의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이병우;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5-671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Lentinus edodes SR-1) 균사체를 액체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추출, 정제한 PBP의 항암효과 및 면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PBP의 항암효과는 in vitro 배양에서 암세포의 배수시간을 2배로 연장하는 활성단위 1 unit은 mouse leukemic cell인 $P_{388}$$L_{1210}$의 경우 1 mg 정도였으며, 인체의 장암세포인 HCT-48, HRT-18, HT-29 및 간암세포인 Hep G2의 경우 각각 4.4, 3.6, 6.6, 2.6 mg이었다. 그리고 $P_{388}$$L_{1210}$의 경우 배지 1 mL당 4 mg 정도, HRT-18 및 HT-29, Hep G2의 경우 9 mg의 PBP를 첨가했을 때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_{388}$$L_{1210}$, HCT-48, Hep G-2의 PBP 처리에 따른 암세포의 크기 분포도 변화는 PB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리고 PB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적은 쪽으로 이동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 대조군보다 PBP를 첨가한 군에서 비장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용혈반 형성실험에서 PBP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항체 형성세포가 2배로 증가하였다.

  • PDF

연성판정 비터비 복호기의 최적 BER 성능을 위한 오프셋 크기와 양자화 간격에 관한 성능 분석 (A new spect of offset and step size on BER perfermance in soft quantization Viterbi receiver)

  • 최은영;정인택;송상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A호
    • /
    • pp.26-34
    • /
    • 2002
  • IS-95 또는 IMT-2000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10~20msec 길이의 프레임 단위로 정보를 교환하게 되므로 수신측에서는 이와 같은 크기의 프레임을 저장할 버퍼가 필요하다. 연성판정 비터비 복호기를 사용할 때, 이를 위한 버퍼의 크기, 즉 한 프레임에 들어 있는 비트 수는 길쌈부호의 부호율(1 대 n), 전송속도(bps), 그리고 연성판정 비트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성판정 비트 수를 4 비트에서 3 비트로 낮추면서 비터비 복호기의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한 양자화 방법을 제안한다. 연성판정 비트 수(4,3,2,1)별로 양자화 판정 기준 점의 오프셋 크기와 양자화 간격에 대해 비터비 복호기의 성능을 AWGN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하였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BER 성능을 갖는 오프셋 크기와 양자화 간격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4 비트 연성판정의 성능에 근접하는 3비트 연성판정 양자화 방법을 도출하였고, IS-95(4 비트)의 최대 40배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IMT-2000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대 미미한 성능 손실(-0.05 dB)을 유지하면서 입력 버퍼의 크기를 3/4 배로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전송속도에 따라 반복된 누산 입력신호를 제안된 비트 수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 SMT(symbol metric table)를 고안하였다.

Poly(t-butylstyrene) 그라프트를 가지는 수산기 말단 관능화 폴리올레핀 탄성체의 합성 (Synthesis of Multi Hydroxyl Chain-End Functionalized Polyolefin Elastomer with Poly(t-butylstyrene) Graft)

  • 이형우;조희원;이상민;박샛별;김동현;이범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1호
    • /
    • pp.10-17
    • /
    • 2013
  • 선형 poly(ethylene-ter-1-hexene-ter-divinylbenzene) 소프트 탄성체 블럭내의 styrene 관능기로부터 poly(t-butylstyrene)하드 블록을 graft-from 음이온 중합을 통해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성 폴레올레핀 열가소성 탄성체인 polyolefin-g-poly(t-butylstyrene)을 합성하였다. sec-BuLi/TMEDA와 styrene 단위로부터 반응에 의하여 100% 수율의 음이온 개시 자리를 만들고 4-tert-butylstyrene을 graft-from 중합시켜 10,000~30,000 g/mol 분자량을 가지는 블록을 합성함으로서, 고온 $T_g$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그라프트 고분자를 얻을 수 있었다. 단량체 함량과 중합시간에 따라 그라프트 분자량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효과적인 리빙 중합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사슬 말단에 다수의 수산기가 도입된 폴리올레핀 TPE의 합성방법으로서, 리빙 그라프트 고분자 사슬에 계속하여 isoprene을 블록 중합하여 얻어진 polyolefin-g-[poly(t-butylstyrene)-b-high vinyl polyisoprene]의 비닐기와 2-mercaptoethanol간의 thiol-ene 클릭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T_g$(> $145^{\circ}C$)를 갖는 정밀 제어된 기능성 그라프트 형태의 폴리올레핀 기반 TPE를 합성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위한 순환표본 설계연구 (A Rolling Sampling Design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계오;박진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8권2호
    • /
    • pp.67-89
    • /
    • 2007
  • [ $\ulcorner$ ]국민건강 영양조사$\lrcorner$는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형태조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구성되며 국민의 주관적 객관적 건강상태, 건강에 관한 의식 및 형태와 식품섭취현황 등 건강과 관련되는 제반 사항을 종합적이고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된다. 이 조사는 1998년부터 3년 주기로 시행되고 있는데 현재 제3기 조사 통계가 공표되었으며, 2007년부터 2009년에 걸쳐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제4기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결정한 대로 연중에 상시적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매년 국가단위 통계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위한 새로운 표본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최초로 순환표본조사(rolling sampling survey)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조사여건을 고려할 때 일시에 훈련된 조사요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수준 높은 조사요원들이 상시적으로 조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함으로써 조사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게 하는 순환조사 방식을 도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측정자 간의 변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조사 여건을 충분히 감안한 효과적인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이동 네트워크(NEMO)에서 HMIPv6를 적용한 AAA 인증 방안 연구 (An Authentication and Handoff Mechanism using AAA and HMIPv6 on NEMO Environment)

  • 최경;김미희;채기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2호
    • /
    • pp.165-182
    • /
    • 2009
  • Mobile IPv6는 시그널 양이 단말과 비례한다는 점에서 대역폭 낭비가 심하며 또한, 무선 이동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바인딩 시그널 양과 트래픽, 효과적인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점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Mobile IPv6를 확장한 NEMO(NEtwork MObility)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NEMO는 여러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이동 라우터를 이동 네트워크라는 단위로 묶어 이동성을 제공한다. 이때 노드들은 이동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때문에 이동 시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는 투명성을 제공받고, 그만큼 바인딩 시그널이 줄어 바인딩 스톰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NEMO는 이동성 지원을 통해 여러 네트워크들이 계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이동 구조를 갖게 되고, 이동 시 상위 네트워크 혹은 하위 네트워크들 간의 인증을 통해 안전성과 보안성을 향상되어야 함이 필수적이다. 또한, 안전한 인증 뿐만 아니라 빠른 핸드오프가 이루어져서 이동성에 따라 수반되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NEMO 이동 시나리오를 7가지로 정리하고, 각 시나리오별 AAA인증과 F+HMIPv6를 적용하여 안전한 인증과 빠른 핸드오프를 통한 인증 및 핸드오프 시 발생하는 시그널링 양과 패킷 지연률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다당류, 메틸란, 발효밴잉액의 점성특성과 메틸란 생산에 미치는 교반속도의 영향 (Effect of Agitation on Production of Methylan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thylan Fermentation Broth)

  • 오덕근;임현수;김정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191-195
    • /
    • 1995
  •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이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유가식 배양법으로 고점도 다당류인 메틸란(methylan)의 생산시, 메틸란 배양액의 점성특성과 산소전달속도와 메틸란 생산 수율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균체 농도의 증가는 배양액의 점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메틸란의 축적은 배양액의 점성특성을 비뉴톤성으로 변화시키며 동시에 급격한 점도 증가를 보였다.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같은 농도하에서 메틸란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현저하게 증가 하였고 pseudoplasticity 정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메틸란 구성 성분의 화학조성을 분석 하였다. 구성성분 중의 유기산(pyruvic acid, uronic acid, acetic acid)의 함량이 메틸란 생성 초기인 34시간에 10%에서 배양말기인 72시간에서는 17%로 증가하였다. 즉, (-)전하를 띠는 산의 함량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메틸란 분자네 chain간의 전기적 반발로 인하여 수용액 상태에서 메틸란 분자의 hydrodynamic domain의 증가로 추측되었다. 이와같이 메틸란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점도의 증가는 배양도중 산소전달속도($k_La$)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여 균체증식과 메틸란의 생산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균체의 메틸란 생산능력에는 큰변화가 없어 단위 균체당 메틸란 수율(P/X)은 큰 차이가 없었다. 산소전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교반속도를 증가시킨 결과 메틸란의 농도, 비생산 속도 및 생산 수율이 거의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 PDF

고온 스트레스기에 비태인의 사료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l Betaine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during the Heat Stress)

  • 류경선;류명선;신원집;조기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4
    • /
    • 2002
  • 비태인은 세포에서 삼투압 조절인자로 작용하며 콜린 대체와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고온 스트레스 기간에 비태인의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관련되는 생리적인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8주간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사료는 조단백질 16.00%, 대사에너지 2,800 kcal/kg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사료에 비태인의 급여수준은 0, 500, 1,000, 2,000pprn으로 하였으며, 처리구당 반복은 4반복, 반복당 수수는 18수씩 배치하였다.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4주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계란의 품질과 간의 비태인 함량, 혈중 콜레스테롤,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은 실험 종료시에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지만 비태인 500과 2,000ppm처리구에서 75.06과 75.02%로서 대조구의 72.62%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요구율은 각각 2.203, 2.125 로서 대조구의 2.374보다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강도는 비태인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거나 (P<0.05)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난백고와 호유닛은 대조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간에서 비태인 함량은 사료내 비태인의 수준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태인 2,000ppm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P<0.05). 혈중 콜레스테롤과 triacylgycerol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비태인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은 비태인 급여 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고온 스트레스기에 비태인의 첨가.급여는 산란계의 생산능력을 개선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난각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산태 질소 정량을 위한 환원 증류법에서 Devarda's Alloy의 입자크기 및 함량이 미치는 영향 (Particle Size Effects of Devarda's Alloy on the Recovery of Nirate N Determined by the Steam Distillation Method)

  • 정석호;권현재;정덕영;한광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7-393
    • /
    • 2011
  • 본 연구는 환원증류법을 사용하여 축사, 매립지, 시설재배지 등 높은 수준의 질산태 질소로 오염된 토양의 질산태질소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있어서, Devarda's alloy 의 입자 크기가 질산태 질소의 회수율에 미치는 효과와 Devarda's alloy의 처리량과 환원된 질산태 질소의 양과의 상관관계, 고농도의 질산태 질소를 함유한 토양 추출액의 정확한 분석을 위한 적절한 접근방법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험된 각 Devarda's alloy는 입자 크기의 분포가 서로 달랐으며, 이는 다소 높은 질산태 질소 조건인 1 mg과 2 mg $NO_3$-N에서 서로 다른 질산태 질소 회수율로 반영 되었다. 한편, 고농도의 질산태 질소 조건에서는 모든 Devarda's alloy들이 용액 중 질산태 질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질산태 질소의 회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험된 모든 Devarda's alloy들은 예상과 달리, 단위 질량 당 환원된 질산태 질소의 양이 용액중 질산태 질소의 양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높은 수준의 질산태 질소로 오염된 토양 시료를 안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Devarda's alloy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감안한 충분한 처리, 그리고 두 수준 이상의 Devarda's alloy를 처리한 후 회수된 질산태 질소량 변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발견된 질산태 질소량의 화학적 비당량성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보다 자세히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의 산란수, 수명, 발육기간 및 번데기 중량 (Fecundity, Life span, Developmental periods and Pupal weight of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

  • 박영규;최영철;이영보;이상현;이준석;강승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6-132
    • /
    • 2012
  • 갈색거저리를 소맥피와 가축사료를 먹이로 하여 $25{\pm}5^{\circ}C$, $65{\pm}10%RH$에서 사육한 결과 발육기간은 80.0 ~ 83.7일, 번데기크기는 18.1 ~ 18.7 mm로 유사하였고 2일간의 평균 산란수는 44.3 ~ 55.3개이었다. 갈색거저리 번데기의 평균 무게에 따라 0.12 g, 0.15 g, 0.18 g의 세 중량으로 구분하여 우화 후 성충의 일생동안 평균 산란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172.3, 191.2, 215.0개로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산란경향은 우화 2주차까지 51.8%를 산란하여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번데기 무게에 따른 성충의 수명은 각각 $27.1{\pm}6.9$, $30.1{\pm}7.8$, $27.4{\pm}8.5$ 일로 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사육 용기($16{\times}21.5{\times}7cm$)에 유충 사육밀도를 100, 300, 500, 700마리로 사육한 결과 용화 시작 후 3주 이내에 67.9%가 용화되었으며 단위 공간당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번데기의 중량은 용화 시작 후 3주까지 각각 $146.9{\pm}6.5$, $142.1{\pm}8.3$, $122.0{\pm}9.6$, $118.5{\pm}5.2mg$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