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붓꽃과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8초

팔공산 금붓꽃 계열의 자연 잡종 현상 (Natural hybridization of Iris species in Mt. Palgong-san, Korea)

  • 손오경;손성원;서강욱;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3-253
    • /
    • 2015
  • 붓꽃속(Genus Iris)의 금붓꽃계열(Series Chinensis)은 극동아시아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총 6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 (각시붓꽃 complex와 금붓꽃 complex)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개체들의 실체와 붓꽃속 금붓꽃계열 분류군간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핵 rDNA ITS와 엽록체 matK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총 55개체로부터 얻은 106 개 ITS amplicon의 염기서열 및 군외군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금붓꽃계열의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 금붓꽃 및 잡종추정군은 군외군과 구분되어 유집되었으나, 군내군 사이에서는 높은 다형성 염기서열이 관측되었다. ITS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의 일부는 노랑무늬붓꽃과 하나의 분계조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잡종추정군의 경우는 금붓꽃+노랑붓꽃과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편 cpDNA의 경우 matK를 제외한 나머지 마커는 금붓꽃과 노랑붓꽃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matK의 NJ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이 금붓꽃과 높은 Bootstrap 값으로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으며, 염기서열이 일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군의 모계는 금붓꽃이고 부계는 노랑무늬붓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First report of a newly naturalized Sisyrinchium micranthum and a taxonomic revision of Sisyrinchium rosulatum in Korea)

  • 신혜우;김명준;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0
    • /
    • 2016
  •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 (Sisyrinchium micranthum Cav.)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중남미가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침입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등심붓꽃은 국내에 먼저 보고된 귀화식물인 등심붓꽃의 자매종이며 두 종 모두 Echthronema 아속에 속한다. 연등심붓꽃은 화관의 밑부분이 긴 항아리 모양, 열매와 씨가 큰 점에 의해 등심붓꽃과 구별된다. 꽃이 연보라색이어서 국명을 연등심붓 꽃이라고 신칭하였다. 등심붓꽃의 이전 학명인 S. angustifolium Mill.은 Sisyrinchium 아속에 속하는 종이며 형태적으로 등심붓꽃 (S. rosulatum)과 매우 상이하다. 등심붓꽃의 학명을 기준표본, 원기재문, 최근의 논문들을 근거로 S. angustifolium Mill. 에서 S. rosulatum E. P. Bicknell 으로 변경한다.

Plastid DNA (psbA-trnH, trnL-F)의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ris L. based on plastid DNA (psbA-trnH, trnL-F) sequences)

  • 이현정;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3
  • 한국산 붓꽃속 16종과 1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유연관계 및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산 붓꽃속은 5개의 Clade로 나타났으며, Clade I에는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Sibiricae, Clade II에는 Series Ruthenicae, Easatae, Clade III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IV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V에는 Serie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나타났다. 대청부채, 만주붓꽃, 연미붓꽃은 하나의 단계통을 형성하여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고, 금붓꽃과 노랑붓꽃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두 종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연미붓꽃은 Crossiris속의 Crossiris절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노랑무늬붓꽃, 금붓꽃, 노랑붓꽃)과 각시붓꽃계열(넓은잎각시붓꽃, 각시붓꽃)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붓꽃속은 크게 4아속(Limniris, Crossiris, Iris, Pardanthopsis)으로 나눠지며, Pardanthopsis아속, Iris아속 그리고 Crossiris아속에서 Limniris아속으로 분화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RAPD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RAPD analysis)

  • 박선주;심정기;박홍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3-396
    • /
    • 2002
  • 한국산 붓꽃속(Iris L.; Iridaceae) 15종과 비교군인 등심붓꽃속(Sisyrinchium auguistifolium Mill.)과 범부채속(Belamcanda chinensis (L). DC.)을 포함한 17분류군을 대상으로 RAPD분석이 수행되었다. 10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80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가 확인되었다. 유전적 상사도 지수에 의하여 bootstrap을 포함한 neighbou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한국산 붓꽃속은 3아속(Limniris, Crossiris, Pardanthopsis) 또는 2속과 1아속으로 분류되어지고, 붓꽃아속(Limniris)은 6개의 분계조를 형성하고 있어 Waddick(1992)이 설정한 2절, 6계열의 분류체계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과 각시붓꽃계열로 구분되어진다. Tripetalae계열에 속하는 부채붓꽃은 Sibiricae계열(시베리아붓꽃, 붓꽃)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Ensatae계열에 속하는 타래붓꽃은 Ruthenicae계열에 속하는 솔붓꽃, 난장이붓꽃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RAPD 분석자료를 기초로 한 한국산 붓꽃속의 계통학적 연구는 형태학적, ITS 염기서열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된 분류군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접근방법이라 생각되며, 전체 붓꽃속 수준에서의 계통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자생 붓꽃과 식물 5종의 핵형분석 (Karyotype Analysis of Five Iris Species Native to Korea)

  • 박영욱;김동민;황윤정;임기병;김현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39-43
    • /
    • 2006
  • 한국 자생 붓꽃과 식물 5종 (노랑무늬붓꽃, 타래붓꽃, 연미붓꽃, 대청부채, 범부채)에 대한 핵형분석 보충 연구를 수행하였다. 5종의 염색체는 모두 이배체였으나 염색체 수와 핵형적 조성에 있어서는 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노랑무늬붓꽃의 핵형식은 2n=34=10m+16sm+8st로 2쌍의 부수체 염색체를, 타래붓꽃은 2n=40=26m+12sm十2st로 2쌍의 부수체 염색체를, 연미붓꽃은 2n=30=14m+16sm으로 5쌍의 부수체 염색체를, 대청부채는 2n=32=22m+10sm으로 2쌍의 부수체 염색체를, 범부채는 2n=32=20m+10sm+2st로 1쌍의 부수체 염색체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이들 5종 식물에 대해 이전 핵형보고와는 다른 염색체 수와 부수체 염색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각종의 세포유전학적 규명에 유용할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원예용 및 약용가치로 개발의 가치가 기대되는 붓꽃과 식물의 실용화 작업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되리라고 본다.

자생붓꽃의 형태적 특성 및 RAPD 마커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by RAPD Marker in Iris spp.)

  • 홍성미;고재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9-23
    • /
    • 2004
  • 본 연구는 붓꽃속 식물의 형태적 특성 조사와 RAPD분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과 근연성을 밝히고 유전자 도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RAPD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자생붓꽃종의 DNA다형성을 조사한 결과 40개의 primer중 8개의 유용한primer가 선발되었고 이들 primer는 108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들 중 다형성 밴드는 107 개였다. Jaccard (1-S$_{J}$ )법에 의한 비유사도 계수는 0.095∼0.699로 나타났고, dendrogram에서 나타난 유전적 근연성은 크게 세 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연미붓꽃, II군은 타래붓꽃, 제비붓꽃, 노랑꽃창포, 노랑무늬붓꽃이 속해 있었으며, III군은 금붓꽃, 각시붓꽃, 붓꽃, 꽃창포가 속해 있었다.

노랑붓꽃과 금붓꽃의 입실시기 및 온도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cing Date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 이정호;이정희;박광우;송천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99-704
    • /
    • 2007
  • 한국 자생 노랑붓꽃과 금붓꽃을 초봄의 분화로서의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11 월 1일부터 12월1일까지 15일 간격으로 3차례 입실하였고, $7^{\circ}C$, $12^{\circ}C$$15^{\circ}C$의 온도 처리구에 12월1일에 입실시켜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랑붓꽃과 금붓꽃은 입실시기가 지연될수록 초장이 커지고 엽수가 많아졌다. 노랑붓꽃을 11윌 1일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11윌 16일에 입실한 것은 30%를 개화하였고, 12윌1일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다. 한편 금붓꽃은 11월1일부터 12월 1일 사이에 입실한 것 모두가 개화되었다. 개화주의 개화수와 개화기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입실온도가 증가할수록 초장과 엽장이 작아지고 엽수가 현저히 많아졌다. 노랑붓꽃을 $12^{\circ}C$$15^{\circ}C$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7^{\circ}C$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다. 금붓꽃을 $15^{\circ}C$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12^{\circ}C$에 입실한 것은 30% 개화하였고 $7^{\circ}C$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으며 개화시기가 빠르고 화경 및 화경장이 길었다.

함께 하는 건협 - 간강증진을 넘어 건강환경 가꾸기로

  • 최가영
    • 건강소식
    • /
    • 제37권12호
    • /
    • pp.44-45
    • /
    • 2013
  • 한국건강관리협회가 시민들이 자주 찾는 전국의 하천에 노랑붓꽃을 심는 '메디체크 건강 환경 가꾸기' 활동을 전개했다. 건강증진을 넘어 건강환경 만들기 실천을 위해 시작된 건협의 노랑붓꽃 심기는 전국에 건강 바이러스를 전하고 있다.

  • PDF

수위변동 비탈면 녹화용 식물 선정을 위한 Iris속 4종의 침수기간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4 Iris Species by Flooding Periods for Revegetation Plants Selection in Water Level Changing Slopes)

  • 박성학;박종민;오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40-647
    • /
    • 2008
  • 댐호, 저수지, 하천 등 수위변동이 있는 비탈면의 녹화용 식물재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내습성을 지닌 4종류의 Iris속 식물을 대상으로 완전침수와 부분침수 조건에서 침수기간별로 생존 및 생장특성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생존율과 생장상태를 기준으로 한 내침수성은 노랑꽃창포 > 꽃창포 > 부채붓꽃 > 붓꽃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노랑꽃창포는 120일까지의 완전침수 조건에서 생장장해를 입기는 하지만 생존율이 높았고 지속적으로 양호한 생장을 하였으며, 부분침수조건에서는 침수기간이 증가할수록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보아 내침수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붓꽃, 부채붓꽃, 꽃창포는 완전침수조건에서 다소 많은 생장장해를 입으며 90일 이후에 고사되었으나, 내침수성이 비교적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위변동에 따라 생장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시험을 통해 댐호의 저수 비탈면과 각종 저수구역 내의 식생공사용으로서 노랑꽃창포, 꽃창포, 부채붓꽃, 붓꽃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