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임증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4초

47,XXY와 46,XY 핵형을 가진 한국인 불임남성의 Y 염색체의 미세결실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Y chromosomal microdeletions in Korean infertile men of 47,XXY and 46,XY karyotypes)

  • 허재원;김우영;김대수;하홍석;이자랑;최욱환;남기만;배화정;최진;김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41-747
    • /
    • 2007
  • 무정자증 환자의 경우,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유전적인 요인들이 남성불임과 연관되어 있다. 그들 중 클라인펠트 증후군(KS)과 정상 핵형의 남성에게서 발견되는 Y염색체상의 미세결실 증상(YMNK)은 남성 불임의 가장 빈번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집단에서 남성불임으로 고통 받고 있는 YMNK (66 개체)와 KS(30 개체) 환자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Y염색체 상의 AZFa,b,c 영역의 미세결실을 분석하기 위해 19개의 STS 프라이머를 이용해 PCR분석을 하였다. 실험 결과 YMNK의 34.9%와 KS의 73.4%가 미세결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점으로 미루어보아 YMNK환자보다 KS환자의 경우가 Y염색체의 불안정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미세결실을 포함하는 제놈의 불안정성은 정상적인 정자형성 과정을 방해하여 남성불임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Globozoospermia를 가진 불임환자에서 미세정자주입술을 이용한 체외수정시술 후 임신과 분만 1례 보고 (Successful Clinical Pregnancy and Livebirth was Achieved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n a Globozoospermic Patient: A Case Report)

  • 김은경;김은하;김은아;권황;홍재엽;최동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1호
    • /
    • pp.83-88
    • /
    • 2010
  • 목 적: Globozoospermia는 남성불임환자의 0.1%에서 발병되는 극히 드문 정자의 형태학적 이상 증상으로 본원에서 이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방법: 2회 반복적 임신에 실패한 불임기간은 6년인 32세의 부인, 36세의 남편 부부가 본원에 내원하였으며, 정액 특수염색결과 희소정자증을 동반한 globozoospermia로 판별이 되어 미세정자주입시술을 실시하였다. 결 과: 14개의 난자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총 12개를 미세정자주입시술을 이용 수정시도를 하였고, 이 중 5개가 수정이 되어 3일 배양 후 이식하였다. 이식 결과 임신이 되었으며, 임신 39주에 건강한 남아를 출산하였다. 결 론: Globozoospermia의 경우 ICSI(미세정자주입시술)방법을 실시하더라도 수정율이 낮다. 이에 수정율 및 임신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량의 흉수를 동반한 난소 과자극 증후군 1례 (A Case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with Massive Pleural Effusion)

  • 박형관;김유일;황준화;장일권;김영철;이여일;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84-691
    • /
    • 1997
  • 배란장애에 의한 불임증의 치료로 hMG/hCG등의 생식선 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배란 유도법이 많아 시용되는데 이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난소 과자극 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이 드물게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전신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해 체액 저류가 야기되어 부종 및 수, 심한 경우 다량의 흉수 등으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32세 여자환자에서 배란유도에 의한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hMG 투여후 다량의 삼출성 흉수를 동반한 중증 난소과자극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고 흉관 10L이상의 흉수를 제거하고 기타 대증요법을 통해 완치되었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발파 소음 및 진동이 돼지 유산 및 불임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und and Concussion Stress Caused by Detonation on the Outbreak of Abortion and Infertility in the Swine)

  • 김용준;지동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2-188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 bursting casualties such as death of sows and piglets, abortion, still birth and infertility in a pig farm after consecutive detonation for three months to construct 345 KV in Kimje area. 1. Temperatures in Kimje district, management condition, microorganism in the feed, inbreeding, hematological conditions, and viral agent causing abortion were not proved as the factors of acute occurrence of abortion and infertility in the pig farm. 2. The amount of explosive was increased from 250 kg to 1,100 kg from 23 Dec. 1996 to 28 Jan. 1997 and at the same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spot of detonation and the pig farm got closer, from 200 m at the begining to 100 m at the last detonation. 3. Theoretical concussion and sound values were 0.66 kine and 89.39 ㏈, respectively, in the case of 100 m distance between the detonation spot and the pig farm. In conclusion, death of 675 piglets and 11 sows and infertility of 69 sows in the pig farm were assumed to be caused by the concussion or sound stress after detonation.

  • PDF

원발성(原發性) 불임증(不妊症)의 분석평가(分析評價) (The Evaluation of the Primary Infertility)

  • 주갑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35-43
    • /
    • 1977
  • A total of 636 patients of primary infertility were analyzed by computer on the basis of statistical evaluation of etiological factors and therapy with the outcome of the pregnancy. In this report, it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e single etioligic factors responsible for the primary infertility with the outcome of the pregnancy. 1. Two hundred and fourty one patients out of a total 636(37.9%) achieved pregnancy. 2. Four hundred and fifty nine patients out of a total 636(72%) had a single etuiologic factor responsible for the primary infertility. 3. One hundred and seventy six patients out of 459 parients (38.3%) who had a single etiologic factor responsible for the primary infertility achieved a pregnancy. 4. The endometriosis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ible factor for the primary infertility. 5. The success rate of the pregnancy was different in each etioligic factor responsible for the primary infertility. The highest success rate of the pregnancy was in the patients who had the intermediate factor responsible for the primary infertility as much as 66.7% of the patients. 6. The expectancy of the pregnancy in terms of the duration of the therapy and the follow-up was variable and depended upon the etiologic factor of the primary infertility.

  • PDF

임상수의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호르몬제재에 대하여

  • 류일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8권7호
    • /
    • pp.612-619
    • /
    • 2002
  • 최근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현장에서 번식장애 즉 불임증을 호소하는 농가들이 예전에 비해 부쩍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임상수의사들이나, 인공수정업무를 행하고 있는 인공수정사, 사육농가들이 번식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호르몬 제재를 사용하거나 번식효율을 제고하고 저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게 볼 수가 있다. 허나, 이러한 호르몬 제재들의 그 유효성분, 적용 축종, 투여방법, 안전성 및 부작용 등을 정확하게 숙지한 상황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호르몬 제재의 오, 남용으로 인한 번식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필자 역시 전국각지에서 가축들을 사육하고 있는 농가들이 방문 내지는 인터넷, 전화 등의 유선통신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아온 결과 상당히 많은 분들이 정확한 진단이나 지식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태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던 기억을 새삼 떠올려짐을 어찌할수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우리 임상전문수의사들의 생식기검사가 이뤄진 후 정확한 진단하에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제재는 기술(旣述)한 바와 같이 별반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적으나, 이외의 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경우는 오히려 호르몬제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나쁜 악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우리임상전문수의사 뿐만 아니라 수의관계업무에 관련하는 모든분들에게도 최근 호르몬 및 그 제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숙지하여 나갈 필요성을 절감하여 이에 대해 상세한 고찰을 하여 나갈까 한다. 이 글을 읽어보는 수의사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피력하고 싶다.

  • PDF

고양이 피부유약증 유사병변을 동반한 지방간에 이환된 한 마리 고양이의 성공적인 치료증례 (Successful Management of Hepatic Lipidosis Accompanied by a Feline Skin Fragility Syndrome-like Lesion in a Cat)

  • 박형진;홍은지;권효정;박성준;박주민;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9-453
    • /
    • 2015
  • 7년령의 불임 암컷 소말리 교잡종 고양이가 4주 동안 지속된 식욕부진, 구토, 체중감소, 무기력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지방간으로 진단 되었으며, 3주 동안 집중치료와 더불어 비위 영양관을 통해 유동식을 공급하였다. 치료기간 중, 지방간으로 인한 임상증상은 개선 되었지만 고양이 피부유약증으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 피부병변이 왼쪽과 오른쪽 어깨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과립당치료, 레이저치료 및 외과적 피판술을 통한 집중적인 상처 치유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환자는 다른 임상 증상이나 피부 병변의 재발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본 증례는 간질환과 고양이 피부유약증이 동반한 환자에서 좋은 예후를 보인 첫 번째 증례이다.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 여성의 자궁내막에서 Pleiotrophin (PTN)과 Midkine (MK) mRNA 발현 차이에 관한 연구 (Endometrium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Expresses Increased Levels of Pleiotrophin (PTN) and Midkine (MK) mRNA Compared to Normal Endometrium)

  • 정혜원;허성은;문혜성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01-108
    • /
    • 2000
  • 자궁내막증은 흔한 부인과적 질병이며 여성 불임의 한 원인이 되나 그 발생 원인에 대하여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최근 월경혈의 역류에 의하여 자궁내막증이 생긴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한데 자궁내막증 환자가 정상여성에서보다 역류되는 월경혈의 양이 많거나 침습성이 강한 것이 자궁내막증의 발생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론들이 소개되었다. Pleitrophin (PTN)이나 midkine(MK)은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는 인자로서 여러 종류의 악성 종양에서 그 발현이 보고되어있으며 종양화 (carcinogenensis), 맥관형성 (angiogenesis), plasminogen activator의 활성화 증가 등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 내막과 대조군의 자궁내막에서 PTN과 MK mRNA의 발현의 차이를 quantitative competitive RT PCR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의 황체기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에 비하여 PTN과 MK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PTN과 MK의 발현의 증가로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이 복강 내에서 더욱 쉽게 맥관형성을 하고 성장이 촉진되어 자궁내막증이 발생될 것으로 생각되어 PTN과 MK가 자궁내막증의 초기 발생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 PDF

불임증 임상진료 지침 개발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전자우편 설문 조사 (Email survey in obtain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infertility in Korean Medicine)

  • 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0-94
    • /
    • 2010
  • Purpose: This survey was done in order to determine Korean medical doctors (K.M.D)' expertis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infertility and the degree of concordance with the guideline.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e-mail to all members of Korean Medical Doctors Society and Korean Gynecology Society from August $30^{th}$ to September $1^{st}$ in 2010. Two hundred sixty nine of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two groups, members of the Gynecology Society and nonmembers of the Gynecology Society.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outcome of the survey done by 99 members of the Korean Gynecology Society and 170 non-members, two-thirds of the participants had prior inform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63.6 percent of the participants feel strong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al infertili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eventy percent of the participa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or reviewing a clinical guideline. On the question in active utilization and concordance to the guideline once the Korean medical infertility guideline is developed, 44% answered they would while 34.6% said they would utilize the guideline after some modifications. On the prospect of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medic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infertility,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marked positively that the standardization of clinical practice for infertility will lead to the nation's participation with the Nation's Support Work and that the development will somewhat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The survey confirmed high demand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infertility and the degree of concordance for infertility amongst Korean Medical doctors.